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작용"(으)로 총 405건 검색되었습니다.
- 롤러코스터에도 과학 원리가 숨어 있다?!기사 l20170201
- 타도 왜 안 떨어질까요? 그 이유는 바로 구심력과 원심력의 원리가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구심력은 원의 중심을 향하여 작용하는 힘입니다. 원심력은 원운동을 하고 있는 물체에서 원의 중심에서 멀어지려는 힘입니다. 원심력과 구심력은 크기는 같지만 방향이 다릅니다. 그래서 우리는 일상에서 롤러코스터를 타도 구심력과 원심력 원리 덕분에 떨 ...
- 가상현실(VR)에 대하여 알아보자!기사 l20170130
- 그래픽 등을 통해 현실이 아닌 환경을 마치 현실과 흡사하게 만들어 내는 기술입니다. 이를 체험하는 사람은 마치 실제 상황과 상호 작용을 하는 것처럼 느끼게 되며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더욱 리얼한 가상의 세계를 만들어 내게 됩니다. ... ...
- 지혜로운 선사 시대 사람들을 만나러 떠나요!기사 l20170125
- 지혜가 대단했습니다. 전시관에는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불 피우는 방법으로 나선 회전식(손 비빔), 플라이 휠 회전식(작용, 반작용) 그리고 활 회전식(활 비빔)이 소개되어 있었습니다. 나선회전식은 불을 피우는 방식 중에서도 어려운 방식입니다. 막대를 잡고 나무판에다가 비비면 마찰열로 불이 난다고 합니다. 흔히 손 비빔이라고도 ...
- 작심삼일에 과학적인 사실이 숨어 있다!- 1편기사 l20170114
- 약 3일 정도입니다. 그래서 결심을 하고 3일째가 되면 결심이 스트레스로 바뀌게 됩니다. 뇌는 자연스럽게 '포기'라는 치유 과정으로 작용을 하게 됩니다. 게다가 뇌가 한 번에 다룰 수 있는 정보 갯수는 5~9개입니다. 하지만 크고 많은 결심을 세우게 되면 바쁜 뇌가 과부하에 걸리게 됩니다. 며칠 뒤 사람들은 결심을 흐지부지하게 됩니다. 이렇게 ...
- 드론의 다양한 쓰임새를 소개합니다기사 l20161214
- 드론은 뉴턴의 제3의 법칙이 원리입니다. 뉴턴의 제 3의 법칙 1. 관성의 법칙 : 한 번 힘을 주면 계속 나아가게 됩니다. 2. 작용, 반작용의 법칙 : 드론이 공기를 밀어내고 공기는 드론을 밀어냅니다. - 마찰력과 공기저항력 : 공기의 저항을 받습니다. - 탄성력 : 일부 드론에는 탄성력이 있습니다. 드론의 종류에 대해 ...
- 눈물은 왜 흘릴까?기사 l20161202
- 살균 작용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눈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자극이나 고통을 느끼게 되면, 곧바로 적절한 양의 눈물이 분비되면서 완충 작용을 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3번째 '감정의 눈물'은 감정의 변화로 인해 흘리는 눈물입니다. 감정의 눈물은 솔직한 자신의 마음을 담아 내는 표현 수단으로, 복잡한 생각의 구조를 가진 사람들만이 ...
- 날름날름 혀에 과학이 산다!기사 l20161130
- 치아의 작용, 볼, 입술과 혀는 함께 작용하여 음식을 침과 섞고 골고루 씹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3) 입 안에서 소리를 만드는 구음 작용을 합니다. 모음에서는 구강이 공명강이 되어 음색을 주며, 자음에서는 혀, 연구개, 입술, 볼 등이 함께 움직여서 입 안에 좁아지는 부분이 형성되면서 각기 다르게 발음됩니다. - ...
- 해리포터 좋아하시는분 보시오!포스팅 l20161127
- 보면 아시겠지만 엄청 큰 공간이 존재해요 해리포터와 죽음의 성물편에서 헤르미온느가 가지고 다니는 조그만 가방이 같은 원리로 작용하고 그안에 온갖것들을 담을 수 있었어요 미국에 도착한 뉴트 스캐맨더가 은행을 지나던중에 금은보화를 좋아하는 신비한 동물중 니플러가 가방 안에서 탈출을 감행하고 이 일로 인해 전직 오러였던 티나와 노마지 (노마지는 ...
- 생명의 빛 오로라를 찾아서기사 l20161031
- 지역에서 넓게 나타나며, 오로라의 크기는 태양의 활동에 따라 변한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날아온 대전입자가 지구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극지방 상층 대기에서 일어나는 대규모 방전현상이다. 태양은 항상 양성자와 전자 등으로 이루어진 대전입자를 방출하고 있다. 태양이 모든 방향으로 내뿜는 이런 플라스마의 흐름을 태양풍이라 한다. 대부분의 태양풍은 지구 ...
- 우리가 몰랐던 바닷물이 파란 이유기사 l20161002
- 일어나서 바다와 하늘이 푸르게 보이는 겁니다. 만일 바다에 모래가 많거나 물고기가 많은 경우에 태양 광선에 부딪혀서 또 다른 반사 작용을 일으켜서 바닷물의 색깔이 달라집니다. 이것만으로도 충분하지 않다면? 빛의 파장보다 큰 물체의 면에 빛이 닿으면 반사 법칙에 따라 빛의 진행 방향이 달라진다. 그러나 빛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