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구
영겁
무한
영원무궁
무궁
항구
구원
d라이브러리
"
영원
"(으)로 총 392건 검색되었습니다.
1. 생활 속의 디지털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음질이 나빠지는 LP와 달리 CD는 수없이 재생해도 음질이 나빠지지 않는다.순간과
영원
, 비효율과 효율, 마모와 복제의 대결이 아날로그와 디지털에 숨어있고 이 대결은 최근 쏟아져 나오고 있는 디지털 생활용품들에서 여실히 나타난다.최근 현대전자와 삼성전자는 필름없이 사진을 찍고 현상 인화 ... ...
PART Ⅰ. 훈련은 필수, 나이는 무관 당신도 초능력자가 될수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능력은 날이 갈수록 향상됐다. 숟가락을 구부리고 공중에 뜨는 일에만 골몰한 사람들은
영원
한 ‘초보’에 머물 수 밖에 없을 것 같다.이런 면에서 신재호씨는 자라나는 어린이들이 자신의 딸처럼 나름대로 특수한 능력을 개발해 세상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그는 “예를 들어 훈련을 받은 ... ...
냉동인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우리는 냉동보존기술에 대해 좀 더 진지하게 마음의 준비를 할 때가 온 것 같다.
영원
히 살고 싶은 인류의 오랜 꿈이 이뤄진다면 인류는 과연 행복할 수 있을까. 아니면 아시모프 박사의 충고처럼 '냉혹하지만 질서있는 만물의 세대교체'라는 자연의 섭리 안에서만 우리는 행복할 수 있는 걸까.얼마 ... ...
철학종교-죽음은 소멸이 아니라 소생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모든 것이 다 무수한 상호관계 속에서 생겨나고 존속하며 없어진다고 한다. 그러므로
영원
히 변치 않는 그 어떤 것도 인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현재의 나라는 것도 정신적 그리고 물질적 여러 차원의 상호작용 속에서 끊임없이 변하면서 존재하는 것이다. 죽음이란 이러한 변화과정 가운데 하나의 ... ...
김환기 CD화집
영원
의 노래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예술, 특히 미술에 있어 '멀티미디어'란 어떤의미인가. 관점에 따라서는 붓과 물감을 사용하던 화가가 그래픽 소프트웨어를 창작도구로 이용하는 것일 수도 있고, 아예 백남준의 비디오아트처럼 청단 멀티미디어 기기를 이용한 설치미술일 수도 있다. 그러나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체감할 수 ... ...
화학- 감자로 도장 위조하기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식물성 기름인 피마자유가 들어 있기 때문에 두 개의 구조가 비슷해 섞인다. 소설 '
영원
한 제국' 속에 언급된만큼 선명하게 찍히지 않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예를 들어 감자를 찌는 방법. 누르고 있는 시간, 그리고 옛날 인주와 요즘 인주의 성분 차이 등을 들 수 있다. 여러분이 직접 실험해서 ... ...
3. 열역학법칙을 어떻게 볼 것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그 상태에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우주의 시작점은 분명히 있어야 하고 또한 우주가
영원
할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제2법칙은 창조 시점이 있었음을, 제1법칙은 우주가 스스로 창조될 수 없음을 말해준다. 두 법칙은 하느님을 우주의 제1원인으로 가르치고 있다. 과학법칙과 성경이 공히 우주의 ... ...
인공위성 실패확률 어느 정도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모두 지상관제소에서 통제한다.궤도를 못찾아 지상과의 통신이 두절되면 인공위성은
영원
히 우주미아가 된다. 어포지모터가 작동되지 않아 우주의 미아가 돼버린 예는 94년 8월말에 일본이 H2로켓에 실어 쏘아올린 기상위성 기쿠6호. 이 위성은 무게가 2t이나 되고 궤도에 진입해 태양전지판을 ... ...
20세기 천문학의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인터넷을 통하여 막 관측을 마친 결과가 나와 있었다.(2) 팔로마 전문대(Palomar Observatory)-
영원
한(?) 세계 최대국민학교 때 자연시험 문제가 기억난다. "세계에서 가장 큰 천체망원경은 미국( ) 천문대에 있는 지름( )m 망원경이다." 당시 이 문제의 정답은 각각 '팔로마'와 '5'였다. 그때 사진을 보고 몇 ... ...
사람은 왜 죽는가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줄 수 있다면 장수의 꿈을 이루게 돼 평균수명이 2백-3백세로 늘어날지도 모를 일이다.
영원
불멸의 삶이란 동전의 앞면과 뒤면 같다. 암과 같은 치명적인 질병만이 현재에는 그 혜택(?)을 누리고 있고, 우리는 모두 일정한 시한부의 삶을 살고 있다. 우리의 삶을 결정짓는 일들이 염색체의 맨 끝에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