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스페셜
"
개발
"(으)로 총 684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 과학상, 패러다임을 바꿔야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06
교수가 수상했다. 이들은 분자의 화학반응을 알아내는 컴퓨터 프로그램 ‘참(CHARMM)’을
개발
한 주역들이다. 지금까지는 고분자의 움직임과 반응을 정확하게 알아내려면 직접 실험을 하거나 전자현미경, 회절촬영기 등으로 관찰해야만 했다. 그러나 이제는 ‘참’을 사용해서 시뮬레이션 ... ...
일터와 산업을 바꿔놓은 한 건의 발명
KOITA
l
2013.11.08
것이다. RCA는 칼슨의 특허를 전혀 침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독자적인 건식 복사방법을
개발
했으며 IBM은 할로이드의 복사기술을 사들여 직접 제작하는 것까지 고려했다. IBM은 컨설팅 회사에 의뢰한 결과 복사기 시장의 형성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정전식 복사기 사업을 포기함으로써 ... ...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KOITA
l
2013.11.04
아예 API와 웹 디자인 프레임워크를 오픈소스로 풀어버려서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
개발
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덕분에 트위터 서비스는 여기저기서 볼 수 있다. 온라인 게임 아이온은 게임 내에 트위터를 구현했으며 음악 소프트웨어인 알송 역시 트윗을 지원한다. 트위터 전체 이용자 중 15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신념으로 1979년부터 기업연구소 설립과 운영을 지원하고, 산업기술 지원정책
개발
과 선진 기술경영 보급․확산을 통해 기술혁신 풍토 조성에 앞장서 온 기관이다 ... ...
Apple 신화의 시작점. 혁신기기 아이맥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08
뜻을 굽히지 않았다. 회사 측은 앞으로 읽고 쓰기가 가능한 트레이형 CD 드라이브를
개발
될 것이라며 잘 못하면 아이맥이 시대에 뒤처지게 된다고 설득했지만 잡스의 고집을 꺾을 수는 없었다. 읽고 쓰기가 가능하지 못했던 아이맥의 단점은 추후 잡스가 음악 시장에 뛰어들겠다는 결단을 내리게 한 ... ...
[웹툰] IT 강국, 댓글 강국
KOITA
l
2013.10.08
홈페이지를 열심히 들락날락하게 되었습니다. 결국, 우리는 의견합의를 보고 각자 전산
개발
카페들을 방문하여 여러 프로그래머의 현황과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이 분야에 적당한 인재가 우리의 레이러망에 걸려들기를 기다렸습니다. 기다림에 지쳐 내가 먼저 게시판에 장황한 글을 올렸습니다(내 ... ...
「원자력 교육백서」 첫 발간
동아사이언스
l
2013.10.01
발행하여 원자력 유관기관에 배포될 예정이다. 백서는 기관별로 전문화된 고유 컨텐츠
개발
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기관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비롯해 원자력 전문인력 양성 시스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위의 내용은 미래창조과학부의 보도자료입니다 ... ...
“나노 기술은 나무 ‘밑동’…투기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13.09.25
기준이 될 수 있을지를 논의한다”고 말한다. 나노 기술에서 표준화는 우리가
개발
한 나노 기술을 확산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소홀히 할 수 없다. 그는 “10년 전만해도 우리나라에서 쓰는 비디오테이프를 미국에서는 볼 수 없었다”며 “비디오테이프에 대한 국제표준(ISO)이 ... ...
임진왜란 해전 승리의 비결이 거북선이라구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23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조선으로서는 개량된 왜선을 대적할 수 있는 새로운 함선의
개발
이 요구되었고, 이리하여 출현하게 된 것이 바로 판옥선이다. 판옥선은 우선 다층 전함이라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전 시기의 전함들이 모두 단층의 평선(平船)이었기 때문에 갑판 위에는 전투요원과 ... ...
어려움 속에서 빛나는 창조적 아이디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9.23
생산하는데 가장 적합했던 것이다. 이들의 아이디어와 새로운 시설들은 아직도 계속
개발
되고 있다. 맹수를 가두는 철창도, 버스를 타고 구경하는 사파리 버스, 돌고래 쇼와 같은 조련 동물들의 공연도 없다. 다만 자유롭게 생활하는 동물들과 이를 좀 더 가깝게 관람할 수 있는 장치가 있을 뿐이다.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