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가닥"(으)로 총 362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5 노벨 화학상, 왜 그들이 받았나] DNA 자가 복구의 비밀을 밝히다동아사이언스 l2015.10.07
- 염기 접합을 발견하면(1), MutH 효소가 DNA의 메틸기를 원래의 가닥에서 복제된 가닥으로 옮겨 붙인다(2). 잘못 복제된 줄기가 잘려나가면서(3) 염기 접합이 잘못 일어난 부분도 제거된다(4). 그 후 DNA 중합효소가 빈 공간을 채우고 DNA 연결효소가 이를 봉합한다(5). - 노벨위원회 제공 이런 이유로 ... ...
- 1989년 버트 보겔스타인 교수의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과학동아 l2015.09.06
- 특정부위가 결손된 현상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즉 부모로부터 받은 17번 염색체 쌍의 한가닥에서 일부가 떨어져 나간 상태였던 것. 보겔스타인 박사는 떨어져 나간 부분에 암 억제유전자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나머지 온전한 17번 염색체에서 이 부분에 돌연변이가 생길 경우, 암 ...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2015.08.24
- 상업화 사례는 1982년 출시된 ‘휴물린Humulin’이다. 사람의 인슐린 유전자 정보를 담은 DNA가닥을 합성한 뒤 대장균에 집어넣어 박테리아가 인간 인슐린을 대량 생산하게 만들었다. 이전까지 도살한 가축에서 인슐린을 추출해 써온 인류는 휴물린의 등장으로 당뇨병의 공포에서 어느 정도 벗어났다. ... ...
- 메르스 진단 기술 PCR, 초소형 기기로 5분 안에 끝낸다2015.08.02
- 열을 가해 두 가닥의 DNA를 한 가닥으로 분리한 뒤 증폭시키고 다시 온도를 내려 두 가닥으로 붙이기를 30회 정도 반복해야 한다. 보통 이 과정에는 수 시간이 걸린다. 연구팀은 짧은 시간 안에 온도를 바꾸기 위해 발광다이오드(LED)를 이용했다. LED를 얇은 금 박막에 쬐면 금 박막 표면의 전자가 ... ...
- 후성유전학이 답한다과학동아 l2015.07.29
- 자유로운 나선가닥이 아니라 히스톤에 묶인 염색체 형태로 존재한다. 플레이트 위의 DNA 가닥을 바탕으로 한 실험과 실제 세포에서 한 결과에 차이가 생긴 것도 이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실험실 조건의 DNA에서는 증폭자가 자기가 원하는 곳에 언제든지 정확히 결합할 수 있었지만, 세포에서는 이 ... ...
- 효소 하나 때문에 수명 18% 늘거나 39% 줄거나2015.07.21
- 새롭게 밝혀냈다고 20일 밝혔다. RNA 이중나선 분리효소란 이중나선으로 얽힌 RNA를 외가닥으로 풀어주는 효소를 말한다. 연구팀은 동물 실험에서 흔히 쓰이는 예쁜꼬마선충에서 이 효소(HEL-1)를 과다발현 시키자 수명이 최대 18% 늘어나는 사실을 확인했다. 반대로 돌연변이 덕분에 평균수명 보다 2배 ... ...
- 빛으로 신호 주고 받는 ‘광통신 컴퓨터’ 나온다2015.07.08
- 빛으로 신호를 주고받는 광통신 기술은 이미 실용화 돼 있다. 현재 기술로는 통신선 한 가닥에 최대 40Gb(기가비피에스)의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지만 송·수신 장치 등 중간에 개입하는 컴퓨터 등의 속도가 느려 보통 1~2Gbp 속도로만 통신이 가능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을 이용하면 기존 ... ...
- 번개 모양은 전하가 퍼지는 최적의 경로수학동아 l2015.07.03
- 굵기가 서로 같을 수도 있고, 한쪽이 훨씬 더 굵을 수도 있다. 원래 줄기에서 가느다란 한 가닥이 튀어나온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루는 두 갈래가 같은 굵기일 경우, 원래 줄기와 이루는 각도가 서로 같다고 설명했다. 만약 굵기가 다르다면, 가느다란 쪽이 더 큰 각도로 휜다. 원래 가지에서 아주 ... ...
- 암 유발하는 ‘염색체 파열’은 어떻게 일어나나2015.06.14
- 한 가닥을 결합하는 것이 정상적인 염색체 복제의 과정이다. 장 교수팀은 세 가닥의 염색체가 함께 결합이 되면 ‘염색체 파열’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이 과정에서 염색체 DNA의 특정 부위가 과잉 증폭돼 원래 있어야 하는 유전자 자리에서 떨어져 나와 흩어지게 되면 종양유전자를 ... ...
- [메르스 업데이트] 생물과 무생물 경계에 있는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2015.06.06
- 폭스바이러스와 대상포진을 일으키는 헤르페스바이러스 유전체가 사람과 같은 이중가닥 DNA로 돼 있는 데다 80~100개의 유전자가 있다는 것이 주요 근거다. 하지만 이 가설만으로는 전체 바이러스 종류의 절반을 넘는 RNA 바이러스의 기원을 설명하기 어렵다. 세포는 DNA만으로 유전정보를 저장하지만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