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벨
규격
표준
계급
d라이브러리
"
수준
"(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장 이조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속도, 즉 1초에 1조번 이상의 연산을 처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나노미터
수준
으로 반도체소자의 스케일을 줄여야 한다.지난 1999년 당시 삼성종합기술원에 근무하던 이조원 박사가 이 일을 맡아 해보겠다고 나섰다. 이듬해 이 박사는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의 수장이 돼 지난 4년간 102 ... ...
최신강의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MIT 오픈 강의 ocw.mit.edu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분야 전문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각종 학술지와 논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수준
높은 강의나 학습자료를 필요로 하는 호기심과 도전의식이 강한 학생이나 일반인에게 다양한 물리학 관련 자료도 제공하고 있다.PDF로 제공되는 대학생 대상 일반물리학 강의, 세미나, 물리현상시범 등의 ... ...
01. 행복을 알약으로 먹는다 해피드럭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먹는 해피드럭 ‘마이너리티 리포트’ 의 예지자처럼 우리 역시 매일 다양한
수준
의 스트레스를 받는다.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우리 몸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엔도르핀 같은 물질이 분비돼야 한다. 만약 이들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으면 작은 스트레스에도 적응하지 못해 심한 경우 ... ...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있는 영양물질을 생물에게 제공해 많은 생명체에게 서식처를 제공하고, 생태계가 안정된
수준
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성장위주의 도시개발로 콘크리트로 채워지면서 먹이사슬의 고리가 끊어졌고 도시의 환경 정화기능이 빠르게 상실됐다. 최근 도심에 다시 인공습지를 만들려는 ... ...
시뮬레이션으로 나노 세계 비밀 푼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신소재공학과 4층에 위치한 강정구 교수의 연구실은 의외로 텅 비어 있다. 한쪽 벽을 차지한 책장을 제외하면 눈에 띄는 ‘짐’ 이라고 ... 우주선 추진체로 사용할 수 있는 고에너지 물질과 나노 트랜지스터 개발 등 나노
수준
에서 전산모사를 통해 응용할 수 있는 분야는 무궁무진합니다 ... ...
대한해협 터널구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일본과 한일터널에 대한 기술교류회를 가졌지만 주로 일본 측의 조사 결과를 교류하는
수준
이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한일터널에 대한 실질적인 검토 결과와 구체적인 제안들은 일본 측의 구상이다.그렇다면 일본 측의 구상에 대해 국내 터널 전문가들이 예상한 한일터널은 어떤 모습일까.궁금증 1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해충의 내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없다. 게다가 개발비도 기존 화학농약 개발비의 1/10
수준
에 머물기 때문에 경제적 측면에서도 유리한 점이 많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미래 삶을 확 바꿀 10대 웰빙 테크놀로지 과학동아가 선정한 10대 웰빙기술 01. 행복을 알약으로 먹는다 해피드럭 02. 무공해 ... ...
06. 보이지 않는 수호천사 바이오시그널 모니터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상황이다. 그만큼 생체신호를 측정, 분석하는 기술이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경제
수준
이 높아지고 삶의 질에 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이미 몸에 이상을 느낀 다음 치료를 받기보다 건강이 나빠지는 조짐을 보일 때 미리 조치를 취하는 방향으로 건강관리의 흐름이 바뀌고 있다. 이에 발맞춰 ... ...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난감하게 만든다. 그래서 최근에는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대신 불쾌감을 없애는
수준
으로 줄이는 기술이 채택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이다. 물론 소음이 완벽히 사라지기 원하는 일반인들은 이에 대해 불만을 가질 수밖에 없다.이를 보완하기 위해 연구자들이 개발한 ... ...
민간 유인로켓, 고도 64km 비행성공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마이크 멜빌이 기록한 이같은 고도는 통상 우주비행사나 군 파일럿들이 도달할 수 있는
수준
이다. 멜빌은 고도 13.8km에서 비행기 ‘화이트 나잇’에서 로켓을 분리시키고 약 10초 뒤 마하 2.5의 속도로 45km에 진입했으며 곧 64.4km에 도달했다.캘리포니아 모하비공항에 기반을 둔 스케일 컴포지츠사는 ... ...
이전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