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의견을 냈어요. 정보 인재들의 낚시 배틀 “공 모양 로봇의 방향, 속도, 시간을 조정해 여러 벽에 붙어 있는 고기를 잡으세요!” 로봇 프로그래머가 꿈인 윤성현 부천중학교 3학년 학생이 ‘TEPIA 첨단기술관’ 로봇 낚시의 신으로 등극했습니다. 2명씩 조를 이뤄 코딩으로 로봇 공을 조작해 낚시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한국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현재는 6차 교육과정을 운영 중이죠. 교육과정을 개편할 땐 저희 학교 선생님들과 KAIST 여러 학과의 교수님들이 함께 치열한 논의를 거듭합니다. 교육과정이 이공계 연구자 육성의 비전으로서 지니는 의의가 작지 않아서, 다양한 관점을 수렴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매 학기의 과목은 5명 이상의 ... ...
- [이달의 책] 마리 퀴리가 쏘아올린 현대 과학의 작은 원소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내용일까? 최근의 수상들은 과학동아를 비롯한 매체의 기사에서, 더 오래된 연구들은 여러 과학 교양서에서 접하곤 한다. 특히 역사의 일부가 된 과거의 연구일수록, 그 구체적인 연구 내용과 방식이 담긴 과학자들의 논문 자체보다는 그 결과인 짧은 단어만으로 전해지는 경우가 많다. 물리학자 ... ...
- [수학 궁금증 해결! 출동, 슈퍼M] 바코드는 어떻게 만드는 건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숫자, 어떻게 만들어질까?바코드를 자세히 살펴보세요. 검은색 긴 막대기 바로 아래에는 여러 개의 숫자도 적혀 있어요. 이 숫자들은 무엇을 나타내는 걸까요? 슈퍼M이 알려줄게요.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바코드에는 13자리의 숫자로 이뤄진 ‘표준형 바코드’와 8자리의 숫자로 이뤄진 ‘단축형 ...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받는 건 물론 좋은 일이지만, 상에 대해 크게 생각하지 않아요. 지금까지 운이 좋아서 여러 상을 받았지만, 그것이 연구에 영향을 끼치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Q. 수학과 물리학은 어떤 관계라고 생각하나요? 양자장론은 수학적으로 이해하기가 매우 어려워요. 지금까지 수학자들은 양자장론의 ...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증명에 매료되고 그 방식에 익숙해졌을 거예요. 다른 이유는 전혀 그럴 것 같지 않은 여러 수학적 진리를 증명으로 설득해냈기 때문입니다. 증명은 이전에는 몰랐거나 아니라고 생각했던 사실을 논리적인 과정을 통해 말이 되게끔 만들어요. 정다면체는 다섯 종류만 존재한다든지, 외접하는 원뿔, ... ...
- [가상인터뷰] 4억6000만년전 삼엽충은 뭐 먹고 살았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남겨졌지만 내장기관까지 보존되긴 쉽지 않아 그동안 삼엽충의 먹이 활동에 대해서는 여러 추측만 있어 왔다. 9월 27일, 페트르 크래프트 체코 프라하 카렐대 연구원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삼엽충의 마지막 식사가 보존된 화석을 분석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23-06567-7 이 ... ...
- [최신 이슈] 에너지·화학 산업에 불어온 ‘흰 물결’ 화이트바이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등을 찾는 것부터, 이 생산 과정을 최적화하고, 생산된 화학물질을 활용하는 과정까지 여러 단계로 구성된다. 기업의 축적된 노하우 없이는 쉽지 않은 일이다. GS칼텍스 화이트바이오개발센터의 3HP 프로젝트 리더인 유미정 책임연구원은 “화이트바이오 기술 개발은 미생물 발효 공정, 분리정제 ... ...
- [이그노벨상] 좋은 과학은 웃긴 과학 (일지도 모른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우리는 올 한 해, 수많은 이그노벨상 수상 연구들을 둘러봤다. 연구들을 보고 있자면, 도대체 이 많은 연구에 상을 주자는 발상을 떠올린 사람은 누구였을까 궁금하지 않 ... 있었다고 말했다.❋이번 호를 마지막으로 ‘이그노벨상’ 연재를 마칩니다. 함께 웃어주신 주신 독자 여러분께 ... ...
- [과동키즈] 내 소설의 날개를 펼치기에 SF는 최적의 공간이었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한 가지 깨달음은 얻었다. “절대 포기하지 말자. 버티는 자가 결실을 맛본다.” 독자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인 동시에, 글을 처음 쓴 6년 전과 지금의 내게 하고픈 말이다. 부디 모두 포기하지 않길 바란다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