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최후
최종
결말
대단원
궁극
막바지
d라이브러리
"
마지막
"(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주피터 X선으로 윙크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천체와 관련되기 때문일까. 주변에 있던 물질이 매우 빠르게 블랙홀로 빨려 들어갈 때 ‘
마지막
비명’처럼 내지른 강력한 에너지가 X선으로 방출된다.X선이 먼 우주가 아니라 바로 우리 태양계 내에서 발견된다면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그것도 태양이 아니라 행성에서. 최근 미항공우주국의 X선 ... ...
모르는 사실이 더 많은 이웃 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못하고 있다.이후 달은 우주탐사의 항목에서 방치된채 내버려져 있었다. 루나 24호의
마지막
방문 이후 18년만인 1994년, 소형탐사선 ‘클레멘타인’이 극궤도에 안착해 지난 시절 거대탐사선이 보지 못했던 극지역에서 놀라운 점을 발견했다. 남극 근처의 크레이터 속 깊은 곳에 만들어진 ... ...
두꺼운 베일 벗은 여신의 누드 금성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두꺼운 베일을 벗겨내자 눈부신 비너스의 누드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던 것이다. 계획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중력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금성에 근접한 후 대기와의 마찰로 궤도를 바꾸는 ‘에어로브레이킹’기술을 최초로 시도했다. 성공적으로 모든 임무를 마친 마젤란은 1994년 10월 12일 마치 지구를 ... ...
보이지 않는 빛 과학으로 찍는다 - 이만홍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같은 숱한 시도를 해봤지만 결국 물의 대류를 찍지는 못했다.그가 물의 대류를 찍기 위해
마지막
으로 생각한 방법이 ‘적외선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열을 담아내는 적외선 필름을 쓰면 물의 대류가 나타나지 않을까 생각한 것이다. 그러나 적외선 필름을 구하는 것이 문제였다. 코닥 같은 ... ...
2. 독성물 탐지하면 빛 발하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이 때문에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을 처리수에 넣어 분해시키는 생물학적 처리방법이
마지막
단계에 사용된다.물 재이용기술은 물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 물리적, 화학적, 그리고 생물학적 처리방법을 한차원 업그레이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최근 선보인 막결합형 생물학적 처리공정(Membrane Bio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한번에 자동으로 처리된다. 따라서 LOC의 핵심은 시료를 칩에 새겨진 각 과정을 거쳐
마지막
까지 제대로 흘러가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이것이 BioMEMS의 핵심이다.애니메이션 영화 ‘개미’를 떠올려보자. 남자 주인공 개미가 물방울에 갇혀 빠져나오지 못하는 장면이 있다. 이때 여자 개미가 남자 ... ...
과학논술로 미래 내다보는 안목 형성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수 있기 때문에 공기의 변하지 않는 성질로 습함을 내세운 것은 옳은 설명이 아니다.
마지막
으로 흙의 경우를 살펴보자. 흙은 건조하고 차갑다고 아리스토텔레스는 표현했다. 흙은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자라는 공간으로 그 속에는 많은 수분과 영양분이 포함돼 있다. 때문에 우리 주변에서 나무나 ... ...
1. 사이버 공간에서 탄생한 무령왕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자문을 최종적으로 받은 후 재수정 요구가 들어온 부분을 하나하나 고쳐나갔다.
마지막
으로 수정할 것이 없다는 국립공주박물관의 판정을 받고 마무리했다.6세기 당시 모습 그대로 복원이처럼 고증과 자문을 철저하게 실시한 이유는 완성된 디지털 무령왕릉이 공상과학영화로 전락하는 일을 ... ...
남극 일부지역 얼음층 두꺼워져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서부남극에 위치한 로스빙하의 얼음량이 1년에 2천6백억t 정도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마지막
빙하시대 이후 1만여년 간 서부남극 지역의 얼음량이 점점 줄어들었던 것과는 반대 현상이다.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과학자들은 남극에서 얼음층의 두께가 얇아지는 활동이 완전히 멈춘 것인지, 아니면 ... ...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개발사업의 선두지휘자 박종오 단장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차례의 방문, 수차례의 전화,
마지막
으로 e메일까지. 국내 최대 프로젝트를 이끄느라 눈코 뜰 새 없는 박종오 단장을 인터뷰하기 위해 기자는 여러 방면으로 접근해야 했다. 약속시간을 정해서 직접 찾아가거나 전화를 걸은 후 박단장과 연결이 돼서 인사를 나누고 얘기가 본론으로 들어가려치면 ... ...
이전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