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복
배가
되풀이
거듭
겹치기
이중
2중화
뉴스
"
중복
"(으)로 총 331건 검색되었습니다.
숙주나물 되는 녹두의 유전체 지도 첫 완성
2014.11.19
비교한 결과, 녹두는 유전체 크기가 콩의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콩은 유전체
중복
이 2번 이뤄졌지만 녹두는 1번만 일어났기 때문이라는 것. 이 교수는 “녹두에서 유용 유전자를 발굴하고 우수한 형질과 관련된 분자 마커를 개발해 신품종 개발에 나설 계획”이라며 “전통 육종 기술과 ... ...
슈퍼박테리아 만드는 ‘카멜레온 유전자’ 찾았다
2014.09.23
4개 이상의 염기로 이뤄진 짧은 염기서열(SCS)이 DNA가 복제되는 과정에서 여러 번
중복
복제되자 효소의 구조에 돌연변이가 일어났다. 그 결과 돌연변이가 생긴 효소는 베타락탐이 아닌 다른 항생제를 분해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하지만 이렇게 돌연변이가 생긴 효소는 반대로 베타락탐을 ... ...
영화 ‘제보자’로 본 ‘줄기세포 3대 스캔들’ 제보자 집중 분석
2014.09.19
발표된 학술지 10종의 편집위원들에게 제보자가 직접 ‘14편의 논문에서 줄기세포 사진에
중복
게재가 있다’는 내용으로 장문의 e메일을 보낸 것이다. 이들 논문의 교신저자는 모두 강 교수였다. 이 일은 논문 표절과 철회를 감시하는 해외 웹사이트인 ‘리트랙션워치(Retraction Watch)’를 통해 강 ... ...
[표지로 읽는 과학] 벼 해독 10년 만에 ‘진짜’ 밀 게놈 해독
과학동아
l
2014.07.20
셈이다. 유전자가
중복
되지 않은 경우는 4%에 불과했다. 반면 옥수수는 41%의 유전자가
중복
없이 한 개만 존재한다. 이렇게 같은 유전자가 여러 개 있는 것도 밀의 유전자 분석을 마치는 데 어려움을 준 요인이다. 이밖에 이번 주 사이언스에는 야생밀이 어떻게 빵밀이 됐는지 계보를 그린 연구 ... ...
“바이오전략위원회 신설해야”
과학동아
l
2014.07.18
“바이오전략위원회가 세워진다면 부처 간 경쟁 구도를 협력 구도로 바꿔 바이오 사업의
중복
을 막고, 기초 연구부터 실용화까지 전주기적인 연구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날조 의혹 STAP 세포 논문, 결국 모두 철회
과학동아
l
2014.06.04
2012년 7월 ‘사이언스’에 동일한 논문을 제출했다가 이번에 문제가 된 화상 데이터
중복
사용을 지적받아 게재되지 못했다는 사실을 공개하며 “(데이터 조작을) 고의적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STAP 세포 논문이 게재된 ‘네이처’의 3일자 블로그에는 일본 언론 보도를 ... ...
논문 표절 막을 단 하나의 방법!
과학동아
l
2014.04.09
약대 연구진이 미국 의학 전문저널 ‘메리 앤 리베르트’에 게재한 논문 속 사진이
중복
돼 실린 사실을 고발해 국내에서도 유명세를 탄 바 있다. 그는 2012년 7월 개설한 ‘사이언스 프로드(Science Fraud)’라는 블로그에 올린 부정논문 274편과 블로그에 공개하진 않았지만 문제점이 있음을 저자나 ... ...
아름다운 꽃…알고보면 인간을 '쥐락펴락' 한다고?
과학동아
l
2014.03.28
꽃가루에 든 정자 2개는 각각 다음 자손이 될 배와 싹을 틔울 때 쓸 양분인 배젖으로
중복
수정된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쌀로, 이는 탄수화물 형태로 저장된 배젖이다. 해바라기, 포도, 카놀라 등의 배젖에는 불포화지방이 많아 식용유로 사용되고 있다. 많은 진화심리학자는 “인간이 꽃을 ... ...
[기자의 눈] 논문조작, 또 줄기세포야?
과학동아
l
2014.03.12
한국사람들을 패닉에 빠뜨렸던 황우석 박사 논문 조작 사건과 닮은 점이 많다. 우선
중복
게재된 것으로 보이는 사진에서 출발한 의심의 종착역이 ‘그리고 아무 것도 없었다’로 가는 분위기라는 것이다. 황 박사가 복제하는 데 성공한 인간배아줄기세포는 단 한 개도 없었고, STAP 세포 관련 ... ...
황우석의 악몽, 日에서 재현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14.02.17
최근 화상 데이터 일부가 조작된 흔적이 있고 STAP 세포로 만든 쥐의 태반 사진이
중복
사용됐다는 의혹이 제기 된 것. 이에 이화학연구소는 13~14일 이틀간 하루코 박사를 상대로 직접 조사를 벌인 뒤 “현 시점에서 연구 성과 자체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지만 외부 지적이 있기 때문에 조사를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