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담수담] 마음의 공식을 알면 수학 공식이 보인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시작했나요?조난숙 교수 : 저는 어려서부터 수학을 좋아했어요. 초등학교 3학년 때 소수를 공부하고 나서부터 평소에 작게 느꼈던 숫자 2가 매우 커 보이는 등 수학만의 신비로운 매력이 있었거든요. 그런데 대학교에 입학해서 진짜 수학을 잘하는 사람들을 만났고 그 사람들이 너무 부러웠어요. ... ...
- [이달의 수학자] 나라를 구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바로 대표적인 프랙털 도형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은 1915년 폴란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가 고안한 도형입니다. 2020년 12월호 ‘퓨처TV 매스크래프트’에서 자세히 소개했죠. 1882년 3월 14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태어난 시에르핀스키는 폴란드 크라쿠프에 있는 ...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구상했다. 항성을 둘러싸는 원형구조물을 만들어 에너지를 얻는다는 개념이다. 2011년에는 초대질량블랙홀 주변에 다이슨스피어를 만들어 거주하는 외계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주목해, 외계 지적생명체 탐색(SETI) 프로젝트에서 다이슨스피어의 흔적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논문이 ...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연구팀과 캐나다 몬트리올대 연구팀은 지구에서 약 124광년 떨어진 적색왜성 근처의 외계행성 K2-18b 대기에서 물의 존재를 찾아내 2019년 ‘네이처 천문학’(9월)과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12월)에 각각 발표했습니다. doi: 10.1038/s41550-019-0878-9, doi: 10.384 ...
- 해마다 찾아오는 동물 전염병, 살처분 대신 백신 접종 고려할 때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주사까지 다양합니다. 심지어 AI 백신도 이미 일부 맞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2007년부터 저병원성 AI 백신을 접종하고 있습니다. 윤 회장은 “당시에도 우려와 반대가 있었지만, 매우 성공적으로 질병을 통제한 사례로 남아있다”고 설명했습니다.그는 “국내에서는 AI 바이러스 없이 유전자만으로 ... ...
- 탄소배출의 주범이라고? 공장이 변하고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발표한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에 따르면 향후 2034년까지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비율을 40%까지 높일 예정이기 때문에, 전기화 전환도 점차 속도를 낼 것이다.이런 방법을 거쳐도 어쩔 수 없이 공장에서는 탄소가 배출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이 탄소를 다시 ... ...
- [그래프뉴스] 친환경 전기차가 쓰레기를 만든다고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수밖에 없죠. 환경부는 1년 동안 버려지는 전기차 배터리의 수가 2024년에 약 1만 개, 2040년에는 약 69만 개가 될 것으로 예상했어요. 전기차 배터리는 사람에게 위험한 독성 물질이 들어있고 잘못하면 폭발할 위험도 있어서 함부로 버리면 안 돼요. 따라서 전문가들은 버려진 전기차 배터리를 ... ...
- 앨런 튜링의 일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수 있었다. 나와 수학 얘기를 나눴던 절친한 친구 크리스토퍼 모컴이 세상을 떠난 뒤 20년이 지났다. 그동안 난 인간의 지능을 기계에 넣는 방법을 끊임없이 고민해왔다. 그리고 드디어 이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완성했다. 컴퓨터와 대화를 나눌 때 컴퓨터인지 인간인지 구별할 수 ... ...
- [똥손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평범함은 거부한다! 10면 주사위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언제 처음 등장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아요.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기원전 3000년 경 이란의 샤르에 수헤테에서 발굴된 주사위가 가장 오래된 주사위예요. 무려 청동기 시대 사람들이 사용했던 것입니다.기원전 950년 경 고대 이집트인은 네 발 동물의 발목뼈로 만든 네 면으로 이뤄진 주사위를 ... ...
- [특집] 미션1. 식량을 공평하게 나눠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아주 오랫동안 ‘공평한 나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민했어요. 그러던 1948년, 폴란드 수학자 후고 스테인하우스가 ‘고독한 분할법’이라고 불리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고독한 분할법은 한 사람이 나누고, 나머지 사람이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나조아가 빵 세 종류를 적당히 골라 14개씩 ... ...
이전316317318319320321322323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