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현
서술
기술
특징짓기
그리기
표시
뉴스
"
묘사
"(으)로 총 62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크기의 전파망원경을 쓴 효과를 냈다. 아래는 전파망원경이 집합체를 이룰 때의 효과를
묘사
한 그림이다. 단일 망원경(맨왼쪽)보다는 집합체가, EHT가 해상도가 높다. 마지막으로 또다른 전파망원경 집합체인 칠레의 아타카마대형밀리미터/아밀리미터집합체(ALMA)가 결합해 한층 선명한 영상이 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백내장과 녹내장은 왜 생기는 걸까
2019.04.09
자외선 등의 작용으로 변성이 일어나 아밀로이드 베타-병풍 구조(아래 나란한 화살표로
묘사
)가 생기면서 서로 뭉쳐 덩어리를 이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 결과 빛을 산란시켜 백내장이 된다. 단백질 세 개(빨강 녹색 파랑)가 베타-병풍 구조를 통해 뭉친 상태를 도식화한 그림이다. ... ...
[애니멀리포트] 상어 가족은 엄마가 힘이 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3.23
인간을 먹이로 착각했다가 아니란 걸 깨닫고 가는 거라 추정합니다. 상어를 무섭게
묘사
한 영화 죠스를 본 일부 작살낚시꾼이 비만상어가 흉폭해 보인다는 이유로 대량 사냥했습니다. 결국 1984년 호주 동쪽 바다에서 비만상어가 약 1000마리만 남자 호주 사우스웨일즈주는 이 종을 상어 중 최초의 ... ...
나방 눈 구조 모방해 비가 오나 해가 뜨나 전기 생산하는 유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연구 결과를
묘사
했다. 나방 눈 구조를 흉내낸 표면 구조를 지닌 유리를 써서, 빛 투과율은 높이고 물은 잘 흘려 보내며 전기까지 생산할 수 있는 유리가 탄생했다. 사진 제공 김동성 야행성인 나방의 눈 표면에 나 있는 미세한 나노 구조를 본 따 어두운 환경에서도 빛을 잘 흡수하는 유리가 ... ...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우주의 특별한 공간, 블랙홀
2019.03.10
이로 인해 빛도 빠져나가지 못하는 블랙홀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검은 구멍으로
묘사
될 수 있고, 사건의 지평선을 건넌다는 것은 다시는 돌아올 수 없는 요단강을 건너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어두운 우주에서 블랙홀을 관측하기 위해 불을 비춘다고 하더라도 빛조차 블랙홀 반경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당뇨병'은 질병인가 상술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조사했다. 당뇨병 전문가인 존 유드킨 런던대 교수는 ADA와 CDC가 ‘공포 장사’를 한다고
묘사
했다. ADA 자체가 전당뇨병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이해관계자라는 지적도 나온다. ADA는 전당뇨병을 치료할 때 3개 이상의 약을 처방할 것을 권하고 있다. 그러면서 ADA는 기부를 통해 매년 1800만 달러에서 27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그 많던 히스테리아 환자들은 어디로 갔나
2019.03.10
아주 깁니다. 고대 이집트나 그리스의 문헌에 기록된 여러 증상도 전환장애의 증상을
묘사
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스 신화에 의하면 히스테리아는 오르가슴의 결핍이나 자궁의 멜랑콜리아(우울)에 의해 생긴다고 합니다.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자궁에 성적 자극이 부족해서 생긴다고 ... ...
임신중 '반일란성 쌍둥이'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2.28
과정은 보통 가장 강한 정자가 1등으로 도달해 난자와 만나는, 1등만 기억하는 과정으로
묘사
되곤 한다. 하지만 두 정자가 동시에 한 난자에 도달해 태어나는 쌍둥이가 있다. 반(半)일란성 쌍둥이(semi-identical)라 부르는 일란성도 이란성도 아닌 쌍둥이다. 공동 1등을 차지한 정자 둘이 만들어낸 결과다 ... ...
전기로 뇌 치료 ‘뇌전기자극술’ 안내할 ‘뇌 내비게이션’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비슷했다. 비유하자면 자동차 내비게이션이 현실의 길과 자동차를 아주 정확하게
묘사
할 수 있다는 뜻으로,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원하는 곳에 원하는 정도로 전기자극을 가해 신경세포의 활성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전 교수는 “뇌 자극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컴퓨터를 이용해 세포 단위에서 ... ...
머리 좋은 것보다 사회적 지능 높아야 훌륭한 리더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화제의 드라마 ‘스카이 캐슬’ 속 예서는 지능지수가 높지만 사회성은 떨어지는 아이로
묘사
된다. 드라마 속 일부 부모들은 피라미드 꼭대기에 올라가 사회 지도층이 되기 위해서는 높은 성적을 받아야 한다며 학업을 강요한다. 사회성이 결여된 ‘스카이 캐슬’ 속 사회 지도층은 점점 한정된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