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9"(으)로 총 8,429건 검색되었습니다.
-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수확량 500kg/1000m2를 적용하면 342m2의 공간이 필요하다. 열차 1칸의 면적이 70m2이므로 4.9칸, 즉 5칸이 필요하다.그렇다면 고기는 어떨까. 앞서 꼬리칸 승객 수를 2000명으로 계산했으니 이번엔 열차 내 전체 승객 수를 5000명이라 가정했다. 1인당 연간 육류소비량 35kg을 기준으로 계산의 편의를 위해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뇌지도 작성에 특히 유용한 이유다.‘앨런 브레인 인간뇌전사체지도’는 24세와 39세의 미국 흑인 남성의 뇌를 이용해 만들었다. 먼저 뇌 전체의 MRI 영상을 찍고 조직과 해부학적 구조를 촬영한 뒤 뇌를 약 1000개의 조각으로 잘게 잘라 부위별로 전사체를 분석했다.한국에서는 세계 최초로 뇌에서 ... ...
- 스마트워치는 삼성이 애플보다 빠르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컴퓨터’가 나왔다. 삼성전자는 손목시계 형태의 스마트기기인 ‘갤럭시 기어’(사진)를 9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가전전시회 이파(IFA)에서 처음 공개한다.미국 경제매체 ‘블룸버그’는 삼성전자가 이파 개막 이틀 전인 4일 갤럭시기어를 공개할 것이라고 8월 16일 보도했다. 대형 스마트폰 ... ...
- 한가위 보름달은 수학으로 뜬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관련된 재밌는 수학 이야기를 들려줄게. 달 모양에 여러 가지 도형이 가득!2013년 9월 19일은 우리나라 큰 명절 중 하나인 추석이다. 음력으로 8월 15일인 추석은 가장 밝고 둥근 보름달을 볼 수 있는 날로,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추석에 보름달을 보며 소원을 빌곤 했다.달은 아래 그림과 같이 ... ...
- 다이얼 '333'을 돌리고 "백투더퓨처!"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표지 주인공으로 내세우며 혜성같이 등장했다. 과학동아는 333호를 발행하기까지 27년 9개월째 과학기술 소식을 전해왔다. 과거로 돌아가 과학동아 1호부터 살펴보니, 현재는 이미 오래전에 그려놓은 모습이었다.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서핑을 하고, 맞춤의학으로 암 정복에 도전한다. 우주선을 타고 ... ...
- Intro. 양자역학의 위대한 시작과학동아 l2013년 09호
- 9월, 11월에 걸쳐 총 3부작의 논문을 학 술지 ‘철 학 회보’에 발표 했다.그 중 9월에 발표한 논문 ‘원자핵이 하나인 계’에는 오늘날 우리가 ‘보어 모형’이라 부르는 원자에 대한 개념이 들어있다.원자핵 주위를 도는 전자의 원궤도 반지름이 특정한 값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바로 보어 ... ...
- 1파트 - 보어 28세, 세상을 뒤집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그 후그렇다면 보어의 ‘위대한 3부작’을 당시 사람들은 어떻게 받아들였을까? 1913년 9월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열린 학술대회에서 헤베시가 아인슈타인에게 보어의 3부작에 대해 묻자, 아인슈타인은 “엄청난 성과이며 가장 위대한 발견 중 하나”라고 추켜세웠다. 독일의 아르놀트 조머펠트도 ... ...
- 실감형 스마트워크 - 회사는 일주일에 한 번만 간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하는 도중 그만 장염에 걸린 기자. 출근길 몸이 천근만근 무거운데 어찌하랴. 과학동아 9월호를 만들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출근길로 올랐다.만약 집에서도 회사에 출근한 것과 같이 일할 수 있는 스마트워크 시스템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사실 스마트워크는 이미 곳곳에서 쓰이고 있다. 다만 아직 ... ...
- 보이저 1호, 혜성의 고향까지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해왕성 궤도를 통과한 파이어니어 10호가 태양계를 벗어난 최초의 우주선이긴하지만 약 99AU(약 1억 5000만km, 지구 - 태양간 거리를 기준으로 만든 단위)까지 간 뒤 통신이 끊겨 이후의 소식은 알 수 없다.혜성의 고향 ‘오르트 구름’ 정말 있을까아폴로 우주선을 타고 달에 갔던 우주인들은 지구 ... ...
- 가을 바람 부르는 매미의 물리학 (마지막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등에 산다햄버거 가게 홍보대사? 호좀매미 친구, 참깽깽매미매미를 잘 아는 독자라면 9월에 이 매미를 소개하는 것을 의아하게 생각할 수 있다. 7월부터 나오기 시작해 8월에 가장 번성하기 때문이다. 이유는 호좀매미와 함께 소개하기 위해서다. 이 두 종은 크기와 소리 등이 크게 다르지만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