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잘못"(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천문학의 귀재, 신입사관 구해령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이내 작은 원을 하나 더 그리고 두 원을 잇는 선분을 쭉쭉 긋는다. 그리고는 문제가 잘못됐다는 글을 썼다. 당연히 이 글은 심사위원은 물론 왕의 심기를 건드린다.왕은 해령을 불러 답에 대해 묻는다. 이에 해령은 맹랑하게도 일식과 월식을 과학적으로 설명한다.지구는 태양 주위를 돌고, 달은 ... ...
- [SW 진로체험] 수학은 난관을 깨뜨리는 망치수학동아 l2019년 10호
- 틀리면 계산 과정을 되짚어 보며 틀린 점을 찾는 것처럼, 연구하다 문제가 생겼을 때 잘못된 부분을 찾으려면 논리적인 사고가 필요하거든요.온진욱 정해진 방법대로만 로봇을 만든다면 수학이 필요하지 않을 거예요. 수학을 모르면 자기가 원하는 기능이나 기존에 없는 새로운 기능을 만들 수 ... ...
- 프로젝트 밴드 닥터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그는 “대리석의 ‘석(石)’은 광물에 붙이는 접미사”라며 “대리암을 대리석으로 잘못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바로 잡고 싶은 마음도 있었다”고 덧붙였다.안 교사는 대리암의 성분인 탄산칼슘(CaCO₃)이 염산(HCl)과 반응하는 과정을 사랑의 감정에 빗대 가사를 완성했다. 그는 “대리암이 ... ...
- ‘몸짱’ 되려다 근육통 얻는다 보충제와 근이완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심한 근육통을 방치하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움직임에 제약이 생겨 잘못하다가는 또 다른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근이완제는 체내에서 어느 부위에 작용하느냐에 따라 나뉩니다. 크게 말초신경에 작용하는 ‘말초성 근이완제’, 중추신경에 작용하는 ‘중추성 근이완제’, ... ...
- [영재교육원 탐방] 융합과 연결로 가능성 꽃피운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특정 분야에서 누가 봐도 특출한 능력을 가진 사람을 떠올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영재는 탁월한 성취를 이룰 가능성을 가진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아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은 가능성을 가진 학생을 발굴하고 그 가능성을 꽃피울 수 있게 돕는 데 ... ...
- [본격 게임 채널] 던전앤파이터, 단리와 복리로 데미지 계산하기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대부분은 몇몇 플레이어가 계산해 놓은 조합대로 아이템을 장착해요. 하지만 계산이 잘못됐다거나 원하는 조합이 필요할 때 직접 계산해서 쓰죠. Q 던전앤파이터 고수가 되고 싶은 친구들에게 조언 부탁드려요!3D 울렁증이 있거나 뛰어난 액션을 느끼고 싶은 분께 적극 추천! 내 캐릭터로 멋지게 ... ...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정크 단백질’을 분해하라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있는 모형부터 눈에 들어왔다. 이병훈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는 “생명체 내에서 잘못 생성된 단백질의 분해를 촉진할 수 있는 화합물을 찾고 있다”며 “우리가 새로 찾아낸 화합물 모형”이라고 설명했다.단백질은 생명체 안에서 끊임없이 생성과 소멸을 반복한다. 새로운 단백질이 생산되는 ... ...
- 박휘이따고훼서 곡종헸는대? 맞춤법 틀린데 해석이 되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시옷과 쌍시옷 간에 유사성이 있다는 등의 기타 정보가 합쳐지면 결국 ‘숙소’의 잘못된 표현이라는 사실을 인식한다. 이 과정이 여러 번 반복되면 이후 우리 뇌는 문장을 읽을 때 단어의 정확성을 따지는 역치를 낮춘다. 쉽게 말해 다음부터 읽는 문장은 오타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읽는다는 ... ...
- [생각실험실] 순간이동을 하려다 문제가 생겼다! 누가 나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않았다는 것과만 관련이 있답니다. 다시 말해, 기계의 오류 때문에 여러분이 서울에 잘못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오류와 고장 탓에 부산에 가짜 여러분이 남았을 뿐입니다. 여러분의 원래 바람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 가서 대고려전을 보는 것이고, 그 바람에 따라 대고려전을 보고 있는 여러분이 ... ...
- 포켓몬 몸집의 물리학 피카츄는 뚱뚱할까, 날씬할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수 있다는 뜻이다. 또한 사람의 체질량지수표를 포켓몬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아주 잘못된 결과를 주지는 않으리라 짐작할 수 있다. 고우스트와 가보리는 각각 체질량지수의 최솟값, 최댓값을 보여준다. 요약해보자. 필자가 속한 연구팀의 엉뚱한(?) 물리학 연구에 따르면 포켓몬은 사람처럼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