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뉴스
"
연구
"(으)로 총 39,112건 검색되었습니다.
연총 차기 회장에 김진수 화학연 책임
연구
원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김진수 15대 출연연과학기술인협의회총연합회 회장. 연총 제공. 김진수 한국화학
연구
원 책임
연구
원이 15대 출연연과학기술인협의회총연합회(연 ... 회장은 “출연연 과학기술인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대표 조직인 연총의 위상을 강화하고
연구
자 사기를 진작하기 위해 일하겠다”고 전했다 ... ...
옷에 붙여 에너지 수확하는 고효율 세라믹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개발한 소자는 기존 신축성 압전 수확기 대비 280배 이상 높은 에너지 효율을 달성했다.
연구
팀은 "구조나 공정 프로세스의 최적화가 더 필요하며 이를 통해 더 높은 에너지 효율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최적화 작업은 3~4년 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효율이 ... ...
"누리호 5차 발사에 실을 위성 찾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누리호 5차 발사의 주탑재위성은 초소형군집위성 5기다. 우주청과 항우연은 국내 산업체,
연구
기관, 지자체 포함 정부부처 등의 위성기술 및 위성활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부탑재위성으로 총 7기의 큐브위성을 공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차 발사에는 주탑재위성과 공모로 선정되는 부탑재위성 ... ...
초미세먼지보다 무서운 '응축성 미세먼지' 경고음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전문가들은 겨울철 초미세먼지보다도 입자가 작은 '응축성 미세먼지'에 주의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올 겨울 초미세먼지(PM2.5)가 ... 배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별도의 정부 규제가 마련되면 응축성 미세먼지 제거 기술
연구
가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 ...
설탕보다 위험한 과당…간에서 종양세포 성장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과당이 풍부하게 함유된 다양한 과일이 바구니에 담겨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주로 과일이나 곡물에 함유된 과당이 간에서 대사되는 과정에서 종양세포의 성장을 돕는 ... 수 있음이 확인됐다.
연구
팀은 "암세포가 과당의 혜택을 받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며 이번
연구
의 의의를 밝혔다 ... ...
英 규제당국 "인간 배아
연구
제한 14일에서 28일로 연장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2.08
'14일 이후 배아
연구
제한' 항목을 삭제하기도 했다. HFEA는 "14일 이후 배아
연구
가 ‘블랙박스’ 기간의 초기 배아 발달에 대한 이해와 임신 초기 문제를 파악할 수 있다"며 "척추 이분증, 선천적인 심장 질환 등이 어떻게 발병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향상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새로운 제한을 ... ...
친환경 열전 소재 대량 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08
향후 CuS 박막을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와 에너지 수확 기술에 적용해 상용화할 계획이다.
연구
팀은 "기존 상용 소재보다 저렴한 재료로 원하는 구조를 정밀하게 만들 수 있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이 차별점"이라고 말했다. 이영국 화학연 원장은 "환경 열전 박막 소재가 폐열 회수 시장 개척 및 ... ...
AI분야 노벨상 수상자 "초지능AI 5~20년 내로 개발…통제력 걱정"
동아사이언스
l
2024.12.08
캐나다 토론토대 명예교수가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인공지능(AI)
연구
성과로 올해 노벨상을 받은 수상자들이 인간의 인지적 성능을 크게 능가하는 '초인적 AI'가 예상보다 빠르게 등장해 통제 불능에 빠지는 상황에 대해 우려를 제기했다. AI 기계학습의 기초를 다진 공로로 올해 ... ...
비만은 BMI 25 vs 27?…"허리둘레, 체지방률을 살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2.08
27 이상이라고 결론지었다. 대한비만학회는 지난달 14일 반박 성명서를 냈다. 학회는
연구
원의 비만 상향 조정 발표에 우려를 표했다. 학회와 같은 전문가 단체와 논의 없이 배포된 새로운 비만 기준은 국민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주장이다. 학회는 비만 기준을 사망률보다 동반 ... ...
[표지로 읽는 과학] 'BBB' 뚫고 뇌에 치료제 전달하는 T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24.12.08
"보통 치료제는 ‘혈액-뇌 장벽(Blood-Brain-Barrier, BBB)'때문에 뇌에 침투하기 어렵다"면서 "
연구
팀이 설계한 T세포는 BBB를 통과해 CAR-T세포처럼 작동하는 치료제"라고 설명했다. BBB는 혈액 속 물질 중에 선택된 일부 물질만 뇌 속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중추신경계통 미세혈관의 구조 특성이다.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