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래
앞날
내세
차후
뒷날
내일
싹수
d라이브러리
"
미래
"(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대장균도 구르는 재주가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동아일보사와 한국과학문화재단,동아사이언스는 청소년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을 일깨우기 위해 과학자들이 방문 강연하는 '과학기술 앰배서더' 사업을 진행하 ... 생명체를 연구해 인류에게 유익하게 이용하려는 생명공학기술은 이 시간에도 새로운
미래
를 계속 개척해 나가고 있다 ... ...
X선으로 본 요동치는 우주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생겨 태양계와 비슷한 천체들이 탄생한다.충돌하는 은하를 관측하는 것은 우리은하의
미래
를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은하도 수십억년 뒤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할 운명이기 때문이다.찬드라가 바라본 태양계 풍경 이제 찬드라의 앵글을 태양계로 돌려보자. X선 망원경에 포착된 태양계 ... ...
02. 바람과 태양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한경단지에는 이곳보다 2배나 큰 풍차 4대가 돌아가고 있다. 제주도청 김동성 사무관(
미래
산업과)은 “제주도의 풍속은 평균 초속 7.1m로 육지보다 경제성이 앞선다”며 “2011년까지 제주도 전력의 10%를 풍력으로 충당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제주도, 백두대간에 풍력 열풍제주도의 성공에 자극받아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먼저 탐지레이더로 적기를 포착하고 추적레이더로 뒤쫓으면서 전자계산장치로 적기의
미래
위치를 자동으로 예측하여 미사일을 발사하는 방식이다회전방향에 직각으로 카커스(carcass)의 코드(code)를 배열한 타이어 휠(wheel)을 중심으로 코드가 방사상으로 뻗어 있다처음에는 프랑스에서 타이어 ... ...
만약 전선이 모두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느껴진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배터리가 조금만 더 강해진다면 그리 먼
미래
의 일은 아닐 것도 같은데 말이다.전선이 사라진 홀가분한 세상을 꿈꾸며 세계 곳곳에서는 이미 차세대 전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 중 가장 많은 각광을 받으며 연구되고 있는 연료전지는 물의 전기분해를 ... ...
한국 정말 핵무기 개발하려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맘껏 할 수 없다. 전력생산의 40%를 차지할 만큼 원자력의 의존도가 높아 어떻게든
미래
에너지를 확보하려면 핵관련 연구활동의 폭이 넓어져야 할 판이다. 신재인 전 원자력연구소 소장(현 한국핵융합협의회 회장)은 “이번 일을 기회역전으로 삼아 우리의 핵관련 연구활동의 폭을 넓힐 수 있는 ... ...
03. 수소 경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반복하면서 전기를 무한대에 가깝게 생산할 수 있다는 점도 주목할만하다.이런 까닭에
미래
의 촉망받는 에너지로 영화에까지 등장하기도 했다. 키아누 리브스가 주연한 영화 ‘체인리액션’ (1996년작)에서 수소는 물을 원료로 하는 무공해 에너지원으로 그려진다.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은 많다. 가장 ... ...
과학과 인문학의 경계에서 새로운 세상을 본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열림과 닫힘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의 연장선상에 있는 책이기도 하다.
미래
사회가 유토피아가 될 것인가, 디스토피아가 될 것인가라는 논쟁 대신 두가지 가능성 모두를 인정하고, 네트워크 혁명의 ‘열린’ 장점을 극대화하면서 ‘닫힌’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 ...
3M 사이언스캠프 - 지성·열정·마법의 잔치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덕을 잊지 않고 성공하게 되면 나도 이런 프로그램을 만들어 아이들을 키우고 싶다”고
미래
예비 과학자로서의 포부를 밝혔다.김다솜(경기 평촌중 1년)양은 “남과 다른 나, 업그레이드 된 과학을 만들려면 창의력을 결코 빼놓을 수 없다는 것을 느꼈다”며 나이에 비해 의젓한 소감을 얘기하기도 ... ...
기계가 정말 반란을 일으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것은 아니다. KAIST 뇌과학연구개발사업단장인 이수영 교수는 “똑똑하지 않은 로봇은
미래
에는 불필요하다”고 말한다. 이것이 현재 우리가 풀어야 할 ‘로봇 딜레마’ 다. 그는 “로봇이 스스로 무엇이 부족한지 알고, 이를 질문한 후 자신의 약점을 보완하는 ‘능동적 학습’ 을 할 때 인간이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