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체
전부
전액
전반
모든
토탈
합계
d라이브러리
"
전체
"(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물고기는 ‘이온’을 호흡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대해 브라우너 교수는 “배아 상태의 송어는 호흡을 몸
전체
(피부)로 하다가 점차 성장하면서 아가미가 형성된다”며 “아가미가 덜 발달한 어류 조상들도 피부로 호흡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어류가 진화하면서 아가미 구조가 복잡해진 이유가 ... ...
2. 순간의 대변신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노란 빛을 띠는 것도 소다 때문이다. 달인은 반죽의 양쪽 끝을 잡고 두드리면서 반죽
전체
가 같은 끈기를 가지도록 만든다. 들고 흔들다가 꽈배기도 만든다. 면의 굵기를 맞추기 위해서다. 굵기가 같지 않으면 힘의 균형이 깨져 가락을 낼 때 끊어지고 만다. 꽈배기를 만드는 동작을 대여섯 번 ... ...
막힌 도로를 뚫어 주는 신기한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많은데 교통공학을 하는 사람을 찾기가 쉽지 않거든요.”현재 교통연구원에서 일하는
전체
연구원 수는 약 270명이야. 지능형교통체계 분야에는 그 중 30명 정도가 연구하고 있지. 강 박사님은 교통공학자가 되고 싶은 학생들에게 사회 현상을 눈여겨보라고 충고했어.“교통은 단순히 이동 수단을 ... ...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것으로 보고 있다.70%현재 지구상에 있는 식물의 70%가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포유류는
전체
5,490종 중 약 5분의 1인 1만 300종이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 양서류의 30%, 파충류의 28%, 조류의 12% 역시 멸종 직전!1만 7,291IUCN(국제자연보존연맹)은 2009년 보고서에서 조사한 생물종 4만 7677종 중 1만 729 ...
뫼비우스 띠, 위상수학 돋보기로 다시 보자!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입혀 보면 쉽게 알 수 있어. 뫼비우스 띠를 따라 색을 칠하면 띠의 안과 밖 구분 없이 면
전체
에 전부 같은 색깔을 입힐 수 있지.점! 변! 면! 너희들 무슨 관계야!꼭짓점의 개수, 변의 개수, 면의 개수의 관계를 따져 도형의 성질을 구분하는 것이 오일러 공식이다. 오일러 공식은 ‘꼭짓점의 개수-변의 ... ...
수를 한눈에 보여 주는 친절한 그래프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각 부분의 모양이 파이조각 같아 파이 그래프라고도 한다. 원그래프를 그리기 위해선
전체
에서 각 항목에 해당하는 백분율을 먼저 계산해야 한다. 이 때 각 항목의 합이 100%가 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원의 중심각을 이용해 백분율만큼 원을 나눠 여러 색으로 표현하면 원그래프가 완성된다. ... ...
얼음 위의 날쌘돌이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클랩은 발을 옮길 때마다 용수철에서 나는 소리를 따서 지은 이름이야. 스케이트날
전체
가 얼음에 좀더 붙어 있으면서 더 많은 추진력을 얻을 수 있었어.하지만 스케이팅에선 아무리 무릎을 많이 펴려 해도 한계가 있어. 육상에서 달리기할 때처럼 굽혔던 발목을 마지막에쭉 펴면서 힘을 얻는 것이 ... ...
둘째 날 알쏭달쏭 신기한 세계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시작점으로 되돌아 와 있을 것이다. 페인트칠도 마찬가지다. 두 수리 공은 계속해서 띠
전체
에 페인트칠을 하게 된다. 이 행성에서 안과 밖을 다른 색으로 칠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 ✚방향성이 없는 뫼비우스 공간뫼비우스 공간을 한 바퀴 돌면 뫼비우스 아저씨 모습은 위, 아래가 바뀐다. 공간 ... ...
곡선 위의 승부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곡선 구간이 중요하다는 점이야. 쇼트트랙 경기장은 반지름 8.5m인 곡선 구간이
전체
의 절반에 가까운 53.41m를 차지해. 하지만 실제 경기를 보면 곡선으로 움직이는 구간이 80%를 넘어. 곡선 구간에 들어가기 전이나 빠져나온 뒤에도 속도를 위해 계속 곡선으로 움직이기 때문이지. 그래서 쇼트트랙에선 ... ...
알뜰살뜰 세뱃돈 불리는 법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법칙’이 따라다니기 때문입니다. 복리법이란 일정 기간마다 이자를 원금에 더해 그
전체
금액을 다음 기간의 원금으로 삼아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돈을 통장에 오랫동안 넣어두면 마법과 같은 복리의 효과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세뱃돈 관리능력은 앞으로 올바른 경제습관과도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