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도
세밀도
d라이브러리
"
치밀
"(으)로 총 349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 속의 검은 황금 찾기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배사구조를 이룰 때 석유의 부존가능성은 매우 커진다. 여기에다 단층에 의하여 윗쪽이
치밀
한 암석으로 막혀있는 구조를 이루면 석유가 저장될 수 있는 조건을 완벽하게 갖추게 된다. 석유가 내는 압력을 이용해시추에 의하여 땅속에 구멍을 뚫어 석유가 들어있는 것이 확인되면 석유 채굴에 앞서 ... ...
검은 돌을 반짝이는 돌로 인조다이아몬드 만들기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탄소원자가 4개의 탄소원자와 똑같은 거리, 똑같은 입체각을 유지하고 있다. 다시 말해
치밀
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요컨대 결정구조의 비교를 통해 다이아몬드의 밀도가 흑연의 밀도보다 현저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따라서 흑연을 높은 압력으로 가압하면 밀도가 상승, 다이아몬드로 변할 수 ... ...
석유·천연가스 등 자원과 군사적필요에 의한 새로운 관심 북극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북극탐험에 성공한 일본대학팀을 직접 만나 경험담을 듣기도 했다.이러한
치밀
한 준비끝에 이들이 선택한 탐험로는 레절루트에 베이스캠프를 설치하고 워드헌트를 거쳐 북극적에 도달하는 7백80km 구간. 워드헌트에서 북극점에 도착하는 기간은 45일 정도로 잡고 있다.이 과정에서 가장 어려울 ... ...
날로 늘어나는 자력선치료기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자력선 치료요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반복된 임상실험과
치밀
한 연구를 통하여 정립된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아직까지는 완전한 치료요법으로 보기에는 미흡하다. 높게 나타난 자력선 치료효과그러면 제한적이나마 지금까지 확인된 자력선 치료의 효과에 대하여 ... ...
석·박 학위논문에 이상 있다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부끄러운 통계조작이 사라지려면 무엇보다 대학원생의 자성(自省)이 이뤄져야 한다. 또
치밀
한 예비실험을 거치면 본실험에서 실패할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들 것이다. 그리고 바른 통계교육을 통해 통계의 의미를 새기는 작업이 시급하다고 통계학자들은 진단한다. 의도적으로 '조작된' 통계보다 ... ...
생활속에 파고드는 바이오세라믹스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가나 냄새제거라든가 유해한 곰팡이나 세균을 선택적으로 살균한다는 것은 조금더
치밀
하게 그 원리가 밝혀져야 할 것이다.이밖에도 원적외선은 건조에 위력을 발휘한다. 원적외선이 대상물의 생체분자에 쏘여지면 단시간 내에 물분자를 균일하게 증발시킬 수 있다는 것. 이를 이용하면 약재 ... ...
새출발 다짐하는 소련의 과학계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자체 연구수용능력을 자랑으로 여길 만하다. 연구소는 외부 연구소가 하는 것처럼
치밀
하게, 교육에 관하여 주의를 기울였다. 학생들은 3학년말이 되면, 이들 연구소 중 하나에 참여해서 졸업할 때까지 조사원으로 일한다. 연구업무의 규모는 대단히 커서, 거의 2천명 가량이 연구소에 고용되어 있다 ... ...
다이아몬드 개량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지닌 층을 형성한다. 수년의 실험 후, 소련 화학자들은 두꺼운 층 안의 탄소원자들이
치밀
한 다이아몬드 배열을 취하고 있음을 발견하고 기뻐하였다.(그리고 아마도 조금은 놀랐을 것이다)바꾸어 말하면, 유리는 단순히 탄소로 입혀진 것이 아니라 얇은 다이아몬드 막으로 입혀졌던 것이다. 게다가 ... ...
「어린 뚱보」가 늘고 있다.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고유의 전통 음식을 좀더 즐겨먹는 식습관을 붙여야 한다. 최근 외국의 식(食)문화가
치밀
한 계획하에 물밀듯이 들어오고 있다. 여기에 가장 쉽게 적응될 수 있는 세대가 바로 청소년들이다.우리 나라 전통식중, 떡 김밥 만두 빈대떡 등은 피자나 햄버거 못지않게 맛있고 우수한 식품이다. 게다가 ... ...
주사선 1125개의 하이비전시대 열어 세계가 놀라는 일본의 TV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경우도 조명을 웬만큼 밝게하지 않고는 카메라의 초점을 맞출 수 없어 섬세하고
치밀
한 화상이 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생긴 것이다.이문제는 그뒤 87년 1월 히다치제작소와 공동으로 새로운 고감도촬상관계개발에 성공하여 해결되었다. 이 촬상관은 빛을 전기로 바꾸는 엷은 막에 높은 전압을 걸어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