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그것 봐! 내 말이 맞잖아!”뜬금없이 무슨 말이냐고? 흠흠…, 일단 내 소개부터 해야지. 친구들 안녕! 나는 천재물리학자 아인슈 ... 앞으로 활용 방법이 무궁무진하지 않을까?친구들이 커서 그 방법을 직접 찾아보는 건 어때? 방법을 찾게 되면 나를 꼭 불러달라고~! 안녕 ...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서로 끌어당기듯 공전하고 있었다. 국제천문연맹이 2006년에 새롭게 제시한 행성의 조건 중 ‘궤도 주변에 작은 천체가 남아 있지 않을 만큼 중력이 크다’에서 벗어난 셈이다.10번째 행성 될 뻔한 에리스행성 후보로 올랐다가 자격미달로 왜행성으로 분류된 것은 명왕성뿐이 아니다. 1800년대 화성과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모래를 붓기 전에 모래의 부피가 원뿔의 부피에 딱 맞도록 표면을 평평하게 고르는 건 필수! 몇 번을 부어야 원기둥을 가득 채울 수 있을까요? 같은 방법으로 구를 모래로 가득 채우려면 원뿔에 모래를 몇 번 채워야 할까요? 사진처럼 우드락으로 만든 삼각형을 준비합니다. 이 삼각형 위에 모래를 ... ...
- [과학뉴스] ‘해충 퇴치!’ 달콤한 피 흘리는 식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동물을 유인하는 식물은 있지만, 달콤한 수액을 자기 방어에 사용하는 식물이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독일 베를린자유대 연구팀은 가지의 일종인 ‘솔라눔 둘카마라(Solanum dulcamara)’가 해충의 공격을 받으면 달달한 수액을 흘려 해충을 물리치는 개미를 부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 ...
- [News & Issue] 가습기 살균제 사태, 노출계수를 따져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이름을 기록해야 할 의무도 없다.이 교수는 “살균이 되면 무조건 좋다, 향기가 나면 무조건 좋다는 인식 자체를 바꿔야 한다”고 조언했다. 세균을 죽일 수 있는 성분이, 나에게는 이로울 것이라고 오해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호흡을 통해 장시간 노출되는 제품일수록 유해성을 꼼꼼히 따져 봐야 ... ...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생각하는 독자들은 아래 예시를 보자. 2003년에 실제 발생한 ‘리눅스 백도어 미수사건’에서 문제가 됐던 부분이다. 아마 프로그래밍을 ‘좀 한다’하는 독자들도 위의 소스코드에서 무엇이 잘못됐는지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위의 코드는 누군가 백도어를 만들기 위해 리눅스(Linux)의 소스 코드 ...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거북은 모두 딸기를 먹는 방법을 금세 터득했다. 그런데 뮐러-파울라 박사팀이 놀란 건 그 다음이었다. 거북이 모양을 선택하는 속도가 쥐나 개보다 빨랐기 때문이다! 이유는 이렇다. 거북의 뇌에는 학습과 기억, 그리고 공간탐색에 관여하는 해마가 없다. 대신 복잡한 인지행위와 의사결정을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잘못 들어가면 손목이 계속 도는데, 이게 너무 기괴하다는 겁니다. 사람 팔이 못하는 건, 전자 의수도 못하게 만들어야 해요.”(최영진 교수)로봇 팔이 이와 같이 설계된 건, 모터 하나만으로 문고리를 돌리는 등 복잡한 행동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이를 사람 팔에 그대로 붙인 탓에 문제가 ... ...
- PART 3 나도 데이터과학자!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저의 이야기를 마치겠습니다. 데이터 분석이 어렵다 생각하지 말고, 일단 도전해보는 건 어떨까요? 데이터 분석이 여러분의 실생활 속 문제를 해결해줄지도 모릅니다.데이터과학자가 되는 첫걸음이처럼 데이터 분석은 누구든지 직접 해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주제를 정해야 한다. 평소에 ...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비밀번호를 만드는 ‘패스프레이즈(passphrase)’라는 방법이 있어요. 자신에게 특별한 사건을 한 문장으로 만들어 암호로 이용하는 거죠. 특정 단어는 시간이 지나면 잊기 쉽지만 본인에게 의미 있는 문장 하나 정도는 기억하기 쉽잖아요. 단어의 첫 글자만 따서 만든 비밀번호는 기억 못 해도, 문장은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