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래
앞날
내세
차후
뒷날
내일
싹수
d라이브러리
"
미래
"(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있다.동해 울릉 분지에 많이 묻혀 있는 ‘고체 천연가스(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도
미래
의 석유로 각광받고 있다. 이 물질은 천연가스의 주성분인 메탄가스가 물 분자와 결합해 얼음과 비슷한 형태로 변한 것이다. 1967년 러시아의 시베리아 얼음지대에서 처음 발견됐으며 극지방, 해저 등에 많은 ... ...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핵융합 개발의 당위성을 화석연료의 고갈보다는 기후변화에 더 두고 있는 것이다.하지만
미래
에너지로서 탁월한 후보감인 핵융합은 발전이 느리게 진행돼 왔다. 핵융합은 20세기 초반에 개념이 처음 등장했고 미국과 옛소련이 1950년대 연구하기 시작됐다. 핵분열 방식인, 현재의 원자력이 이미 널리 ... ...
에어버스 보잉 차세대 여객기 격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전세계는 두 라이벌의 추후 행보에 이목이 쏠려 있다.이미 2년 전에도 에어버스와 보잉의
미래
여객기 시장 동향에 대한 관점을 두고 한 차례 ‘국지전’이 벌어졌다. 허브간 대형 여객기냐, 지점간 소형 여객기냐를 놓고 유럽과 미국이 각자 자국의 손을 들어주는 식의 논쟁이 있었던 것. 하지만 이 ... ...
X선으로 본 요동치는 우주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생겨 태양계와 비슷한 천체들이 탄생한다.충돌하는 은하를 관측하는 것은 우리은하의
미래
를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은하도 수십억년 뒤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할 운명이기 때문이다.찬드라가 바라본 태양계 풍경 이제 찬드라의 앵글을 태양계로 돌려보자. X선 망원경에 포착된 태양계 ... ...
신에너지혁명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몰아 닥친 에너지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아직까지 현실이 되지 않았지만 궁극적인
미래
에너지로는 무엇이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신에너지혁명이 시작된다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02. 바람과 태양이 세상을 바꾼다 03. 수소 경제가 뜬다 연료전지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 ... ...
02. 바람과 태양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한경단지에는 이곳보다 2배나 큰 풍차 4대가 돌아가고 있다. 제주도청 김동성 사무관(
미래
산업과)은 “제주도의 풍속은 평균 초속 7.1m로 육지보다 경제성이 앞선다”며 “2011년까지 제주도 전력의 10%를 풍력으로 충당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제주도, 백두대간에 풍력 열풍제주도의 성공에 자극받아 ... ...
만약 전선이 모두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느껴진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배터리가 조금만 더 강해진다면 그리 먼
미래
의 일은 아닐 것도 같은데 말이다.전선이 사라진 홀가분한 세상을 꿈꾸며 세계 곳곳에서는 이미 차세대 전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 중 가장 많은 각광을 받으며 연구되고 있는 연료전지는 물의 전기분해를 ... ...
과학과 인문학의 경계에서 새로운 세상을 본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열림과 닫힘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의 연장선상에 있는 책이기도 하다.
미래
사회가 유토피아가 될 것인가, 디스토피아가 될 것인가라는 논쟁 대신 두가지 가능성 모두를 인정하고, 네트워크 혁명의 ‘열린’ 장점을 극대화하면서 ‘닫힌’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 ...
'꿈의 차세대 원자로' 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없는 한국에서는 원자력이 유력한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미국은 이미 1996년 ‘
미래
수소법’ 을 만들었고 지난해 연두교서에서도 부시 대통령이 “수소를 이용한 에너지 자립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본도 1993년부터 수소 에너지를 이용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일본 도요타 자동차는 ... ...
"나도 과학자" 어려운 문제에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현실적으로 어려운 토론식 연구가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됐을 것”이라고 평가했다.한국
미래
과학자 탐구토론대회는 청소년에게 기초과학분야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지난해부터 시작됐다. 총 23개팀이 수상의 영광을 안은 이번 대회는 한국영재학회와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