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스티로폼을 만드는 폴리스티렌(PS)을 먹고 분해한다는 연구결과도 2015년 9월 ‘환경과학기술’에 공개했다. 갈색거저리 애벌레의 장에서 분리한 박테리아 배양액은 60일 동안 100mg의 PS 조각을 7.4mg 분해했다(doi:10.1021/acs.est.5b02663).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에 비하면 매우 적은 양이다. 하지만 이 ... ...
- [Photo] 마법의 돌 ‘녹지 않는 얼음’ 석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반도체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넘어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자동차 등 과학 기술 혁명이 가능했던 것은 반도체라는 마법의 돌 덕분이었다. 이 역시 석영으로 만든다. 반도체를 만드는 소재에는 몇 가지가 있지만 석영에 들어 있는 규소가 대표적인 재료다. 규소는 자연 상태로는 잘 ...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가량의 루비듐 원자로 이뤄진 기체를 레이저냉각(1997년 노벨 물리학상)과 자기증발냉각 기술로 170nK(나노켈빈, 1nK은 10억 분의 1K)까지 냉각시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의 특성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네 달 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볼프강 케테를레도 나트륨 원자를 냉각시켜 보스-아인슈타인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관찰을 가능케” 한다는 것이다. “연구의 본질적인 방식을 바꾸지 않고도 관찰, 기술, 고찰이라는 착실한 과정을 거쳐 자연계의 진실에 도달하게 만들어 주는 발명품”(26쪽)이라고도 칭송했다.바이오로깅으로 밝힌 진실은 실로 놀랍다. 과거의 틀린 연구결과를 바로잡기도 한다. 어류의 속도가 ... ...
- [Career] 암 검사체계 바꿀 다중 모달 융합내시경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현재 암 확진을 위한 조직검사는 일주일가량이 걸립니다. 수술을 할 때는 재발을 막기 위해 넓은 면적의 조직을 절제합니다. 의사의 ... 실험할 계획이다. 문 교수는 “연구 성과가 모이면 기업과 연계해 다중 모달 융합내시경기술로 의료시장을 새로 개척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암세포에 일대일 대응책을 마련하고자 지나치게 소모됐던 연구 자원이, 조기진단을 위한 기술력 확보에 더 중요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한다.옥찬영_ock.chanyoung@gmail.com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서울대병원에서 수련의 및 내과 전공의 수료, 혈액종양내과 임상강사를 마쳤다. 서울대병원 근무 중 1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사람들이 야생 밀과 보리로 빵을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4대 문명 발상지라고 해도 농경기술이 지금처럼 과학적이지 않았기 때문에 주변에서 흔한 곡식을 먹었을 거라는 추측이다. 고대 이집트 밀로는 엠머밀과 스펠트밀, 호라산밀 등이 꼽힌다. 이 중 엠머밀은 지금은 더 이상 자연에 존재하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서울대 다이로스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출연해 화제가 됐지요. 이번에 기자단 친구들은 광고의 주인공인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다이로스 연구실로 취재를 다녀왔어요. 휴머노이드부터 무인자율주행 자동차까지 함께 만나 봐요!최악의 원전 사고, 다이로스 제트로 막아라!“우아! 이게 똘망이에요?”취재에 참여한 김민준 친구는 ... ...
- Intro. 벌레야? 로봇이야? 사이버그(bug)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안녕? 우리는 지구 최강의 생존력을 자랑하는 바퀴벌레 가족이야. 지금 저기서 피자를 먹고 있는 바퀴벌레가 48, 51, 55번째 형이랑 59번째 누나지. 음식을 구하러 나간 73번째 형도 곧 돌아올 때가 됐는데…. 저기 왔다! 어라? 그런데 저 바퀴벌레는 우리 형이 아닌데, 누구지? 유난히 번쩍이는 등껍질, ... ...
- 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에 생기는 와류(초록)를 나타낸 컴퓨터 그래픽. 벌레의 능력 3높은 곳도 문제없어!▶중요 기술 다리를 활처럼 구부리기 벼룩은 무려 자기 몸길이의 100배 이상 뛸 수 있어요. 150cm인 사람으로 치면 한 번 점프해서 커다란 빌딩 꼭대기까지 올라갈 수 있는 셈이지요. 벼룩이 이렇게 놀라운 점프 능력을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