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긍정"(으)로 총 793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가서 망했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것이다.이 책은 표지에 나온 것처럼 ‘강자를 이기는 약자의 기술’을 다룬다. 그런데 ‘긍정적인 마음으로 불굴의 의지를 가지라’는 상투적인 자기계발서와는 다르다. ‘워싱턴포스트’에서 과학기자를 역임한 경력답게 저자는 각종 심리학, 교육, 뇌과학 증거를 내밀며 “세상에는 약자이기 ... ...
- 겨울은 사랑을 부르는 ‘도파민’의 계절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중 도파민이 유난히 ‘사랑 호르몬’으로 주목을 받는 것은 도파민을 만드는 신경세포가 긍정적인 자극에만 반응하기 때문이다. 크리스토퍼 피오릴로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는 원숭이를 이용해 보상받는 것, 보상받지 못하는 것, 처벌받는 것, 처벌받지 않는 것으로 나눈 뒤 도파민 수치를 ... ...
- 면역세포로 암세포 ‘킬러’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에마는 혼수상태에 빠졌다. 하지만 이는 T세포가 에마의 몸에서 제대로 활동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였다. 몸의 면역체계가 외부 침입에 과하게 반응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의학 용어로는 ‘사이토킨 발작(cytokine storm)’이라고 부른다. 차츰 안정을 되찾은 에마는 일주일 뒤 깨어났고, 이 날은 ... ...
- [현장취재 ❶] 수학동아 클리닉 덕분에 수학 자신감 되찾았어요!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어머니)이처럼 수학동아 클리닉에 참여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전과 달리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되었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수학에 대한 이런 태도 변화는 스스로 영재교육원에 도전하고, 방과 후에 수학 공부를 하는 것과 같은 행동의 변화로 이어졌다.수학동아 클리닉의 메인멘토로 ... ...
- 스트레스 엄마, 제 마음의 목소리가 들리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자아존중감을 떨어뜨리게 된다. 자아존중감이 부족해 자신에게 부정적인 어린이는 긍정적인 아이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뿐 아니라 우울, 신경증, 두통 같은 정신적 질환에 시달리기도 쉽다. 어린 시절에 한 번 형성된 자아존중감은 성인이 된 뒤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문제다.꽁꽁 묶을수록 ... ...
- 마지막회 폴의 선택은?수학동아 l2013년 12호
- 공간에 고요히 서 있었다.“폴! 폴, 너니?”폴리스가 그를 부르자 폴이 돌아봤다. 그는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은 채 이야기 했다.“일곱 번째 방의 열쇠는 바로 나였어. 다 내 맘대로 하래. 당연히 세상의 붕괴는 나쁜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테스티의 말을 들어보니 꼭 그렇지만도 않은 것 같아. ... ...
- Part 2_ 보이지 않는 68%의 수수께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밝히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지 가능성을 타진하는 수준이었다. 결과는 긍정적이었다. 암흑에너지 자체에 대한 이야기가 가능해지는 건 2010년대에 시작된 3세대 연구부터다. SDSS에는 우리나라 고등과학원도 10년째 참가하고 있다.암흑에너지 찾는 네 가지 방법암흑에너지 특별위원회는 ... ...
- 시간여행이 만든 잔혹한 스릴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상상력을 자극하는 영화는 과학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면서 이번 영화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과학적으로 가능한 상상력이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자칫 잘못하면 과학적으로 오류가 있는 지식을 대중에게 심어줄 수 도 있기 때문이다. 사실 ‘11시’에서 ... ...
- 어른인데… 나도 혹시 ADHD?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인간관계를 맞이하고, 이를 통해 극적으로 달라진 삶을 경험해 보면 치료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되죠.”성인 ADHD는 때로 “복잡한 현대 사회에서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건망증을 비유한 말로, 불필요하게 과장한 것은 아닌가?”라는 오해를 받는다. 하지만 성인 ADHD의 증세는 의학적인 실체가 ... ...
- 흡연장면 보면 7일간 담배가 ‘땡긴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미국 피츠버그에 사는 18세에서 24세 사이의 대학생 134명을 대상으로 3주 동안 담배를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미디어를 접하게 했다. 참가자에는 비흡연자와 부정기적, 정기적 흡연자가 모두 있었다.친담배 성향의 미디어에 한 번 노출되면 그 즉시 담배를 피우고자 하는 욕구가 평균 22% 증가했다.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