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험실, 채굴장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8번째 랩그로운 다이아몬드 생산 국가가 되었어요. 2021년 12월,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송오성 교수와 KDT 다이아몬드가 협력하여 랩그로운 다이아몬드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죠. 다이아몬드 씨앗의 4주간 성장기 천연 다이아몬드는 지구 맨틀 속 ... ...
- [현장취재] 해조류로 예술작품을 만들다! 하코다테 해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지난 8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 21명이 수산해양 연구로 유명한 일본 하코다테에 가서 해양탐사를 했습니다. 대원들은 해조류로 예술작품도 만들고, 국제과학제에도 참가해 일본 학생들과 교류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지요. 해양탐사대의 3박 4일 여정을 살펴볼까요? 해조류 천국, 하코다테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창 너머 아른아른 전통 한지공예 무드 등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산업단지가 만들어지면서 서식지가 파괴돼 멸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런데 올해 2월 27일, 일본 고베대학교 스에츠구 겐지 교수팀은 처음 발견된 서식지에서 불과 29km 떨어진 곳에서 이 식물을 다시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요정 등불이 속하는 티스미아과 식물은 엽록소가 없어 광합성을 ... ...
- [4컷 만화] 문어 빨판 닮은 패치, 따끔한 주사 대신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분자로 구성된 약물을 뺨 안쪽 점막을 통해 혈류로 전달할 수 있는 약물 패치를 개발해 9월 27일 발표했습니다. 이번에 개발된 약물 패치는 문어 빨판을 닮은 컵 모양으로 직경이 약 10mm, 높이가 6mm예요. 또한 입안 점막에 잘 침투할 수 있는 촉진제를 함께 넣어 약물의 투과성을 높였지요 ... ...
- [기획] 가장 맛있는 비법을 찾아라! 라면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지난 9월 27일부터 10월 10일까지 팝콘플래닛 누리집을 통해 어과동 독자들의 라면 취향을 조사했습니다. 매운 음식을 잘 못 먹어 진라면 순한맛을 좋아하는 독자도 있었고, 짭짤한 너구리를 좋아하는 독자도 있었죠. 유현수 독자는 “불닭볶음면이 맵고 자극적이어서 중독성이 있어 계속 찾게 ... ...
- [지구사랑탐사대] 도시숲에는 어떤 생물이 살아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지난 8월 26일과 9월 23일, 120여명의 시민들이 세종시의 도시숲에 모였습니다. 도시숲에는 어떤 생물이 살고 있을까요? 국립세종수목원의 도시숲지원센터와 지구사랑탐사대가 힘을 합친 에서 함께 알아봤어요. 도시숲 생물 찾으러 시민 과학자들이 나섰다 ... ...
- [광고] 김군과 함께하는 트랙 대모험! 그래비트랙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10월 6일 저녁 5시, 그래비트랙스 가이드 ‘김군’ 선생님과 12명의 어과동 독자 기자들이 동아사이언스 다빈치룸에 모였습니다. 독자들은 김군 선생님의 수업에 따라 각자 개성 넘치는 트랙을 맞춰봤어요. 과연 어떤 작품이 나왔을까요? 김군의 그래비트랙스 꿀팁 대방출! “먼저 주인공이 될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달콤바삭! 크루아상 빼빼로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음식 사진을 보면 실제로 먹지 않아도 배부른 느낌인 포만감을 느낄 수도 있어요. 지난 5월 22일, 덴마크 오르후스대학교 티크 안데르센 교수팀은 이 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1149명을 대상으로 실험했어요. 첫 번째 그룹에는 동그란 모양인 주황색 M&M 초콜릿하나가 담긴 ... ...
- 해녀 취재를 위해 직접 바닷속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10월 4일, 기자는 약 100명의 해녀가 활동하고 있는 거제로 향했습니다.해녀를 취재하려면 해녀가 하는 물질이 뭔지 알아야죠! 한국해녀문화전승보존회 최영희 회장님을 만나 함께 바닷속으로 들어가 봤습니다. 똥군 기자, 물질하러 바다에 뛰어들다! “으하하! 하군보다도 못한 ‘똥군’이 왔네 ... ...
- [가상 인터뷰] 고양이의 가르릉 소리에 담긴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사람 목소리로 내는 가장 낮은 저음보다도 훨씬 낮은 거야. 어떻게 그게 가능해? 지난 10월 3일,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 음성과학자 크리스티안 허브스트 박사팀은 호흡기와 관련 없는 병을 앓다가 안락사한 집고양이 8마리를 대상으로 울음 소리를 분석하는 실험을 했어. 실험 결과, 고양이의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