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항성탐사를 위한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우주 돛단배와 레이저 통신 기술을 잘 응용하면 정말로 다른 항성계를 탐사하는 것도 가능할 거라고 말했답니다.# 브레이크스루 스타샷 계획을 통해 정말 알파 센타우리 항성계로 우주선을 보낼 수 있을까요? 무한하게 펼쳐진 우주 공간의 신비와 이를 밝히려는 인간의 새로운 도전을 함께 ... ...
- [과학뉴스] 우유주사 프로포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달리 1차 의료 기관, 즉 의원, 보건소 등 규모가 작은 병원에서도 독립적으로 수술이 가능합니다. 때문에 프로포폴을 마취 목적이 아닌 단순 투약하는 오남용 사례가 특히 많이 발생합니다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개발해 탐사 준비에 앞장서고 있다. 정 책임연구원은 “한국과 북한, 중국의 공동연구가 가능해지면 북한에서 중국까지 긴 측선을 이어서 그 하부를 동서방향으로 측정할 수 있다”며 “지금까지 얻지 못한 정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한편 백두산 하부구조가 파악되면 그 ...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의료소 방문을 꺼렸던 남성들의 참여를 두 배 더 이끌어내는 데 성공했다. 휴대 가능한 진단키트를 배포하자 어린이가 늦지 않게 약물치료를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됐다.연구를 이끈 NIH 포카티국제센터장 로저 글라스 박사와 미국 글로벌에이즈코디네이터 데보라 벅스 대사는 논문을 통해 “HIV 신규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모든 가능성이 단순하게 기술될 수 있는지는 의문이지만, 우주에 특정 방향이 있다는 가능성을 부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연구 결과였다.우주 등방성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다. 우주배경복사의 비등방 지도뿐만 아니라 은하의 분포를 이용한 검증도 끊임없이 시도되고 있다. 우주에 ...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뼈를 실험실로 옮겨 개체를 구분한 적이 있다. 상세히 기록된 도면과 사진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뼈가 애초에 무작위로 섞인 채 발견됐다면 현장보다는 실험실에서의 역할에 기대를 걸 수밖에 없다. 법의인류학자들은 뒤섞인 뼈를 구분하기 위한 다양한 훈련을 받는다. 예를 들어, 좌우측 ... ...
- Part 2. 가상현실(VR) 드론의 미래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교수는 “28GHz의 초고대역 주파수를 사용하는 5세대 이동 통신(5G) 기술 개발이 완료되면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라이너 교수는 드론이 상용화되기 전인 2000년대 초부터 드론 조종을 즐겼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조이스틱을 이용하는 조종이 시시하게 느껴졌다. 진짜나는 기분이 들지 않았기 ... ...
- [수학동아클리닉] 대나무로 이해하는 입체도형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이뿐만 아니라 쉽게 구할 수 있고, 입체도형의 구조의 이해를 돕는 다양한 형태의 표현이 가능하다. 수업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이 수업에서는 새로운 조형 감각을 기를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학적 구조물을 만들어 볼 수 있다. 또한 대나무는 저렴할 뿐만 아니라 단단하고 줄기가 잘 ...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않았다.“1996년에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세계지질과학총회(IGC)에서 백두산의 분화 가능성을 두고 또 한 번 논쟁이 벌어졌습니다. 결국 회의에 참석한 세계 화산학자들이 직접 가서 보고 판단하기로 하고 야외답사를 나섰죠. 백두산을 본 사람들이 전부 다 묻더군요. 백두산이 이렇게나 젊은데,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식물도 마찬가지다. 겨우살이는 항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향후 자생지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씨드볼트는 내년 초까지 종자 저장 및 연구 기능을 완벽하게 갖추고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개장과 함께 본격적으로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장정원 연구원은 “2023년까지 약 30만 점의 종자를 모아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