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오선이 영국으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중세인류는 지구 모양이 ‘둥근 구(球)’라는 사실을 깨달으면서 험난한 육로를 피해 바닷길을 이용하기 시작했다. 당시 대부분의 항로는 해안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 길 잃을 위험은 ... 지지 않던 나라’였던 영국의 막강한 힘도 본초자오선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배경이 된
셈
이다 ... ...
이휘소 박사는 '팬티가 썩은 사람'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패소 판결을 내렸다. 유가족이 생각한 ‘명예’와 법원이 생각한 ‘명예’가 달랐던
셈
이다.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지난 4월 이휘소 박사를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헌정했다. 이 박사의 업적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 박사가 연구했던 주제나 내용을 아는 일반인은 드물다. ... ...
소음은 떨어지는 폭탄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감성에 맞는 소음을 찾아 디자인해야 한다. 사람의 감성에 맞춰 과학기술이 진보하는
셈
이다.김 탐정은 진공청소기 소음을 줄이는 방법과 감성소음에 대해 정리해 다시 국가비밀연구소라는 곳으로 e메일 답장을 보냈다.“이 정도면 이제 무슨 상이라도 주겠지!”그 다음날 김 탐정은 자명종이 ... ...
맨눈 관측의 달인, 망원경 압도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누구도 더 이상 맨눈 관측을 선호하지 않았다. 헤벨리우스는 최후의 맨눈 관측자였던
셈
이다.헤벨리우스의 천문대는 공교롭게도 핼리가 돌아간지 2개월 뒤 화재가 발생해 완전히 불타버렸다. 그의 천문대는 비록 개인천문대였으나 당시 유럽 최대의 천문대였다. 헤벨리우스는 천문대를 재건하고 ... ...
특집Ⅰ 뿌리 깊은 나무 노벨상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혁명을 일으키고 있다. 100여년 전 발견된 ‘지식’이 전혀 예상치 못한 열매를 맺고 있는
셈
이다.스티븐 코비는 자신의 책(‘Seven habits of highly effective people’)에서 우리 앞에 놓인 일을 중요함과 급함을 기준으로 4가지로 분류했다. 이 가운데 중요하고 급한 일을 제일 먼저 한다는데 이견이 없다.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한편으로는 노벨위원회가 RNA 간섭 현상의 중요성과 파급 효과를 그만큼 높이 평가한
셈
이다.RNA(리보핵산)는 유전정보의 전달과정(유전자 발현)에서 DNA와 함께 중요한 기능을 하는 또 하나의 유전물질이다. RNA 간섭(RNAi, RNA interference)은 쉽게 말해 RNA가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에 간섭해 유전자가 ... ...
집도 인생도 살면서 완성되는 미완의 건축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1층을 사람들이 비를 피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었다. 비싼 1층을 대중에게 선사한
셈
이다.승대표는 ‘빈자의 미학’을 설파하는 건축가로도 유명하다. 여기서 ‘빈자’(貧者)란 가난한 사람이란 뜻이라기보다 가난할 줄 아는 사람을 의미한다. “건축주는 비교적 부유한 사람들이죠. 돈이 있더라도 ... ...
사과 원자, 포도 분자?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수소 원자와 염소 원자가 2개로 쪼개져야 한다. 원자론의 가설에 맞지 않는 일이 생기는
셈
이다.사실 돌턴도 자신의 원자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연구 결과를 1803년에 발표했다. 즉 산소 1L가 수증기 1L보다 무겁다는 사실이다. 수증기(물)는 산소와 수소가 결합된‘복합원자’다. 만약 물질이 원자로만 ... ...
자연이 펼치는 유혹의 기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때 꽃가루받이가 이뤄져요. 결국 난초는 수벌을 완벽하게 속이고 번식에도 성공한
셈
이지요. 힘들여 꿀을 만드는 대신 모양만 살짝 바꿨을 뿐인데 말이에요.영국에서 발견된 파리의 경우, 수컷이 암컷에게 죽은 곤충 같은 선물을 주고 환심을 산다고 해요. 선물을 좋아하는 건 곤충도 마찬가지인가 ... ...
가을철 피부 불청객 각질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0.02mm정도로, 우리 피부는 A4용지 한 장의 5분의 1정도 두께로 각질세포가 덮여 있는
셈
이다. 이 각질층의 가장 바깥부분 세포가 수명을 다해 피지나 먼지 등과 합쳐져 떨어져 나간 것이 바로 ‘때’다.각질이 때라면 김 군도 때수건으로 깨끗이 밀어 봤다. 세안을 할 때도 ‘뽀드득’ 소리가 날 정도로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