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상품
제품
품목
용품
물자
항목
뉴스
"
물품
"(으)로 총 328건 검색되었습니다.
“슬퍼하지 마세요~ 2015년 하얀 첫눈이 온다구요~”
동아사이언스
l
2015.11.24
실기간 검색어와 쇼핑 상품이 겨울 관련
물품
으로 바뀌고 있어요. 계절이 바뀐 것을 실감하게 됩니다. 하지만 ‘눈’이 와야 겨울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으신가요? 11월 중순이면 꼭 내리던 첫눈을 아직도 보지 못한(동아사이언스 본사는 서울에 있습니다) 덕분에 아직 겨울이 다가온다는 것이 ... ...
방사성 폐기물 운송 치밀한 '한밤 대작전'
2015.11.13
줄지어 이동했다. 호송차량 2대와 운송차량 2대, 그리고 고장을 대비한 예비차량과 대처
물품
을 실은 비상대응 차량까지 한 조가 돼 폐기물을 운반한다.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방사선 누출 없어 ‘안전’ 대전 원자력연에서 경주 방폐장까지 거리는 257㎞로 승용차로 3시간 남짓에 불과하다. ... ...
영국 국보급 과학유물, 한국 온다
2015.11.11
과학실험도구와 함께 국왕 조지3세가 수집한 138점의 영국 왕실 소장품도 선보인다. 이들
물품
은 18세기 과학사를 조명하는 귀중한 보물로, 영국 외 다른 국가에서는 처음으로 전시되는 것이다. 김주한 관장은 “과학기술인과 청소년을 비롯한 많은 사람이 와서 관람하기를 권한다”며 “이번 ... ...
‘4대강 로봇물고기’ 뇌물 1억 챙긴 연구원 구속
동아일보
l
2015.11.10
두 범죄 행위가 관련이 있다고 보고 수사 중이다. A 씨가 1억 원을 받은 업체 두 곳과 가짜
물품
검수증을 써준 업체가 서로 다른 곳이지만 복잡한 거래 구도로 이뤄지는 프로젝트 특성상 이들 업체 간에도 연관성이 있다는 게 검찰의 시각이다. 로봇물고기는 지난해 7월 감사원 감사 결과 9대 중 7대가 ... ...
“실험실 안전, 가장 중요한 건 결국 연구자 의식”
2015.11.09
안전 관련 예산으로 책정해야 한다. 이 담당관은 “대부분의 대학이 실험시설 구축이나
물품
구입 시 이미 안전관리 예산을 투입하고 있는 상황에서 인건비를 기준으로 안전 예산을 추가로 투자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안전관리 시스템 외에 연구자의 올바른 안전의식은 ... ...
[토요판 커버스토리]하늘 위의 블루오션
동아일보
l
2015.11.02
건 언제든 드론이 쓰이는 미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의지 때문이다. 소규모
물품
배송이나 영상 촬영뿐만 아니라 대규모 수송선으로 드론을 쓰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곳도 있다. 영국 건축회사인 ‘포스터앤드파트너스(Foster+Partners)’는 세계 첫 ‘화물 드론 공항’의 건설 계획을 23일(현지 ... ...
가장 좋은 망원경은 맨눈으로 보기, 그래도 부족하면…
동아사이언스
l
2015.10.19
고르는 법 그럼에도 천체망원경은 천체를 관측하려는 사람이라면 로망을 갖는
물품
입니다. 그래서 특별하게 준비해봤습니다. 바로 ‘김영진 과학동아 천문대장’이 직접 알려주는 망원경 고르는 법을 말이지요! “천체 망원경의 가장 중요한 조건은 ‘본인이 직접 조작해 사용할 수 ... ...
아이폰과 영화 ‘터미네이터’의 공통점
2015.10.11
조셉 데시몬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교수팀이 새롭게 개발한 신개념 3D프린터로 찍어낸
물품
. 데시몬 교수는 “영화 터미네이터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밝힌 바 있다. - 사이언스 제공 클립 기술은 액체 상태의 합성수지가 담긴 수조 밑바닥에 투명 창이 붙어 있는데, 이 창을 통해 자외선이나 ... ...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9가지 기술
2015.09.11
있어 지구와 화성 사이의 거리는 계속 바뀐다. 최단 거리가 약 5460만 km다. 화성에
물품
을 보급하는 우주선이 도착하려면 최소 9개월이 걸린다. 실제로 2012년 화성에 도착한 탐사 로봇 ‘큐리오시티’는 5억6600만 km를 253일간 날아갔다. 이 때문에 화성에서는 식용 식물을 직접 재배해야 한다. ... ...
배상민 KAIST 교수 ‘레드닷어워드’ 대상 수상
2015.07.28
스마트 교실이란 유·무선 정보통신 기기로 꾸린 학습 활동 공간이다. 박스쿨은
물품
수송에 최적화된 컨테이너를 스마트 교실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컨테이너의 단점인 폐쇄성, 단열 문제 등 교육 환경에 부적합한 요소를 디자인으로 보완한 점이 높이 평가 받았다. 배 교수팀은 또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