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소니
f 88
smu
삼성
소니 mp3
소니mp3
d라이브러리
"
바이오
"(으)로 총 1,20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냉동인간, 우주로 향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생명 연장을 넘어 우주로!많은 사람들이 생명 연장을 꿈꾸면서 냉동 인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요. 미래에는 대부분의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장수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인체 냉동 보존술이 냉동 인간에만 쓰이는 건 아니에요. 이미 우주 여행이나 의학 ... ...
Part 3. [도전 ➋] 얼린 세포를 다시 녹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얼었던 싹, 꽃을 피우다!식물 세포를 냉동했다가 다시 녹여서 원래의 모습을 그대로 복원하는 기술은 이미 개발돼 있어요. 지난 2014년, 농촌진흥청은 액체질소로 냉동 보존하고 있던 나리 꽃 줄기의 일부를 해동해서 키운 뒤, 꽃을 피우는 데에도 성공했답니다. 농촌진흥청 이정윤 연구사는 식물 ... ...
Part 4. [도전 ➌] 냉동 인간의 핵심은 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나노 로봇이 뇌를 깨운다?뇌는 냉동 인간을 실현하는 데 가장 까다로운 조직으로 뽑혀요. 뇌에는 그 사람의 의식과 기억이 들어 있기 때문에 다른 장기와는 달리 새로운 뇌나 다른 사람의 뇌로 바꿀 수 없거든요. 많은 과학자들은 앞으로 뇌를 해동할 때 나노로봇 기술이 꼭 필요하다고 말해요. 수 ... ...
Part 2. [도전 ➊] 세포를 냉동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물의 결정화를 막아라!몸을 차갑게 얼렸을 때 가장 큰 문제는 세포에서 일어나는 ‘수분의 결정화’예요. 우리 몸은 수십조 개의 세포들이 모여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역할을 해요. 하지만 온도가 점점 내려가면 세포를 구성하고 있던 수분이 얼면서 뾰족한 결정 모양으로 바뀌어요. 그럼 마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
블리츠코리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많은 생물들이 가까운 곳에 살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웠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2018년
바이오
블리츠코리아는 대전에서 열릴 예정이에요. 생물의 이름을 찾아 다양성을 지키고 멸종을 막는 활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든 참가 가능하답니다. 어과동 친구들도 내 손으로 새로운 종이나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투여해 치료하며, 최근 국내에서 국제백신연구소(IVI·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와 유
바이오
로직스가 경구용 콜레라 백신 ‘유비콜’ 개발에 성공했다. 후보물질 4. 페스트균(Yersinia pestis)유럽 역사상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감염병을 하나 고르라면 단연 페스트(흑사병)다. 당시 페스트균은 벼룩을 ... ...
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두려워하지 말고 도전해 보세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씨 없는 수박부터
바이오
연료까지! 수박의 변신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Part 2. [변신 2단계] 더 작게! 더 간편하게!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 ...
[과학뉴스] 산호도 씹어 먹는 돔의 비밀 밝혔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파랑비늘돔의 치아는 1cm2 당 82t(톤)의 마모 압력을 견딜 수 있다. 길버트 교수는 “
바이오
미네랄 성분이 어떻게 생성되고 기능하는지 알 수 있었다”며 “치아의 구조를 모방해 새로운 재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 11월 15일자에 실렸다. doi:10.1021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세상에는 70억 명이 넘는 인구가 있고, 이들은 저마다 다른 얼굴을 하고 있다. 물론 일란성쌍둥이처럼 거의 똑같은 얼굴도 있지만, 이들조차도 점의 개수나 위치 등 서로를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을 최소 한 가지는 갖고 있기 마련이다. 사람의 뇌는 다른 사람의 얼굴을 알아보는 데 약 70ms(밀리초·1ms ... ...
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수박을 먹을 수 있게 된 거예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씨 없는 수박부터
바이오
연료까지! 수박의 변신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Part 2. [변신 2단계] 더 작게! 더 간편하게!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