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컴퓨터 인공지능은 수학으로 마술을 부린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정보만으로 카드의 모양과 숫자를 알아 맞히는 마술이다. 컴퓨터는 답을 맞히기 전 열어 볼 수 있는 카드의 개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처음에 어떻게 카드를 섞고 배치해야 하는지 계산한다. 사람이 카드 마술을 할 때보다 카드를 열어 보는 횟수가 평균 한 번씩 적었다.컴퓨터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 ...
- [시사] tvN 월화드라마 라이어게임 극한심리추적극 필승법은 수학이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이미 승패가 기운 분위기에서 힌두 셔플로 섞으면 카드 뒷면에 뭐가 있는지 훔쳐 볼 수 있으니 리플 셔플로만 섞고, 참가자가 주문한대로 여러 번 섞자고 제안한다. 상대방은 흔쾌히 이를 받아들이고 게임이 다시 시작되는데, 이때부터 신이치가 줄곧 이긴다. 대체 어떻게 된 걸까?바로 리플 셔플에 ... ...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체계의 효율성은 거래에 필요한 동전의 평균 개수와 화폐의 종류 수를 기준으로 분석해 볼 수 있다. 수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액면 체계는 무엇일까?탐욕 알고리즘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10원부터 990원까지의 범위 안에서 각각의 금액을 만드는 데 필요한 동전의 최소 개수를 아래 그래프로 ...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천문학 연구 사상 블랙홀의 모습을 가장 완벽하게 구현했기 때문이다. 원래 블랙홀은 볼 수 없다. 빛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영화 속에서 시꺼먼 블랙홀을 둘러싼 화려한 빛은 무엇일까. 원래 블랙홀 뒤에 있어 보이지 않아야 할 별빛이 블랙홀의 강한 중력렌즈 효과를 받아 휘면서 우리 ... ...
- [과학동아 카페] “노벨상 원리, 장풍 알면 쉬워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무협지 보면 장풍을 쏘잖아요. 거기 퓨마 옷 입은 학생 일어나서 저한테 장풍 한번 쏴 보세요. 장풍도 에너지라고 가정할게요. 자, 이렇게 에너지를 얻은 분자가 훌쩍!”올해 노벨 ... 원), 과학동아 정기구독자 및 서포터스는 무료다. 전문은 다음 링크(http://goo.gl/VSAsbS)에서 볼 수 있다 ... ...
- [knowledge] 지도를 4가지 색만으로 칠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않기 때문에 머리로 사유하고 머리로 검증하는 게 중요하다는 말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인간의 머리가 아니라 컴퓨터가 증명한 4색 정리는, 수학의 본질에 부합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시가미가 오랜 시간 동안 4색 문제 증명에 대해 불만족스러워했던 것이다. 4색 문제는 인간의 두뇌를 통한, 보다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어떻게 성별을 결정했는지는 아직 잘 모른다. 다만 다른 생물의 모습으로 미루어 볼 때 수정란 발생 초기 산성도나 온도에 따라 성별이 결정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도 악어나 거북 등 일부 파충류가 온도에 따라 성별이 결정된다.시간이 흘러 드디어 성 염색체인 Y가 등장한다. Y 염색체가 처음 ...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먼저 통과했을 가능성이 없으니까요. 연구팀도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런 행동을 볼 때, 코끼리가 가족 구성원이 누구인지, 또 자신의 현재 위치가 어디인지 안다는 의미로 해석했지요. 추가로 분석한 결과, 코끼리는 최대 30마리의 가족 구성원이 사라진 것도 소변 냄새로 알 수 있다고 합니다. ...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인터뷰를 종합해보면 망갈리안이 기술의 한계를 전략으로 돌파했다는 점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망갈리안은 미국의 메이븐보다 13일 앞선 지난해 11월 5일 인도에서 발사됐다. 반대로 도착은 메이븐이 3일 더 먼저였다. 화성까지 걸린 시간을 비교하면 메이븐이 16일 정도 빨랐다.인도는 지상에서 ... ...
- [career] 기숙사에서 매일 열리는 ‘비정상회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웃으며 손을 저었다. 외국인은 정원 외로 뽑기 때문에, 한국 학생들이 손해 볼 일은 없다는 뜻이다. 오히려 한국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점이 많다. 카이스트 홍보대사 ‘카이누리’ 회장인 윤종완(전기및전자공학과 2년)씨는 “외국 학생들의 적극성을 본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 학생들은 ... ...
이전316317318319320321322323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