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나로호 2025년 달을 쏜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그 시작이 바로 나로호다.GPS 위성도 쏘고 달도 탐사하고나로호의
다음
목표는 차세대 한국형 우주발사체 , 즉 KSLV-Ⅱ다. 그런데 우주개발이 얼마나 대단한 것이기에 1조 원이 넘는 국고를 투입해야 하는 걸까. 의문을 품는 이들이 많다(2022년까지 진행되는 한국형 발사체 사업에 ... ...
GMO 안전성에 빨간 불?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따라 달랐다. 암컷은 유방 조직에 큰 종양이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뇌하수체가
다음
으로 영향을 받았다. GMO와 라운드업 제초제 때문에 성호르몬에 불균형이 일어난 게 원인이었다. 수컷에서는 간 울혈(출혈이 일어나는 증상)과 괴사가 대조군에 비해 2.5~5.5배 높게 나타났다. 신장병도 1.3~2.3배 ... ...
죽음의 공포를 삭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즉 ‘편도체 시냅스’에 공포 기억이 저장된다. 신경신호가 전달될 때 시냅스에서는
다음
과 같은 변화가 일어난다. 먼저 앞에 있는 신경세포의 축색돌기 끝에 신경 전기신호가 전달되고, 축색돌기 끝에서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가 나온다. 글루타메이트가 두번째 신경세포 막에 있는 ... ...
[11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각 항목이 어떻게 사막화로 이어지는지 명쾌한 설명이 없다. 점점 더 궁금해지는 것은 그
다음
부터다. 일부 지역은 지나친 토지 이용이 사막화의 원인이 아닐 수도 있다는 대목에 관심이 쏠렸지만 딱 거기까지였다. ‘장기간 과학적 관찰에 의해서 얻은 객관적인 평가에 근거해 설명해야 하는 또 ... ...
Part 4. 우리 함께 살 수 있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생물종은 정체도 모른 채 사라지고 있다). 멸종위기 동물 복원은 인간이 더욱 건강하게
다음
세대를 기약할 수 있는 첫걸음이다. 집 근처 국립공원에 따오기와 황새가 놀러 오고 곰과 여우가 눈치를 살피는 모습. 머릿속에 떠올리기만 해도 한번쯤 살고 싶은 곳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어릴 적 가난이 유전자에 흔적 남긴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시토신(C)과 구아닌(G)의 위치를 분석했다. 시토신과 구아닌은 DNA의 구성요소로, 구아닌
다음
에 시토신이 등장하는 특정 서열(CG사이트)의 빈도는 메틸화와 관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 결과 성별과 노화를 비롯해 어렸을 적 가난 같은 환경 차이가 유전자 각인 과정을 통해 DNA에 영구적인 ... ...
“조바심내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들쭉날쭉한 성적 때문에 고민이다. 성적이 높게 나올 때는 영재학교도 꿈꿨는데 금세
다음
시험에서는 성적이 뚝 떨어지기도 한다. 평소 성적이 좋아서 수상을 기대하고 참가했던 수학경시대회에서도 점수가 낮았다.“영재학교 가고 싶은데, 성적이 문제에요.”“영재학교에 왜 가고 싶니? 스펙이 ... ...
진달래 vs 철쭉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수의사는 양에게 철쭉을 먹이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연구했어요. 철쭉을 먹은 양들은
다음
날 구토, 호흡곤란 같은 중독 증상을 나타냈대요. 다행히도 해독제를 먹이자 양은 모두 회복됐지요. 철쭉은 왜 이렇게 무서운 독을 만들어 둔 것일까요? 다른 동물이 꽃을 먹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랍니다. ... ...
영상의학,수학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변환해 줘야 한다. 잡티를 제거한 뒤 배경색을 최대한 자연스럽게 맞추기 위해서다. 그
다음
은 미분방정식을 이용하면 된다. 먼저 구한 사진 데이터의 평균값을 미분방정식에 대입해 각각의 해를 구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해 복원하는 사진의 경계를 더욱 자연스럽게 만든다.미분방정식을 ... ...
베토벤도 깜짝! 음악에서 찾은 기하학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나타내 분석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클래식 음악은 음의 변화 폭이 크지 않았다. 대개
다음
음 근처의 높은 음이나 낮은 음으로 이동하는 식이었다. 반대로 록 음악은 그 변화가 심했다.그런데 신기하게도 특정한 음정의 폭이 한 곡에서 나오는 빈도는, 음의 변화가 심한 곡인지 아닌지에 따라 ... ...
이전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