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위"(으)로 총 1,4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쇼 미더 매스! 수학과 랩의 만남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문화를 만들기 위해 결성한 국내 최초 과학 랩 듀오로, 둘은 각각 약학 박사, 면역학 석사 학위를 가진 과학도이자 과학 커뮤니케이터다. 보통 래퍼가 돈과 시계를 자랑하며, ‘스웩’을 뽐낸다면 사이언스웩은 ‘과학’으로 스웩을 뽐낸다.처음 과학으로 랩을 만든 것은 웩이다. 웩이 ‘임산부의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김근배 서울대 미생물학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 과학사 및과학철학협동과정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근현대과학사와 남북 과학기술 비교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근대 과학기술인력의 출현’ ‘황우석 신화와 대한민국 과학’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화 ‘그래비티’의 모티브가 된 인물, 케이디 콜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KAIST에서 기계공학 학사 및 석사학위를 마치고, 동대학 바이오시스템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공학도 출신이다. 현재는 미국 실리콘밸리 우주 관련 스타트업 로프트 오비탈(Loft Orbital)에서 전략기획 및 국제협력 담당으로, 미국 워싱턴대 공대에서 자문위원 및 겸직교수로 일하고 있다. ... ...
- 아무렇게 뽑아 더해도 같은 집합일까? 에르되시의 합의 추측수학동아 l2019년 03호
- large sets’ ※ 엄상일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기초과학연구원과 KAIST에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 조합적 최적화가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2012년에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수상했고, 2017년에는 ... ...
- 우주의 특별한 공간, 블랙홀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이끌 빛과 같은 역할을 할 존재는 무엇일까? 박미옥캐나다 워털루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고등과학원 물리학부 연구원으로 있다. 중력과 관련된 여러 주제에 대해 연구 중이며, 최근에는 블랙홀 열역학과 홀로그래피 대응 원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miokpark@kias.re ... ...
- 수학으로 흔들어봐! 매스댄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과학에 흥미를 느끼고 관심을 갖게 하기 위해 미국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당신의 박사학위 연구로 춤춰라’라는 대회를 연다. 자기 연구분야를 춤으로 표현하는 대회로, 매년 유튜브를 통해 참가자들의 영상을 모집하고 심사위원 평가를 통해 우승자를 가린다. 물리학, 화학, 생물학, 사회과학 ... ...
- Part 2. 반려동물 버리면 다른 동물도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세월 고립돼 독특한 생태계를 이뤘기 때문이에요.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에서 박사 학위를 수료한 전진경 카라 상임이사는 “우리나라도 고양이가 토착종은 아니지만, 호주와 달리 대부분 이 사람의 도움으로 도시에 살아 크게 걱정할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했어요. 이어 “우리도 유기동물이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MIT)에서 수학과 물리학으로 석사학위를, 위스콘신대에서 임상심리학으로 석·박사학위를 받았으며, 40여 년간 수학과 과학으로 인간의 본질, 애정 관계의 본질을 연구했다고 한다. 일단 MIT에 위스콘신대다. (주관적 신뢰감+1) 가트맨 박사는 세계적인 관계 연구소인 ‘러브 랩(Love Lab)’을 30여 년간 ... ...
- 인문학을 사랑한 수학자 게오르디 윌리엄슨 호주 시드니대 교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진로를 수학으로 바꾼 윌리엄슨 교수는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와 독일 막스 플랑크 수학연구소에서 연구원을 지냈다. 예상 밖 결과에 ‘유레카’ 윌리엄슨 교수의 대표 업적은 수학자들이 30년 넘게 옳다고 생각했던 ‘루스즈티그 ... ...
- [Tech] 만능 스포츠 로봇을 만들어라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전시돼 있다. 스키 타는 ‘다이애나’, 축구공 차는 ‘앨리스’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한 교수는 2012년 귀국해 다시 로보티즈로 돌아왔다. 동료들과 함께라면 진짜 로봇을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는 네 차례에 걸친 실패와 성공을 거듭하며 160cm 다목적 휴머노이드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