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닷물은 CO₂를 얼마나 처리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때문에 이산화탄소 흡수가 더디다. 얼마만큼의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는지는 정확히 밝혀
지지
않고 있다.현재 해수중에 녹아있는 이산화탄소양은 8억~16억t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1년에 지구 대기에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양은 60억t. 이들 수치를 감안한다면 바닷물에 크게 기대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 ...
3 작물개량과 육종의 첨병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성공을 거둬 우량한 가축을 번식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농가에의 분양사육은 이뤄
지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기술의 기초단계인 인공수정 기술을 실용화하고 있으며 수정란의 분할 이식 등을 연구하고 있다.농업생산은 토지를 이용한 작물재배가 전제돼야 할 뿐아니라 최종 이익이 ... ...
핵 폐기물 경고용 '스톤헨지' 건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Stonehenge)다. 왜 그들이 힘들여서 스톤헨지를 세우려고 했는지는 아직도 명확하게 밝혀
지지
않은 상태다.그런데 최근 미국의 에너지부는 새로운 스톤헨지의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그 목적은 A.D.12,000년 쯤에 지구상에서 생활할 후손들에게 핵폐기물이 묻혀있는 장소를 알려주기 위해서다.미국 ... ...
Out Of The Sun 태양으로부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1) 중성미자들은 태양의 양성자와 양성자간의 융합 반응으로 실제론 대량으로 만들어
지지
않는다.(2) 중성미자들은 기대하는 만큼 대량으로 생산되지만 지구에 도착하는 동안 무슨 일인가 발생해 그중 소수만이 숫자로 헤아려질 수 있다.(3) 태양중심부의 핵융합이 만드는 에너지는 생각했던 것보다 ... ...
지름 12㎝원반에 책6백권 정보기억하는 전자책 CD롬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기억시킬 수도 있으므로 램이라 볼 수 있다. 음악용 CD도 한번 정보가 기억되면 다시 지워
지지
않으므로 롬이다. 따라서 CD 롬과 CD 는 다같이 롬이지만 문자 화상 등 다양한 정보매체로 쓰이는 CD롬을 CD와 구별하기 위해 롬이란 명칭을 붙인 것이 다를 뿐이다.백과사전 한 질을 주머니 속에CD롬이 ... ...
3. 64메가 D램 개발 공방 내막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수율(收率)이 확보돼야 하는데 아직 첨단제품인 64메가를 생산할만한 장비의 개발이 이뤄
지지
않는 상태에서 단순한 제품개발만으로는 상징적인 의미 이상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이다. 더구나 반도체 생산 장비의 대부분을 일본에서 수입해오는 우리나라로서는 일본 업체들의 협조없이는 아무리 ... ...
하늘의 그리니치 물고기자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쉽게 하늘로 날아 올라 쏜살같이 동쪽으로 날아갔다. 두 아이는 양의 등 위에서 떨어
지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썼지만 어린 헬레는 그만 붙잡고 있던 손을 놓쳐 아래로 떨어지고 말았다. 헬레가 떨어진 곳은 아시아와 유럽의 경계가 되는 해협이었는데 뒷날 사람들은 헬레의 가없은 운명을 기억하고자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참여연구자의 소명감과 각고의 노력 없이는 이런 업적이 절대 이뤄
지지
않는다.한편 미국 MIT의 페이지박사 실험실에서 보고한 성염색체Y의 유전지도작성은 또 하나의 개가였다. 성염색체 Y는 남자에게만 존재하는 것으로, 흔히 아담의 유전정보가 이 염색체 속에 있다고들 ... ...
북극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낮이 계속되고 이후에는 밤이 계속된다. 밤이 계속될 때에는 태양이 지평선 아래로
지지
않아서 소위 어둡지 않은 백야가 생긴다. 태양이 얼음으로 된 지평선 아래로 내려갈 때와 솟아오를 때의 여명은 대단히 아름답고 신비하다.짧은 여름에 만물이 소생북극 군도에는 비교적 소수의 동·식물이 ... ...
우주는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1959년경에 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은 '물질의 연속적 창조'를 거부했지만 빅뱅이론의
지지
율도 1/3에 불과했음이 한 조사에서 드러났다. 이러한 상황은 우주배경복사의 발견으로 급변했다. 펜지아스와 윌슨은 우주공간의 온도(이 온도에 해당하는 플랑크 흑체복사곡선)를 측정하여 우주배경복사를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