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준수
d라이브러리
"
지키기
"(으)로 총 408건 검색되었습니다.
태권V 이단옆차기 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발차기를 하기 위한 물리적인 계산을 해 봤다. 머리가 조금 복잡해도 지구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 참자. 하지만 문제가 하나있다. 이 거대한 로봇을 ‘어떻게’ 움직여야 할까.사람이 어떤 동작을 하려면 크게 두 요소를 결합해야 한다. 하나는 미리 계획된 동작 패턴에 따라 다리, 발목, 팔을 움직여 ... ...
한국 최초의 우주인은 누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는 말을 남긴 그는 우주비행에서 돌아온 뒤 자신의 말을
지키기
위해 방송사를 그만두고 시골에 들어가 농사를 지으며 환경주의자로 살고 있다. 기사작위 받고 장관까지 등극사실상 일본 최초의 우주인은 정부에서 선발한 모리 마모루 박사다. 홋카이도대 핵공학과 교수인 ... ...
2. 바닷속 우리 땅 우리 이름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때문이다. 김인우해산, 이규원해산, 안용복해산, 심흥택해산은 모두 울릉도와 독도를
지키기
위해 힘썼던 조선시대 인물의 이름을 땄다.이사부해산은 ‘독도는 우리 땅’ 노래에도 등장하는 김이사부 장군의 이름에서 비롯됐다. 신라 지증왕 때 나무로 깎은 사자를 싣고 가 지금의 울릉도인 ... ...
작심삼일은 뇌 기능 탓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사람이 습관을 고치기 어려운 이유가 뇌에 있다고 ‘디스커버’가 2월 19일 보도했다.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앤 그레이비엘 교수는 특정한 버릇이 있는 쥐의 뇌 ... 하지만 조그만 자극에도 뇌의 반응이 쉽게 되살아난다”며 “이것이 새해 결심을
지키기
가 쉽지 않은 이유”라고 말했다 ... ...
소나무가 죽어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나무를 심어 숲을 가꾸었습니다. 또 주민들은 자발적으로 자원봉사단을 조직하여 소나무
지키기
에 나섰지요.소나무재선충 피해를 줄이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소나무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일이에요. 소나무재선충을 옮기는 솔수염하늘소는 병든 소나무에 알을 낳기 때문에 튼튼한 ... ...
도전! 아이스박스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학생소질의 개발, 독서교육활동을 통한 폭넓은 지식의 함양, 숲 체험교실 운영과 환경
지키기
실천을 통한 환경교육의 활성화 등이 있습니다. 특히 북부과학중심학교로 지정되어 2인 1조의 개별화 교육을 위한 현대화된 실험실을 만들고 어린이들이 실험을 하고 싶은 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또한 ... ...
전쟁이냐 평화냐, 그것이 문제로다 신경계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우리 몸의 에너지를 모으게 만든다.우리 몸이 환경에 잘 적응하고, 항상성(homeostasis)을
지키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쓰는 것과 모으는 것을 알맞게 되풀이해야 한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교대로 알맞게 일해야 한다는 ... ...
우주의 신비를 찾아나선 대서사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이산화탄소 대기로 지옥 같은 열에 시달리는 금성을 비교한 글을 읽으면 푸른 지구를
지키기
위해 인류는 무엇을 해야 할 지 깨달을 수 있다.‘코스모스’이후 20여년 동안 우주의 신비를 소개하는 수많은 책들이 나왔지만 이 책은 과학의 고전답게 지금도 뒤쳐지지 않는 내용으로 싱싱한 생명력을 ... ...
지자기 폭풍이 빚어낸 걸작 오로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교신이 두절됐다.우리나라에서도 지난 10월말의 태양 폭발로 무궁화위성이 정상궤도를
지키기
위해 연료를 다량 소진하고 있어 수명이 단축될 우려가 있다는 가능성이 보도됐다. 그러나 KT 위성운용단에서는 “아직 무궁화위성의 수명과 서비스 운영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2003년 5월과 ... ...
법정에 오른 커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죽이고 몇몇 해충을 불임이 되게 만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식물이 곤충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카페인을 만들게 진화했다는 학설을 처음 주장한 사람은 미국 하버드대 의대 신경학자인 제임스 나탄손 박사다.나탄손 박사는 1984년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카페인이 많은 곤충과 그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