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NASA
뉴스
"
미국항공우주국
"(으)로 총 2,291건 검색되었습니다.
7년만의 북미 개기일식…태양 비밀 밝히러 한국 원정대 출격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보낸다. 개기일식 때 관측이 가능한 태양의 바깥 대기 부분인 '코로나'를 연구하고
미국항공우주국
(NASA)와 공동으로 개발한 국제우주정거장용 코로나그래프(CODEX)의 핵심 연구를 위한 마지막 지상 관측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코로나그래프란 인공적으로 태양 원반을 가려 개기일식처럼 관측할 수 ... ...
7년만의 북미 개기일식…4분 넘게 지속 '이례적'
동아사이언스
l
2024.04.01
2017년 8월 21일 미국 오레곤주 마드라스 상공에서 개기 일식이 진행되고 있다. NASA/opalswamy 일주일 뒤인 8일(현지시간) 2017년에 이어 7년만에 북미에서 개기일식 현상이 일어난다. 이번 개기일식 관측 기회를 놓치면 20년을 기다려야 해 북미 전역에서 관심이 뜨겁다. 국내 연구자들도 이번 개기일식이 ... ...
부산시·천문연 초소형 해양관측 위성 '부산샛'으로 국제연구 나서
동아사이언스
l
2024.03.28
지자체 최초로 제작된 초소형 해양관측 위성인 '부산샛'이다. 부산시 제공 지자체 최초로 제작된 초소형 해양관측 위성인 '부산샛'이 세계 기후변화 관 공동연구에 활용된다. 부산시와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은 28일 부산시청 국제의전실에서 '해양관측위성 부산샛의 공동 활용을 위한 업무협 ... ...
민간 발사장 구축·달탐사 2단계 착수…올해 우주개발에 9923억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24.03.28
누리호가 3차 발사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정부가 올해 국내 최초 민간 소형 발사체 발사장 구축에 착수한다. 상반기에는 초소형 군집위성 시제기를 발사한다. 2025년 누리호 4차 발사 때 탑재해 성능을 검증할 소자와 부품 8개를 올해 선정한다. 9월에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함께 태 ... ...
"농사 짓고, 얼음 찾고"…NASA, 유인 달 탐사 장비 3종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3.28
달 표면에 탐사 장비를 설치하는 우주비행사의 컨셉 아트. NASA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유인 달 탐사 미션인 '아르테미스 3호' 임무에서 우주비행사가 달 표면에 최초로 설치할 탐사 장비 3종을 선정했다고 2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세 장비는 2026년 발사가 목표인 아르테미스 3호에 탑재된다. ... ...
우주항공청 인재 채용 '흥행'?'…여전히 '가시밭길'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3.26
더욱 부족하게 느껴지는 수준이다. 글로벌급여정보사이트 컴패어러블리에 따르면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그룹장급 연구원의 평균연봉은 22만3604달러(약 3억449만원)다. 미국 민간기업의 급여는 이보다 더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우주항공 분야 투자를 강화한 나라의 기관과 비교해도 초라하다. ... ...
'영면'에 들어간 민간 첫 달 착륙선 '오디세우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오디세우스가 동력이 고갈되기 전 마지막으로 보낸 달 표면 사진. Intuitive Machines 제공 미국 민간기업 최초로 달 착륙에 성공한 달 착륙선 '오디세우스'가 전력 문제로 한 달 만에 임무를 완전히 종료했다. 달 착륙선 오디세우스를 개발한 미국 기업 '인튜이티브 머신스'는 24일(현지시간) X(구 트위터) ... ...
버려지는 열에너지 회수하는 '열전 신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8
열과 전기를 변환하는 열전기술은 화석연료에서 에너지를 생산할 때 버려지는 열에너지(폐열)를 회수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환경 파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팀이 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열전 신소재를 개발했다. 버려지는 열에너지(폐열)를 회수 ... ...
국제우주정거장서 자율비행한 로봇 데이터셋 최초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5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김표진 기계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애스트로비를 통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의 통합 데이터셋을 개발 및 공개했다고 15일 밝혔다. 무중력 환경인 우주 공간은 로봇이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고 회전할 수 있다. ... ...
얼음 사이 미끄러지는 뱀 로봇…토성 위성에서 생명체 찾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3.14
뱀 모양의 탐사로봇 EELS의 컨셉 일러스트. 토성의 얼음 위성 엔셀라두스를 탐사할 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NASA 제공 미국 연구팀이 험한 얼음 지형을 자율적으로 탐사할 수 있는 뱀 모양 탐사로봇을 개발했다. 생명체 존재 가능성으로 주목받는 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를 탐사할 때 도움이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