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뉴스
"
부분
"(으)로 총 6,217건 검색되었습니다.
배수로에 코를 박은 자동차
팝뉴스
l
2019.08.14
사진을 보면 빨간 승용차 한 대가 사고를 당했다. 그런데 차는 물구나무를 섰다. 앞
부분
이 배수 시설에 박히면서 차가 거꾸로 서 버린 것이다. 굉장히 이상하고 보기 힘든 상황이다. “이런 교통 사고 장면은 아주 드물다”는 평가가 많은 네티즌들의 마음을 대변한다. ※ 편집자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이즈 바이러스 퇴치할 수 있을까
2019.08.13
항원(HIV의 gp120)을 표면에 내놓은 감염된 세포가 소멸된다. 연구자들은 gp120의 서로 다른
부분
을 인식하는 수용체 두 가지를 각각 별도의 DNA 조각에 넣었다. DNA 조각 두 개를 넣어주기 때문에 듀오다. 이 경우 각 수용체가 항원을 인식했을 때 그 신호가 따로 전달된다. 연구자들은 듀오카트세포(duoCAR-T ... ...
"포항 여진 줄었지만 진원지 확대, 지하수위 이상…정밀 모니터링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때문에 정밀 관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하수의 비정상적인 움직임도 주목할
부분
이다. 두 개의 지열정 가운데 하나의 지하수위가 지표에서 최대 760m 아래로 떨어졌다 현재 서서히 회복해 지하 680m 지점에 머물고 있다. 또다른 지열정의 수위는 지하 80m로 두 지열정 사이의 수위차는 600m에 ... ...
난치성 뇌전증 진단 정확도 30%에서 100%로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13일 밝혔다. 뇌전증은 전 세계적으로 4번째로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신경학적 질환으로
부분
발작과 전신 발작을 겪는다. 전체 뇌전증 중 30~40%는 난치성 뇌전증으로 약물치료로 조절되지 않아 치료를 위해 수술이 필요하다. 이런 난치성 뇌전증은 신체적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 ...
[표지로 읽는 과학] 외계의 전파 신호, 정확한 위치가 잡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1
특성에 차이가 있다고 설명한다. FRB 180924는 은하계의 밝은 중심이 아닌 거의 끝의 어두운
부분
에서 발생했다. 자기이온 측정 결과도 ㎡당 14라드(rad, 방사선 흡수선량의 단위)로 자기장이 강하지 않은 곳에서 발생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반면 FRB 121102는 왜소은하의 중심에서 발견됐을 뿐 아니라 ... ...
원자력연구원, 방폐물 분석 오류로 10억 원 과징금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것”이라며 “지금까지 지켜야할 절차상 위반사항이 있으면 심각하게 받아들이시고 그
부분
에 있어서는 시간상 여유 따질 이유 없이 고쳐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원안위에서는 전남 영광 한빛 3,4호기 콘크리트의 빈틈(공극)으로 인한 원전 건물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원안위와 ... ...
차세대 항균제 후보는 '혈액응고인자'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같은 세균을 파괴했다. 혈액응고인자는 무거운 사슬과 가벼운 사슬, 두 종류의 단백질
부분
으로 이뤄져 있는데 이 중 가벼운 사슬이 세균을 가수분해 시켰다. 무거운 사슬은 아무런 해를 입히지 않았다. 특히 혈액응고인자 VII은 세포막으로만 이뤄진 일반 세균과 달리, 리포폴리사카라이드(지방과 ... ...
실험실 아닌 실제 현장에서 인공광합성 돕는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유지됐다. KIST 제공 민 본부장은 “이번 연구는 일반적인 실험실 연구에서 쉽게 간과하는
부분
인 실제 적용 환경에 대한 고찰로 시작됐다”며 “이번 연구로 밝혀진 촉매의 내구성을 떨어트리는 요소와 장시간 내구성을 보이는 탄소 기반 촉매를 개발한 결과를 통해 인공광합성 기술의 실용화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때문에 많은 오류를 피할 수 없었다. 예컨대 갈레노스는 인간의 간이 개처럼 다섯
부분
으로 나뉘어 있다고 잘못된 주장을 하거나, 심장의 좌심실과 우심실 사이의 격벽에 구멍이 있어 그 사이로 혈액이 흐른다고 잘못된 주장을 펼쳤다. 갈레노스의 오류를 극복한 것은 16세기의 의사 ... ...
'과학'은 사라지고 '사회' 더 강조한 이상한 과학교육표준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들어있어 찾기 어렵다”고 했다. 또 “전자기 상호작용은 시스템과 상호작용이라는
부분
에 들어가지 않고 ‘에너지와 물질’에 들어가 있다”며 “표준에 ‘자기장’은 있는데 ‘전기장’은 다루지 않아 혼란스럽다”고 꼬집었다. 과학과 사회의 연계성을 과도하게 강조하다보니 사회가 ... ...
이전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