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스페셜
"
결합
"(으)로 총 1,077건 검색되었습니다.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이산화탄소 배출 줄었지만 여전한 지구온난화
2021.07.12
기후시스템과 대기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대기오염물질은 다른 가스 물질들과
결합
력이 좋아 대기 중 체류시간이 짧다. ○ 지구 온도 높이는 온실가스 Vs. 온도 낮추는 대기오염물질 코로나19 봉쇄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감소는 2020년 전 세계 대기질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 독일 ... ...
[표지로 읽는 과학]경이로운 기하학적 형태를 띠는 꽃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1.07.11
분열 조직으로 인해 마디와 마디 사이가 느리게 성장하는 현상과 개화 관련 유전자가
결합
하고 그 결과 불완전한 형태의 꽃이 겹겹이 자라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 기관이 발달하는 동안 분열 조직이 제기능을 했다면 지금과 같은 차원 분열 형태의 도형이 아닌 원뿔 구조의 꽃이 만들어졌을 ... ...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혈전증 유발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8
냉장고에 놓여 있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연합뉴스 제공 캐나다 과학자들이 아데노 바이러스를 전달체로 사용하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 연구팀은 PF4 단백질의 분자 구성을 변경하는 기술을 적용하면 혈소판 단백질의
결합
영역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코로나 'T세포 백신' 나올까? 변이 저항 '항원결정기' 다수 발견
연합뉴스
l
2021.07.06
플러스 전위는 청색, 마이너스 전위는 적색으로 표시돼 있다. 베타 변이는 수용체
결합
도메인(RBD)과 N-말단 도메인(NTD)의 변화가 심해, 항체의 중화 능력을 저하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 보스턴 아동병원 Bing Chen / 재판매 및 DB 금지] 이 발견이 주목받는 건 현재와 미래의 코로나 변이를 모두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항체치료제 전성시대 열리나
2021.07.06
선별해 비만인 사람들에게 1회 주사했다. 항체는 한 달 동안 체내에 머무르며 표적에
결합
해 신호를 보냈고 그 결과 3주 뒤 몸무게가 2% 정도 줄었다. 설문 조사 결과 항체를 투여받은 사람들은 식욕이 떨어졌는데 특히 단맛이 많이 나는 수화물에 대한 선호도가 낮아졌다. 부작용으로는 몇몇 사람들이 ... ...
20세기 휩쓴 세 번의 '팬데믹'과 '인포데믹' 역사
연합뉴스
l
2021.07.06
WHO)가 선포하는 감염병 최고 경고등급이다. 이는 정보(information)와 전염병(epidemic)이
결합
된 인포데믹(Infordemic·정보감염증) 현상을 낳으며 공포를 더욱 키우고 있다. 이런 팬데믹의 역사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인류 탄생 이래 감염병들은 걸핏하면 나타나 발광하듯 전 세계를 휩쓸곤 했다. ... ...
[우주산업 리포트] 우주산업도 4차 산업혁명 중 '3D프린팅'
2021.07.03
단 3개의 부품으로 조립해 만든다. 일반적인 로켓 엔진이 수천 개의 크고 작은 부품들의
결합
물인 것을 고려할 때 매우 단순하고 경제적인 구조임이 틀림없다. 렐러티비티 스페이스는 지난 6월 기술의 시장성을 인정받아 대형 자산운용사 피델리티와 블랙록, 헤지펀드 소로반 캐피털 등으로부터 ... ...
[표지로 읽는 과학] 중력 거스르는 식물의 모세관 현상을 모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3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에도 쓰인다. 우리 몸의 장기 세포를 반도체 칩과
결합
한 생체 모방칩(organ-on-a-chip)도 미세유체공학이 활용된 대표적인 사례다. 미세유체공학 기술의 핵심은 지름이 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수준인 미세관 안에서 액체 흐름을 조절해 각종 시료를 ... ...
코로나바이러스, 코 속 섬모세포에서 증식 순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7.02
공기접촉면에 집중 분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바이러스가 섬모세포의 공기접촉면에
결합
해 세포 내로 침투 후 복제·증식한다는 의미다. 반면 그동안 주요 감염 표적으로 여겨졌던 코 점막에 있는 점액분비세포나 구강 상피세포에는 수용체 단백질이 존재하지 않았다. 연구진은 또 코로나19 ... ...
코로나19 감염 90분만에 진단하는 마스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9
바뀌는 원리다. 연구팀은 이 종이 센서를 마스크 원료인 폴리에스터 섬유와
결합
시켜 마스크를 만들었다. 또 실제로 코로나19 바이러스 진단에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마스크에 달린 센서 버튼을 누르면 장비에서 물이 흘러나와 센서를 적시고 센서가 활성화된다. 센서는 PCR처럼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