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4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세플라스틱 몸속 들어오면 세포 꼼짝 못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제브라피시 배아에 흡수된 미세플라스틱의 분포. 영양을 공급하는 난황을 비롯해 척수 등 주요 신경과 기관에 퍼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심도 있는 연구와 실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나노스케일’ 지난해 12월 1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중세 유럽 암흑기에도 여성은 예술혼을 불태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발굴한 중세 여성 유골의 치석에서 푸른 청금석 염료를 발견했다는 연구결과를 9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소개했다. 이는 중세에도 여성 예술가들이 있었음을 보이는 강력한 증거라는 게 연구팀의 추정이다. 문화적 사회적 암흑기로 통하는 중세 유럽에서 서적은 귀족과 종교의 ... ...
[과학게시판] 서울대-카오스재단 공개강연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1.08
스타트업 Ⅱ- 스타트업 인사이드》이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발표한 '2018년 세종도서
학술
부문'에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스타트업 교과서'는 스타트업 창업에 관해 대학원에서 다루는 이론적 지식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썼다. ‘스타트업 인사이드’는 실제 창업 사례로부터 도출한 스타트업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월 19일자 ‘2018년 네이처 선정 10대 인물에 그래핀 초전도체 개발한 22세 청년’ 참조).
학술
지 ‘네이처’가 선정한 ‘2018 화제의 인물 10’에서 가장 먼저 소개된 차오위안. 22세의 대학원생이 간판으로 뽑힌 건 이례적인 일이다. 코린나 컨/네이처 제공 이 소식을 접하며 밀러와 유리 교수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대 수궁류는 티라노사우르스 때문에 멸종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제공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4일 약 2억1000만년 전 중생대 트라이아이스기 후기의 아침을 거닐던 코끼리 크기만 한 ‘디키노돈트 리소비치아 보자니(dicynodont Lisowicia bojani)’가 먹이를 찾고 있는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디키노돈트는 포유류의 특징을 가진 파충류이며, 이른바 ‘수궁류’라 ... ...
[표지로 읽는 과학]'부자연 선택설'로 진화한 박테리아 효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1.05
제공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3일 새로운 유기 분자를 합성하고 있는 박테리아의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두 개의 유기 분자를 박테리아가 속에서 결합시키고 있는 모습이다. 실제 자연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현상이다. 네이처는 제목으로 진화라는 개념을 만든 영국 과학자 찰스 다윈의 이론 ‘자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밤에 간식으로 보충하는 방식으로 하루 6차례 나눠 먹는 식이다. 그런데 지난 2014년
학술
지 ‘당뇨병학’에 직관적으로 수긍이 가는 이 방법보다 동일한 칼로리를 아침(6~10시) 점심(12~16시) 두끼에 다 먹고 나머지 시간(최소 14시간)은 금식하는 타이밍 다이어트가 당뇨 관리에 더 효과적이라는 ... ...
완전 분해 ‘친환경 플라스틱’ 가능할까
2018.12.31
텔아비브대 환경학과 교수팀은 미역을 원료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미생물을 찾아 국제
학술
지 ‘생물자원기술’ 24일자에 발표했다. 바닷속에서 미역을 먹고 살아가는 ‘할로페락스 메디테라네이’라는 미생물이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라는 바이오 플라스틱을 만든다는 것이다. 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 해, 열 명의 이야기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표지에 그래핀으로 만든 숫자 ‘10’을 20일 표지에 실었다. 10이란 숫자는 올해 3월 그래핀의 초전도성 등 새로운 물리적 특성을 규명한 두 편의 네이처 논문으로 큰 주목을 받은 카오위안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물리학과 박사과정 연구원(22)을 비롯한 올 한해 과학계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제공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21일 ‘2018년, 올해의 획기적 성과’란 문구와 함께 다양한 색으로 염색된 세포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발달과정에서 세포의 운명을 결정하는데 RNA 전사체가 작용하고 있다. 세포 속 RNA 전사체들은 유전적 기법으로 표시해 초기 수정란(배아)의 발달 과정을 포착한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