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우병 내성 소 복제 성공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걸리지 않는 소와 장기이식용 돼지를 복제하는데 성공했다.지난해 12월 10일 서울대 수의
학과
황우석 교수는 “11월 15일부터 29일까지 광우병 내성 암소 4마리가 태어나 현재 건강한 상태이고, 장기이식용 돼지는 9월부터 11월까지 3회에 걸쳐 6마리가 태어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무균 돼지는 이틀이 ... ...
전자파 잡음 없는 반도체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우리나라에서도 전자파를 줄이려는 다양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 중 KAIST 전자전산
학과
김정호교수의 테라헤르쯔 배선 및 패키지 연구실에서는 색다른 접근법을 사용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연구실은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칩안에 들어가는 회로, 패키지,보드 부분을 설계하는 연구를 ... ...
통증에 대한 뇌 반응 남녀 달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연구결과가 ‘위장병학’지 최신호에 실렸다.최근 미 캘리포니아대 정신생물행동
학과
브루스 낼리보프 박사팀은 과민성대장증후군 여성환자 26명과 남성환자 24명을 대상으로 복통이 나타날 때 뇌의 반응을 관찰하는 실험을 실시했다.실험 결과 남녀가 통증에 대해 같은 반응을 보이는 뇌 부위들도 ... ...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관여하는 일부 다세포생물의 생식은 단위생식 또는 단성(單性)생식이라고 한다물리
학과
천문학에 사용되는 용어로 그 의미도 다르게 규정된다 먼저 물리학에서 사용되는 위상의 정의는 진동이나 파동과 같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현상에 대해 어떤 시각 또는 어떤 장소에서의 변화를 말한다 따라서 ... ...
4 개는 인간의 생각을 가장 잘 읽는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2일자 ‘사이언스’에는 늑대와 강아지를 비교한 연구결과가 게재됐다. 미 하버드대 인류
학과
브라이언 해어 교수 연구팀은 사람이 기른 늑대와 태어난지 불과 몇달 지나지 않은 강아지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음식물을 숨겨놓고 눈짓, 손짓, 살짝 건드리기 등의 힌트를 줬다. 그 결과 사람과 거의 ... ...
'생물의 다살이' 낸 강원대 권오길 교수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말이다. 달팽이처럼 천천히그러나 뚜렷하게 자신의 족적을 남겨온 권오길 교수. 생물
학과
더불어 산 그의 일생이 시가 되고 소설이 될 날이 머지 않은 듯하다 ... ...
3 새들의 사투리 방방곡곡 가지각색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지난 6월 경북 경주시 충효동 김유신 장군 묘 근처의 아파트 단지가 발칵 뒤집혔다. 밤마다 “히이∼”하는 기분 나쁜 소리가 들리는 것이다. 귀신이 흐느껴 우는 듯한 소리에 밤잠을 설치던 주민들은 급기야 경찰에 신고했다. 이리저리 수소문하고 조사를 거듭하던 경찰은 결국 소리를 수집하는 전 ... ...
유전자 하나로 종 분화되는 달팽이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나선 방향이 서로 다른 달팽이는 짝짓기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일본 신슈우대 생물
학과
타카히로 아사미 교수팀은 껍질의 나선 방향이 달팽이의 종분화를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10월 16일자에 발표했다.연구자들은 단 하나의 유전자가 달팽이 껍질의 나선 방향을 결정한다고 밝혔다. ... ...
1 21세기, 촉각을 재발견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화학회사 ICI의 지원으로 감각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한 영국 옥스퍼드대 실험심리
학과
찰스 스펜스 박사는 최근 제출한 결과 보고서 ‘감각의 비밀’에서 감각의 결핍은 현대사회의 질병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스펜스 박사는 “우리는 몸을 쓰는 야외 생활에서 멀어져 하루의 90%를 실내에서 ... ...
뇌 영상의 마법사 MRI 고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피츠버그대에서 화학 박사를 받았다. 그는 1969년부터 1985년까지 뉴욕대 화학·방사선
학과
교수로 재직한 뒤, 일리노이대로 옮겨 현재까지 교수로 재직중이다.공동수상자인 맨스필드 박사는 수학을 동원해 자기장에 공명하는 물분자의 신호를 더욱 빠른 속도로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수많은 ... ...
이전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