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의약"(으)로 총 9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나노 패터닝이나 나노 구동 장치의 프로그램 역할을 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생명공학과 의약학 분야, 뇌를 모사하는 인공뇌, 인공지능까지, DNA 컴퓨팅이 열 새로운 미래가 기대된다.스스로 결합해 구조를 이루는 자기조립 성질은 DNA에 연산 기능만 준 것이 아니다. 벽돌처럼 견고하고 털실처럼 ... ...
- 전자레인지 넣기 전에 꼭 확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3호
-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전자레인지에 사용할 수 있는 포장이나 용기를 정리해 홈페이지(www.kfda.go.kr)에 공개했어요.가스레인지와 오븐은 음식에 열을 가해 겉에서부터 안쪽까지 서서히 데워요. 하지만 전자레인지는 1초에 24억 5000만 번이나 진동하는 전자파를 쏘아 음식을 데운답니다. 음식에 ... ...
-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등 30여 종의 중요 의약품에 들어가는 핵심 물질이다.효과가 있는 ‘광학이성질체 의약품’을 만들려면 식물의 엽록체가 광합성을 하는 데 쓰는 NADPH라는 환원된 조효소가 필요하다. 그런데 기존 방법으로는 값비싼 조효소를 정량적으로 넣어줘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었다. 그러나 백 ... ...
- 화학자가 본 플루오린화 수소 유출 사고의 진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플루오린화수소는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서 세척제나 에칭제로 많이 쓰고, 의약품 생산에도 많이 사용한다. 플루오린화 수소는 대부분 플루오린화 칼슘(CaF2)으로 만들어진 형석(螢石, fluorite)을 진한 황산에 넣은 뒤 265℃로 가열해서 생산한다. 인회석(CaF5(PO4)3F)에서 인산 비료를 만드는 ... ...
- [knowledge] 하늘에서 땅끝까지, 식물과 달리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경우처럼 효능은 알려졌지만 정체가 확실히 않은 신물질을 밝혀 사람이 쓸 수 있는 의약품 등으로 만드는 것이 생명연의 목표다.자원과 기술, 두 나라가 손을 잡다따두강을 지나면 메콩 강 유역에 접해있는 국경 도시 징홍에 이른다. 미얀마, 라오스 등과 가까이 있는 이 지역은 중국이라기보다는 ... ...
- 내 몸이 궁금해?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맘에 드는 점은 외국인 저자가 쓴 책이지만 국내 의사가 감수해 의약품이나 미용제품을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보충 설명했다는 점이다. 외모, 성적, 사랑…. 세상 모든 것이 자신을 중심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춘기. 다른 고민은 해결할 수 없지만, ... ...
- Part 3. 에너지드링크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몇 잔씩 커피를 마시는 기자에게 카페인 적정 섭취량을 알아보는 것은 중요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카페인 1일 권장 섭취량은 성인 400mg 이하, 임산부 300mg 이하, 청소년 체중 kg당 2.5mg 이하다. 무슨 소린지 감이 잘 오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음료별 카페인 함량을 살펴 보자.이상하다. 아니 ... ...
- 깨끗한 지구 만드는 촉매홀릭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생각이 들지만 이름이 어렵다. 굳이 이들의 용도를 풀어보자면 용매제, 공업 원료, 의약, 농약, 화학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 녹아들어가 우리 삶을 보다 편리하게 바꿔주고 있는 물질이다. 이들은 석유화학 공정을 바탕으로 만들어지지만 공정만으로 가능하진 않다. 이들을 만들어내는 것은 다름 아닌 ... ...
- “절대 공부하는 척만 하지 않아야”과학동아 l2012년 11호
- 했다. 최고 인기 코너였다. 일종의 보드게임이었는데, 학생들이 가상의 돈으로 정유회사, 의약회사등에 투자해 수익률이 높은 사람에게 상품을 주는 게임이었다. 그 밖에도 여러 활동을 재밌게 했지만, 3학년 때 자기소개서를 쓸 때는 고민이 됐다.“처음에 고민했어요. 어떻게 보면 들쭉날쭉하게 ... ...
- 차세대 나로호 2025년 달을 쏜다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때문에 만들 수 없었던 순도 100%의 광물 결정체를 만들 수 있다. 이는 새로운 재료나 의약품 제조에 활용된다. 진공, 방사선, 초저온 등 지구에서는 구축하기 어려운 다양한 실험 환경도 확보할 수 있다.우주개발의 또다른 수혜가 스마트폰 등 이제 안 쓰는 곳이 없는 GPS(위치확인시스템)다.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