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치"(으)로 총 3,76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교실에서 바다를 읽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시범운영 중이다.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아카데미에서는 ODV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한 뒤 조작하는 방법과 해(海)봄 교실 활용법, JOISS의 해양데이터를 그래프 형식으로 바꿔보는 방법을 교육한다.해양데이터 리터러시를 학교 현장에서 원활히 활용하기 위해 지난 8월 4일부터 6일까지, 그리고 14일까지 ... ...
- [한페이지 뉴스] 화성 여행, 화창한 2030년대에 떠날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우주선을 모델링했다. 이후 구형 알루미늄으로 만든 차폐막 내부에 우주인 모사체를 설치한 뒤 외부에서 고에너지 입자를 충돌시키는 실험을 진행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내부에서의 위험도는 차폐막 두께와 방사선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주방사선은 크게 태양에너지 입자 ... ...
- 도시 새의 둥지 짓기 프로젝트 │ 아늑한 내 집, 뭘로 만들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홍릉숲 탐방에 동행한 박찬열 국립산림과학원 도시숲연구과 연구관이 숲 입구에 설치한 인공 새집을 조심히 열었습니다. 박새가 잠시 자리를 비운 둥지는 나무 지붕 아래 진흙, 이끼, 그리고 흰 솜털 순으로 살뜰히 만들어져 빗속에서도 보송보송한 모습이었습니다. 박새 둥지는 도시 속에서 ... ...
- [논문탐독] 세차게 내리는 빗방울을 하늘에서 들여다 보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유형’과, ‘강수입자가 작은 대신 그 수가 더 많은 유형’입니다.전자는 주로 대륙에 설치된 기기에서 관측됐고, 후자는 바다 위의 섬에서 주로 관측됐습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대륙성 및 해양성 집중호우 구름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전 지구를 관측하지 못했다는 ... ...
- 다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합니다. 여기에 더해 거대한 날개와 무거운 모터까지 조립해야 하죠.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8분 가량의 영상 중 하이라이트는 발전기의 날개를 옮기는 장면입니다. 날개가 너무 커서 옮기기조차 쉽지 않더라고요. 우리가 누리는 전기가 이렇게 복잡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거였다니! 나는! ... ...
- [특집] 땅에 묻혀있던 하늘이 드러나다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다른 하나는 기후를 측정하고 예측하는 오늘날의 기상청과 유사한 기관인 서운관에 설치했습니다. 나머지 두 개는 함길도와 평안도의 군사 지역에 배치해 경비 임무와 군사 경계 태세를 강화하는데 사용했습니 다. 일성정시의는 정밀한 관측 기기지만 크고 무거워 군대에서 사용하기는 ... ...
- [특집] 가볍게 들고다니며 시간을 알아보자. 혼개통헌의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밤하늘을 감상하는 용도로도 쓰입니다. 우리나라에는 80여 곳에 플라네타리움이 설치돼 있습니다. 주로 국립과학관이나 천문대, 연구소와 대학교의 부속 시설로 설립돼 있죠 ... ...
- [기획] 2020 도쿄올림픽 스케이트 보딩, 서핑 그리고 스포츠 클라이밍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두 선수가 15m 암벽을 얼마나 빨리 올라가느냐를 겨루는 ‘스피드’, 4.5m 높이의 암벽에 설치된 인공 구조물을 로프 없이 맨몸으로 오르는 ‘볼더링’, 15m의 경사면을 얼마나 높게 올라가는지 겨루는 ‘리드’ 등 세 가지 종목으로 나뉩니다. 세 종목의 순위를 곱해 가장 낮은 점수를 얻은 사람이 ... ...
- 우주로부터 지구를 지켜라! 우주위험감시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관측하는 데 활용된다. 다만 소행성은 표면반사율이 매우 낮아 크기가 작은 경우 지상에 설치된 광학망원경으로 감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를 보완하고자 NASA에서 운영하는 적외선 우주망원경 ‘NEOWISE’ 등으로 관측한 자료를 활용하기도 한다. 김 선임연구원은 “평시에는 NASA와 더불어 전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세계 네 번째로 구축한 코로나19 영장류 감염 모델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모델은 쥐다. ‘2020년 식품의약품 통계연보’에 따르면 2019년 국내에서는 쥐를 비롯한 설치류가 보건·의료 관련 실험동물 중 98%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쥐는 사람과 유전적으로 약 90% 일치할뿐더러 임신기간이 3주 내외로 짧고, 새끼를 한 번에 5마리에서 많게는 13마리까지 다수 낳는 장점이 있다.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