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영역’으로 여겨질 만큼 엄청 어려운 게임이기 때문이야.바둑은 가로, 세로 19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격자 모양에서 흑과 백, 단 두 색의 돌로 대결하며 자신의 집을 넓혀가는 경기예요. 이때 빈 바둑판에 흑이 첫번째로 놓일 수 있는 자리는 19×19=361개예요. 다음 차례인 백의 자리는 하나가 줄어든 36 ... ...
- PART 1. 캐릭터 만드는 4가지 비법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우유팩에 담긴 우유가 컵으로 떨어지면 컵 안쪽에 우유가 부딪힙니다. 우유는 점점 차오르면서 출렁이지요. 우유 방울은 시시각각 다르게 움직입니다. 영화 ‘슈렉’에서 이 장면을 수학적으로 구현하는 작업에 참여한 이화여대 수학과 민조홍 교수는 뉴턴의 운동방정식 ‘F(힘)=m(질량)×a(가속도 ... ...
- [수학체험활동]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최고참가학급상’이 주어집니다.동아리 체험 활동학생들은 동아리 활동 시간이나 점심, 저녁 시간에도 체험 활동을 하며 그 속에 숨어있는 수학을 찾으려고 노력합니다. 수학 체험 활동으로 ‘조노돔을 이용한 하이퍼스 페이스 만들기’, ‘무드 등 만들기’, ‘팝업다면체 체험’, ‘보드게임’ ... ...
- [과학뉴스] 아이 적게 낳은 여성이 오래 산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인구 구성이 변함에 따라 남녀의 기대수명 차이가 지금보다 더 벌어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온라인판 4월 18일자에 발표됐다 ...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합쳐지면서 무거운 은하로 진화하기 때문이다.문제는 이론과 관측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밝혀진 물리법칙을 이용해 시뮬레이션을해보면, 극도로 무거운 은하와 극도로 가벼운 은하 모두 최대 10배 더 많아야 한다는 결과가 나온다. 우리가 미처 모르는, 새로운 물리학이 은하 진화에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조상인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에는 없다. 바로 이 점이 오래전부터 초기 가설의 약점으로 꼽혔다.그런데 올해 3월 세균, 고세균, 진핵생물의 대규모 유전자 분석 결과 진핵세포의 DNA 일부가 고세균으로부터 온 것이 확인됐다(Nature 531, 100–104 (03 March 2016)). 고세균에서 온 유전자는 DNA의 복사, 전사, ...
- [Knowledge] 화성 탐사? 여성 우주비행사 연구부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우주정거장 등 지구 저궤도에서 우주방사선으로 인해 3% 초과사망자가 발생하는 시점을 여성은 18개월, 남성은 24개월(태양활동이 가장 강할 때 기준)로 보고 있다.성별 차이는 선발에 적용 가능이런 차이를 알면 뭐가 달라질까. 한국인 최초 우주인 이소연 씨의 주치의였던 정기영 전 공군 ... ...
- 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의 모습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계산이 필요한 곳이지요. 영화 ‘아이언맨’의 인공지능 ‘자비스’처럼 인간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며 돕는 인공지능 ‘집사’는 과학자들이 그리는 이상적인 미래의 모습이랍니다.하사비스 박사는 “우리는 인공지능이 인간을 돕는 강력한 도구라고 생각한다”며, “알파고로 쌓은 기술을 활용해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개구리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숲에 사는 개구리 중에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매우 친숙한 종도 있어요. 바로 등에 줄과 점무늬가 얼룩덜룩하게 나 있는 ‘참개구리’지요.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해 본 친구들이라면, 논에서 참개구리 한두 마리쯤은 잡은 기억이 생생할 거예요. 그만큼 참개구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쉽게 ... ...
- [매스미디어] 우주복 있음, 출장가능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이처럼 우주를 잘~ 접어서 원하는 두 점, 즉 출발점과 도착점이 만나게 하면 순식간에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머릿속에서 그 모습이 잘 그려지지는 않지만, 이론상으로는 그렇다. 클리퍼드와 피위를 데려간 외계인은 이 꿈 같은 기술을 실제로 쓰고 있었던 것이다.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