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초
아교
접합제
식물
초본
자연초
반수
뉴스
"
풀
"(으)로 총 1,165건 검색되었습니다.
NASA 탐사선 ‘오시리스-렉스’, 소행성 표본 싣고 23억km 지구 귀환길 올라
동아사이언스
l
2021.05.11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의 상상도. 오시리스-렉스는 로봇 팔을 이용해 소행성 표면의 토양 샘플을 채집해 지구로 귀환할 예정 ... 방식을 보여 줬다”며 “이제 우리는 후속 세대의 많은 연구자들이 태양계 비밀을
풀
수 있는 원시 조각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 ...
[주말N수학] 수학계를 주름잡는 수학 명가
수학동아
l
2021.05.08
다른 수학자의 행보를 보였다. 문제
풀
이에 집중했던 조선시대의 산학을 논리적으로
풀
어낸 수학책을 썼으며, 방정식에 대한 ‘차근방몽구(1854년)’, 기하와 삼각법에 대한 ‘산술관견(1855년)’, 홍정하의 구일집과 함께 조선의 수학을 대표하는 수학책인 ‘익산(1868년)’ 등을 저술했다. ... ...
우주정책센터 STEPI로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4
과정에서 부실한 자료를 제출했는데도 STEPI가 선정됐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전문가 인력
풀
에서 항우연은 14명을, STEPI는 11명을 제출했고 정책 및 사업 기획 등 실적 항목에서 항우연을 내용을 채웠지만 STEPI는 비워둔 채 제출했다는 것이다. 이같은 이유로 이번 정부 들어 과학기술 분야 실세로 ... ...
35년 전 체르노빌 원전사고 겪은 피해자들, 대물림 피폭 흔적 없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6
DNA의 손상은 암과 같은 질병으로 이어진다. 사고 당시 당국은 방사능 낙진이 떨어진
풀
을 먹고 자란 소에서 짜낸 우유가 판매되는 것을 바로 막지 못했다. 당시 어린 나이였던 많은 이들이 다량의 방사성 아이오딘이 포함된 우유를 마시게 됐다. 이로 인해 5000명 이상이 갑상선암에 걸렸다. ... ...
살아있는 면역세포 형광분자로 염색해 관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9
담당하는 세포들이 있다. 살아 움직이는 B세포를 식별해야 사람의 면역에 대한 비밀을
풀
수 있다. 국내 연구팀이 B세포를 식별할 수 있는 새로운 형광분자 ‘CDgB’를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18일 장영태(포스텍 화학과 교수) 자기조립연구단장 부연구단장과 김기문 연구단장, 강남영 포스텍 ... ...
[인터뷰]"문제 빨리 푸는 것보다 논리적 해결력이 더 필요한 시대"
2021.04.18
학생들(외우지 못하는 학생들)은 시간을 많이 갖고 생각해보며 쉬운 문제를 많이
풀
고 원리를 이해하는 시간을 많이 들이면 금방 수학이 익숙해지고 금방 진도를 따라잡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우정사업 자율주행 시범운영을 지켜보고 있는 최기영 장관의 모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
[인간 행동의 진화] 아빠의 진화
2021.04.18
오래 사는 지혜로운 아버지의 유전자가 자식을 통해 유전자
풀
에서 크게 불어났다. 현대 사회의 아버지 역할은 강력한 신체적 힘을 통해 물리적으로 가족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다. 사실 나도 혹시나 해서 현관에 야구방망이를 가져다 놓기는 했지만 ... ...
핵융합 산업을 준비하는 스타트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성과를 내고 있다. CFS는 지난해 9월 국제학술지 ‘플라스마 물리학 저널’에 2025년
풀
가동이 가능한 핵융합로 ‘스파크(SPARC)’ 연구결과를 담은 7개의 논문을 발표했다. CFS가 구축한 스파크는 토카막 내부에 초고온 플라스마를 가두는 데 필요한 자기장을 만드는 데 ‘고온 초전도 자석’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이명과 환청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2021.04.06
우는 소리가 들렸다. ‘겨울에 무슨
풀
벌레?’ 이상하다 싶어 귀를 기울였는데 진짜
풀
벌레 소리는 아니었지만 비슷한 소리가 확실히 들렸다. 아침에 깨서도 소리가 계속됐고 낮에는 잠잠했지만 밤이 돼 자리에 눕자 또 들렸다. 게다가 날이 갈수록 점점 더 커져 낮에도 조용한 곳에 있으면 들렸다. ... ...
해조류 먹은 소는 메탄 방귀 덜 뀐다
과학동아
l
2021.04.06
작용을 억제했기 때문이다. 소고기의 맛에도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현재 바다고리
풀
을 양식할 방법을 찾고 있다. 에르미아스 케브레브 UC데이비스 동물학과 교수는 “인류가 사용하는 땅은 농경지보다 목초지로 적합한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목축업은 인류의 식량 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