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뉴스
"
국제
"(으)로 총 17,990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가위 오작동 줄였다…배상수 서울대교수 연구팀, ‘Correct-Cas9’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등 최신 유전자 편집 기술의 성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핵산 연구'에 지난달 20일 게재됐다. - doi.org/10.1093/nar/gkaf53 ... ...
얼마나 빨리 늙고 있나…'뇌 스캔'으로 노화 속도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뇌 검사 결과를 이용해 노화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1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네이처 에이징’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1972년 4월부터 1973년 9월 사이 뉴질랜드 항구도시 더니든에서 태어난 103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이들의 뇌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 ...
7월 과학기술인상에 김상현 연세대 교수…그린바이오수소 분야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규명하고 수소 생산공정에 적용한 김 교수팀의 연구성과는 각각 2023년 9월과 2024년 8월
국제
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에 공개됐다. 이번 연구성과는 한국을 포함해 수소경제 전환을 계획하는 많은 나라에서 필요한 기술로 평가된다. 한국은 올해부터 지자체별로 유기성 폐자원 발생량에 ... ...
해군 함정 은밀한 작전 돕는다…내부 소음 예측 기술 국내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및 접수판에 센서를 부착해 다양한 운항 조건에서 수집한 진동 데이터를 분석했다.
국제
표준에 기반한 통합 성능 시험을 통해 예측 정확도를 입증했다. 연구를 이끈 이성현 책임연구원은 “이번 기술은 전략적 정보인 수중방사소음을 실시간으로 예측할 수 있는 세계적 수준의 시스템”이라며 ... ...
천연물 '아카세틴'에서 지방간질환 치료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천연 플라보노이드 ‘아카세틴’의 MAFLD 개선 핵심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오토파지’에 지난달 23일 발표했다고 2일 밝혔다. MAFLD는 ‘자가포식’ 기능이 저하되면 악화되고 자가포식 기능을 활성화하면 개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가포식은 세포 스스로 손상된 ... ...
한-EU, 디지털 제품 여권 공동 대응…에코디자인 협력 강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DPP를 제대로 이행하기 위해선 제품 정보의 디지털화와
국제
표준화 등 보완 과제가 많은 상황이다. 첫날인 2일 정책세션에서는 EU집행위원회 환경총국이 에코디자인 규정의 핵심 내용을 설명하고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와 생기원이 국내 정책 대응 방향을 소개한다. DPP 제도 ... ...
빛 적응 위해 인간 시각 시스템 모방한 로봇 눈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양자점(퀀텀닷)을 이용해 사람의 눈을 모방한 로봇 눈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2일
국제
학술지 '응용 물리학 레터스'에 발표했다. 양자점은 나노미터 크기의 초미세 반도체 입자를 의미한다. 사람은 밝은 빛이나 칠흑 같은 어둠 속에 머물면 몇 분 안에 빛 조건에 적응하게 된다. 눈, 시신경, 뇌 ... ...
[과기원NOW] GIST '이봄 AI 피아노', 글로벌 AI 리더들 매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것으로 기대된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임춘택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가
국제
전기전자학회(IEEE) 산하 전력전자학회(PELS)로부터 2025년 '밀란 요바노비치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상은 매년 무선전력 전송 분야에서 가장 선도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탁월한 성과를 거둔 ... ...
시력 안좋은 혹등고래의 거대한 눈…네이처 선정 6월 최고의 과학 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분화구로부터 8km 이내에 위험구역을 설정했다. 발리섬의 이 구스티 응우라 라이
국제
공항에서 수십 편의 항공편이 취소됐지만 인명피해는 없었다. 라키-라키 화산은 지진 활동이 활발한 태평양 화산대에 위치해 2025년에만 4차례 분화했다. ESO/E. Congiu et al. 제공 ● 수천 가지 색의 은하 유럽 ... ...
美 사상 최대 꿀벌 집단폐사 원인은 '살충제 내성' 기생충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꿀벌을 위협하는 요인은 응애와 바이러스뿐이 아니다. 5월 20일
국제
비영리단체 '비:와일드(Bee:wild)' 연구팀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쟁과 인공조명의 빛 공해, 미세플라스틱, 항생제 오염 등도 꿀벌 개체수를 위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doi.org/10.1101/2025.05.28.6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