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답
정답
해답
해소
해결
해법
뉴스
"
정해
"(으)로 총 1,45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산업 리포트] ‘다누리’에 이어 떠나는 달 탐사선들
2022.08.12
단 발사체의 첫 시험발사가 아직 진행되지 않은 상태라 탐사선의 구체적 발사일은
정해
지지 않았고 발사가 연기될 가능성도 있다. 페레그린의 크기는 가로 2.5m x 세로 1.9m로, 총 14개(무게 90㎏) 탑재체를 달의 최대 분화구인 ‘죽음의 호수’(Lacus Mortis)까지 운송하는 역할을 맡는다. 착륙에 ... ...
[한국 첫 달궤도선] 다누리 이후 올해 전세계 달 탐사 잇따라
2022.08.05
프로젝트다. 한국도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아직까지 구체적인 역할이나 미션은
정해
지지 않았다.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사전 작업으로 미국은 이달 29일 우주선 아르테미스 1호로 무인 달 궤도비행을 보낸다. 또 달의 현지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탑재체 '프라임-1'을 보낼 ... ...
무증상자도 코로나 신속항원검사 지원…전문가들 "방역 효과 글쎄"
동아사이언스
l
2022.08.03
큰 도움 안될 것" 신속항원 검사보다 정확도가 높은 유전자증폭(PCR) 검사는 우선순위로
정해
진 대상자에 한해서 증상 유무에 관계없이 무료로 시행되고 있다. 개인적으로 검사를 원하는 경우 8~11만원의 본인부담금이 발생한다. 대상자는 만 60세 이상 고령자, 코로나19 의심증상이 있어 검사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스타벅스 캐리백 논란...엄습한 발암물질 공포
2022.08.03
과속을 단속하는 이유는 ‘법규 위반’이기 때문이다. 유해물질의 안전기준도 정부가
정해
놓은 ‘법률’을 위반했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제한속도와 마찬가지로 허용기준도 국민 안전과 규제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고려해서 책정한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 ... ...
'모다모다 샴푸' 논란 어디쯤 왔나...박테리아 실험 결과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22.08.02
식약처는 규개위 권고에 따라 소비자단체협의회를 추가 위해성 평가기관으로
정해
모다모다 제품에 대한 추가 검증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 교수는 “독성을 평가하는 것은 과학자의 일”이라며 “독성학회나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의학한림원 등 과학자 ... ...
제임스웹우주망원경 성과 부산서 직접 듣는다...내달 2일부터 국제천문연맹 총회
동아사이언스
l
2022.07.24
018년 비엔나에서 개최된 제30차 IAU 총회에서 부산 개최가
정해
진 뒤 대회기를 이양 받는 강혜성 교수(조직위원장)와 박명구 교수(한국천문학회장). 과기정통부 제공.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 프로젝트에 참여한 미항공우주국(NASA) 과학자 클라우스 폰토피단(Klaus Pontoppidan)이 설명하는 제임스웹 ... ...
WHO, 원숭이두창 국제보건비상사태 회의 개최…코로나19처럼 현황판도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7.22
6시간 가량 회의를 진행했지만 아직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선언 여부의 발표 시점은
정해
지지 않았다. 테워드로스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날 열린 회의에서 개회사를 통해 “원숭이두창이 일부 국가에서 감소 추세를 보이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6개국은 지난주 첫 번째 사례를 ... ...
유럽 폭염, 원전에도 불똥…스위스·프랑스서 가동 줄여
연합뉴스
l
2022.07.19
측은 폭염이 얼마나 더 지속되느냐에 따라 기존의 최대 전력생산치를 언제 회복할지가
정해
질 거라고 전했다. 프랑스 남부에 있는 원전들도 비슷한 실정이다. 블룸버그의 보도에 따르면 혼(Rhone) 강의 냉각수를 사용하는 생탈방 원전은 스위스와 유사한 환경 규제를 지키기 위해 오는 20일부터 ... ...
재미 수학자 허준이 교수, 수학계 노벨상 필즈상 수상(종합)
2022.07.05
국적으로 고차원에서의 ‘케플러 추측’을 해결하는데 공헌했다. 케플러 추측은
정해
진 공간 안에 구를 최대한 많이 쌓는 방법과 관련한 수학 문제다. 필즈상 선정 위원회는 “비아조우스카 교수가 찾은 방법은 다른 분야에도 응용할 수 있다는 점을 높이 샀다”고 밝혔다. 뒤미닐코팽 교수는 ... ...
[2022 필즈상]사상 두번째 여성 필즈상 수상자 "우크라이나에 희망 되길”
수학동아
l
2022.07.05
수학계 스타로 떠오른 인물로 이후로 필즈상 후보로 계속 꼽혀왔다. 케플러 추측은
정해
진 공간 안에 구를 최대한 많이 쌓는 방법에 관련한 문제다. 1620년 독일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가 3차원에서의 답을 추측하며 문제를 제기했다. 비아조프스카 교수는 친구의 권유로 고차원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