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
광택
윤
불빛
창고
라이트
광선
뉴스
"
광
"(으)로 총 560건 검색되었습니다.
위변조 막을 새로운 색변환 잉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30
이 연구원은 “간단한 방법으로 여러 층을 갖는 액정입자를 만들 수 있어 소재에 독특한
광
학 특성을 부여하는 기능성 잉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를 바탕으로 소재 복합화를 위한 다양한 기능성 입자 개발에 매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이달 29일 국제학술지 ... ...
UAE 탐사선 ‘아말’은 어떤 임무 수행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분
광
기, 대기권 내 수소·산소 포화도를 측정하는 자외선 분
광
기 등이 탑재됐다. 7월 20일 발사된 아말은 약 7개월 뒤인 2021년 2월경 화성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다. 2020년 7월 지구에서 화성까지의 거리는 약 4억9350만km에 이른다. 일본의 H2A 발사체는 시속 3만4000km의 속도로 ... ...
자외선 노출이 부른 트럭 운전기사의 '두 얼굴'
연합뉴스
l
2020.07.08
비타민D는 일상적인 노출로도 수십 분이면 충분히 합성되기 때문에 일
광
화상이나
광
노화, 피부암 등의 부작용을 줄이려면 적극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코로나19로 마스크 착용이 일반화된 상황에서 자외선차단제는 어떻게 바르는 게 좋은가. ▲ 마스크를 써도 ... ...
대기·물 속 미세먼지·미세플라스틱 ‘꼼짝마’...KIST·서울대 ‘나노갭 전극’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21
없이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했다. 2018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
광
집게’ 기술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100nm 이하 크기의 입자를 대기나 물과 같은 유체 환경에서 포집·선별·정제·농축하는 기술을 상용화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KIST와 서울대 공동연구진은 센티미터 단위의 ... ...
[프리미엄 리포트]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자체발
광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6.13
U S Army RDECOM/위키피디아 제공 퀀텀닷은 수㎚(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아주 작은 반도체 입자를 뜻하는 용어다. 1982년 러시아 과학자들이 처음 발견한 뒤 1993년 마크 캐스트너 ... 과학동아 6월호, [퀀텀닷 완전정복] 제5화 차세대 기술-돌돌 말고 몸에 붙이고 자체 발
광
퀀텀닷 ... ...
한전공대 초대 총장 후보에 윤의준 서울대 연구처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6.09
후보로 적임자라는 평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윤 처장은
광
전자소자 전문가로 국내 발
광
다이오드(LED) 분야 연구를 주도해 왔다. 서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AT&T 벨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1992년부터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 ...
메가시티형 바이오 혁신클러스터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2020.06.04
섭리를 다시금 돌이켜 볼 때이다. 석현
광
KIST 의공학연구소장 ※필자소개 석현
광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의공학연구소장. 서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금속공학으로 석박사를 받았다. 영국 옥스퍼드대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2000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근무하고 ... ...
[팩트체크] 청색
광
은 망막을 얼마나 손상시킬까
과학동아
l
2020.05.23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2018년 미국 톨레도대 연구팀은 청색
광
(블루라이트)이 망막세포를 변성시켜 시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습니다. 당시 ... 한다”고 말했습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5월호,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청색
광
은 망막을 얼마나 손상시킬까? ... ...
늘어났다가 줄어들면서 빛 투과 조절하는
광
학 필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5.14
걸친 반복 구동 시험과 거친 변형에서도 내구성이 확인됐다”며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광
산란 현상 메커니즘도 해석하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전 교수는 “기존 창호 시스템 교체 없이도 간단한 얇은 필름 형태로 유리 표면에 붙여 투과율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윈도우로 ... ...
실내 온도 조절하는 '스마트 윈도우' 생산비 40% 낮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CVD)’ 등 기존 공정은 고온이 필요하고 시간도 오래 걸렸다. 연구팀은 제논 램프의
광
에너지로 표면만 굳히는 공정을 개발해 소결 시간을 1만분의 1로 줄이면서 제조비용도 40% 절감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스마트 윈도우는 불순물을 첨가해 적외선을 차단하는 기준 온도를 상온에 가까운 23도까지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