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능"(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사탐, 우동수비대 모여라! 동물· 곤충 사진 잘 찍는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생물도 순식간에 포착해 흔들리지 않게 찍을 수 있답니다. 이런 줌과 셔터 스피드 기능은 동물원만이 아니라 경기장과 콘서트장을 갈 때도 유용하죠.촬영법도 간단해요. 검지손가락으로 위쪽 줌 버튼을 누르며 사물을 확대한 뒤, 촬영 버튼을 누르면 끝이지요. 녹화 버튼을 누르면 영상을 찍을 수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소셜미디어를 통해 사회활동을 할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거예요.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에, 앞으로도 더 다양한 종류의 소셜미디어가 더 확장된 기능을 통해 디지털 시민들과 만나게 될 것입니다. 필자소개 이진석(부산 명덕초 교사)부산에서 교사로 근무하고 있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교재를 다수 집필하였다. 사람들이 디지털 나라 여행 중 미로에 ... ...
- [과학뉴스] 인간에 돼지 신장 이식, 이종간 이식 실험 첫 성공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이식 후 54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 소변 생성이 원활하게 이뤄졌으며, 신장이 제대로 기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인 크레아티닌 수치도 정상으로 나타났다. 어떤 거부 반응도 일어나지 않았다. 수술을 집도한 몽고메리 센터장은 10년 안에 심장, 폐, 간과 같은 돼지의 장기들이 장기 이식이 ... ...
- [4컷 만화] 해조류 덕분에 40년 만에 시력을 찾았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한다”고 말했어요. ●망막색소변성증 : 망막에서 빛을 받아들이는 부분인 광수용체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시력을 잃는 질환. 세계적으로 약 200만 명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23화. 수학과 졸업하면 뭐할까?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수학 알고리듬이 숨어 있거든요. 하루에도 몇 번씩 사용하는 유튜브 앱의 ‘추천 동영상 기능’은 모두 수학 알고리듬으로 계산한 결과를 보여주는 거예요. Q5. 앞으로의 계획이 궁금해요! 윤석 저는 지금 하는 일을 계속하고 싶어요. 이 일을 잘하기 위해 기회가 된다면 컴퓨터 공학을 공부하고 ... ...
- [기획] 사람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키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남기고, 줄기세포를 심어 인공 간을 만들었다. 그리고 인공 간의 혈관이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간경화 증상이 있는 생쥐에 이식해 상태가 좋아지는 것을 확인했다.●탈세포화: 조직에 있는 세포를 모두 제거하는 과정. 14일, 왜 기준이 되었을까? 수정 후 약 14일이 지난 배아에서는 각 세포가 ... ...
- [이슈] 수학으로 찰칵찰칵! 엘사와 우디 얼굴로 바뀌는 비결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애니메이션의 주인공처럼 사진을 찍는 게 인기예요. 스마트폰에서 ‘애니메이션 필터’ 기능이 있는 카메라 앱을 켜고 얼굴을 찍으면, 누구나 애니메이션 속 주인공으로 변신할 수 있지요. 그런데 그 원리에는 수학이 숨어 있어요. 수학 탐정, 나와 닮은 캐릭터를 찾아줘!애니메이션 필터를 장착한 ... ...
- 역사가 된 실패, 과학자의 망한 연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분류하기 위해 신체 기관의 상관관계를 이용했는데, 신체 기관의 해부학적 특징, 위치, 기능 등을 주로 살폈다. 예를 들어 현대 진화학에서는 같은 문(phylum)에 속하면 공통 조상에서 유래했다고 보는데, 신체기관의 해부학적 특징을 광범위하게 비교·분석한 그의 업적은 진화론을 뒷받침하고 있다. 1 ... ...
- [융복합 파트너] 새로운 길 개척한 분자구조의 설계자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주변에서 큰 기대가 없었다”며 “하지만 복잡했던 촉매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유기 촉매의 개발이 유기합성에 활용되며 우리 생활에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다”고 말했다.유기합성 과정은 촉매뿐만 아니라 어떤 반응에너지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도 바뀔 ... ...
- [이달의 책] 배터리에 관한 거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존재였다.18세기에는 동물과 인체에 전류를 흘려보내는 실험으로 전기신호가 뇌 기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19세기에 와서는 뇌의 구조가 인간의 성격과 관련돼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뉴런의 존재도 이때 밝혀졌다.20세기 후반에 들어서는 오늘날 우리가 아는 뇌 과학의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