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호
탄도
비상경로
뉴스
"
곡선
"(으)로 총 341건 검색되었습니다.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
2015.01.19
있다. - 플로스원 제공 통계기법의 자세한 내용은 모르더라도 좌표상의 어떤
곡선
에서 한 점에 가장 가까운 점을 찾기 위해서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야 한다는 건 상식이다. 그럼에도 어찌된 영문인지 EMGO방법을 개발한 사람들은 이걸 깜빡했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논문 제목에 ... ...
[직접 써봤어요]삼성전자 웨어러블 ‘기어S’
동아일보
l
2014.12.03
기어S를 1주일 동안 직접 써봤습니다. 결론은 ‘그렇다’입니다. 기어S에는 손목
곡선
을 따라 휘어진 2인치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적용돼 있습니다. 전작인 ‘기어2’에 비해 화면 크기가 22% 더 큽니다. 전자업계에 따르면 이 크기가 과거 피처폰 화면 크기와 비슷하다고 하네요. 통화를 하고 ... ...
베이글로 배우는 위상동형!
2014.11.10
찬성과 반대로 나뉘어 토론을 했다. 푸앵카레 추측은 '임의의 3차원 공간에 그린 폐
곡선
이 수축돼 점이 될 수 있다면 그 공간은 항상 구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으로 프랑스의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가 제기한 문제다. 미국 클레이 수학연구소가 100만 달러의 현상금을 건 일곱 가지 ... ...
한가위 보름달은 수학으로 뜬다!
수학동아
l
2014.09.06
수학자들은
곡선
으로 된 도형이 구적 가능한지 생각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한 수학자가
곡선
으로 된 구적 가능한 것을 찾았는데, 그가 바로 히포크라테스다. 당시 수학자들은 히포크라테스가 구적 가능한 초승달을 찾아내자, 최대 난제였던 ‘원의 구적문제’에도 희망이 보인다고 믿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생충이 숙주를 속이는 법
과학동아
l
2014.08.03
방식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양자의 요동은 표지 그림에 나타난 것처럼 부드러운
곡선
을 그리며 시간적으로도 연속적인 성질을 나타냈다. 위버 교수는 “이제 복잡하게 생각됐던 양자 시스템과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처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며 “더 나아가 이 시스템을 ... ...
[브리지스 서울 2014] 한옥 지붕에도 수학 있다
과학동아
l
2014.07.18
전통 가옥은 정면에서만 처마가
곡선
으로 보이는 2차원
곡선
이다. 건축에서는 이런
곡선
을 디자인에 적용하기 위해 수학 공식을 활용한 ‘파라메트릭 디자인’을 종종 쓴다. 박 교수는 “올해 3월 개관한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와 새 둥지를 형상화한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주경기장인 ... ...
전자코만 있으면 사망 시각 추적 ‘OK’
과학동아
l
2014.07.01
방식이 가장 많이 쓰인다. 직장 온도는 사망 후 6시간까지 유지되다가 이후 특정
곡선
을 그리며 떨어지는 특성을 나타낸다. 측정이 쉽고 정확도도 높지만 법죄수사물 등에선 그리 많이 소개되진 않았던 방법이다. 자주 등장하는 방식으로는 근육의 경직도를 확인하는 ‘시강’을 들 수 있다. ... ...
레일위 8mm 떠 소리없이 스르르…세계 두 번째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개통 임박
과학동아
l
2014.05.15
레일과 마찰이 없어 바퀴가 달린 기존 열차보다 승차감이 훨씬 좋다. 이날 에코비는
곡선
구간에서도 진동을 거의 느낄 수 없을 만큼 부드럽게 달렸다. 인천국제공항역을 출발해 용유역까지 6개 역 6.1km를 통과하는 데 걸린 시간은 약 15분. 평균 시속 50km로 움직였지만 최고 시속 110km까지 ... ...
부산에서 평양까지 ‘해무’로 2시간
과학동아
l
2014.04.25
토대로 차체를 얼마나 기울여야 할지 결정한다. 가령 시속 200km로 달리던 틸팅 열차가
곡선
구간에서는 차체를 최대 8도까지 기울여 시속 180km로 통과할 수 있다. 이 정도면 열차에 탑승한 승객들도 몸이 한쪽으로 쏠리는 느낌을 받지 않는다. 국내에서는 2007년 시속 200km급 틸팅 열차가 개발돼 ... ...
주가는 예측할 수 없다?!
수학동아
l
2014.04.07
항상 뾰족뾰족하고 불규칙한 형태를 띠고 있다. 어떤 경우도 직선 형태이거나 부드러운
곡선
을 띠는 법이 없다. 이처럼 불규칙한 모양의 그래프를 띠는 이유는 주가의 움직임이 ‘무작위’적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랜덤 워크 이론’의 핵심이다. 여기서 랜덤 워크란, 1905년 영국의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