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무총리
손금
수여
수필
만필
물위
수면
뉴스
"
수상
"(으)로 총 3,59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올해 과학계 10대 뉴스가 궁금하다면…
2014.12.21
뽑은 셈이다. 그 외에도 네이처가 선정한 올해의 인물로는 최초의 여성 필즈상
수상
자인 ‘마리암 미르자카니’와 에볼라바이러스 연구자 ‘세이크 후마르 칸’ 등이 있다. 더 많은 인물은 아래 기사에서 볼 수 있다. http://www.dongascience.com/news/view/5722/news ... ...
[2014 올해의 여과학기술자상] 직격 인터뷰
2014.12.19
희생이 필요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제 어머니께
수상
의 영광을 돌립니다.” 임 교수는
수상
소감에서부터 육아가 여성 과학자의 성공에 발목을 잡는 이유 중 하나임을 토로했다. 1992년 미국 텍사스대에서 박사과정을 밟던 중 첫아이를 출산한 임 교수는 미국의 체계적인 육아보조 시스템 덕을 ... ...
1000분의 1초만에 안경 도수가 바뀐다고?
2014.12.19
’과 ‘최고 인기 시연상’을 모두 거머쥐면서 학계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연구팀의
수상
사진은 아직도 대회 홈페이지 첫 화면에 걸려 있다. 경 센터장은 “폴리머 소재는 어떻게 제조하는지에 따라 투명도에서 차이가 많이 난다”면서 “90% 이상 투명한 소자를 만들어 센서나 렌즈로 가공하는 ... ...
성공의 비결은 조화와 노력
동아사이언스
l
2014.12.18
결혼과 출산, 연구원 생활, 육아라는 어려움이 있었다. 2011년 미래창조과학부장관상
수상
(올해의 멘토상) - 오미혜 센터장 제공 남성화는 피하고 특성을 드러내길 “석사과정을 마치고 1996년에 결혼했어요. 박사과정은 연구원을 다니면서 아이도 어느 정도 컸을 때 시작했고요. 아이를 돌봐야 ... ...
2014년을 달군 과학계 10대 인물
2014.12.18
서울에서 열린 ‘서울세계수학자대회’에서 여성 중에서는 사상 최초로 ‘필즈상’을
수상
한 여성 수학자다. 4년에 한 번씩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는 117년 역사를 자랑하는 세계 최고(最古) 학술대회로 필즈상은 ‘수학계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상이다. 마사요 다카하시 박사는 ... ...
“역대 최고 TV” 해외서 찬사 쏟아져
동아일보
l
2014.12.16
있는 TV 전문 매체인 ‘뤼드&빌데(Lyd&Bilde)’도 11월호에서 ‘올해 최고의 TV 혁신상’
수상
작으로 LG전자 OLED TV를 선정했다. 김지현 기자 jhk85@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스키니진 즐겨입는 20대女 ‘이것’ 비상 - ... ...
올해 ‘한국공학상’에 방승찬 이정용 남인식 씨
2014.12.15
1997년 처음 제정된 뒤 만 40세 미만의 과학자를 대상으로 해마다 4명을 선정한다.
수상
자에게는 대통령상과 5000만 원의 상금을 준다. 두 상의 시상식은 16일 오후 2시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르네상스호텔에서 열린다. ... ...
‘2014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함시현-임혜숙-유향숙
2014.12.15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등 총 38명이
수상
했다.
수상
자에게는 미래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 원이 주어진다. 시상식은 16일 오후 2시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르네상스호텔에서 열린다 ... ...
‘인터스텔라’를 회고하며
2014.12.14
손이 정립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아직 노벨상을
수상
하진 않았지만 노벨상을
수상
할 만한 업적을 이미 충분히 쌓은 학자”라며 “대중강연도 적극적으로 나서는 편이어서 일반인에게도 인기도 상당하다”고 덧붙였다. 쉽게 말해 킵 손은 전문적 권위와 대중성을 함께 겸비한 오늘날 몇 ... ...
66년 만의 오마주 ‘21세기 생명이란 무엇인가’
2014.12.14
’ 이 책은 부제를 통해 정말 말하고자 하는 바를 담아냈다. 1948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자인 에르빈 슈뢰딩거가 쓴 ‘생명이란 무엇인가’의 오마주인 셈이다. 당시 슈뢰딩거는 DNA가 무엇이고 유전자가 어떻게 생겼는지도 모르던 시기에 생물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려했다. 66년이 지나 서울대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