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가
재초
전가
d라이브러리
"
개가
"(으)로 총 337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초의 특허, 유전공학에 의해 탄생한 쥐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생명공학의
개가
이자 유전공학계에 큰 충격을 준 쥐. 미국 특허청은 지난 4월 하버드대학과 그 교수였던'필립 레더'와'티모시 스튜워트'(두사람 모두 현재는 제네텍사에 근무)에게 특허를 주었다. 이들은 쥐뿐만 아니라 암 유발인자를 세포핵속에 포함한 모든 유핵(有核)동물(인간제외)에 대해서도 ... ...
첫 국제모터쇼 성황 서울에 등장한 세계의 유명차들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2기통 5천㏄에 최고속도 2백50㎞를 자랑하는 1억6천5백만원짜리 승용차를 '독일완벽주의의
개가
'라는 선전 문구와 함께 선보이기도. 폴크스바겐의 '골프GTI 16V'는 1천7백81㏄에 최고시속 2백㎞, 가속능력은 9초만에 시속 1백㎞. 심플한 외관속에 고성능이 잠재돼 있다는 것인데, 공기저항계수 0.34에 ... ...
부활을 기다리며 냉동인간 제조 이미 수백명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활용된다. 최근 알버타대학의 연구팀은 냉동보존을 이용한 당뇨병치료에
개가
를 올렸다. 인슐린을 분비하는 랑겔한스섬이라고 알려진 췌장세포를 냉동보존한 것이다. 나중에 냉동된 췌장세포를 녹여 당뇨병에 걸린 실험용 쥐에 이식했더니, 쥐의 몸안에서 인슐린생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 ...
PART4 왜 동물은 털이 많을까?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하지만 스컹크는 독한 냄새의 분비물을 배출하여 몸을 보호하기도 한다. 더우면
개가
혀를 내미는 이유 에크린선은 인간과 영장류에 주로 분포되어 있는 한선으로 열조절 작용을 맡고 있으며 손바닥 발바닥 이마 및 겨드랑이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다. 개나 고양이에서는 발바닥에만 분포되어 ... ...
1억2천8백만 달러를 벌어들인 개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개월동안 무려 1억2천8백만 달러(약 9백75억원)어치의 마약을 찾아 냈다고. 이들 두마리의
개가
이토록 놀라운 성과를 보이자 화가난 마약밀매자들은 두개를 죽이는 자에게는 3만달러의 현상금을 걸기도 했다. 이 두마리의 개는 벨기에산 '말리노이스'인데 혈통은 독일의 세퍼드와 비슷하다. 이 ... ...
특수견(犬)의 능력과 훈련모습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한토막. 개의 특성을 잘 모르는 사람은
개가
잘잘못을 구별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래서
개가
어디론가 사라진뒤 귀소본능에 따라 되돌아 오면 그런 행위를 다시는 못하게 하기 위해 때리는 것으로 벌을 준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개는 왜 자신이 매를 맞았는지 그 이유를 모른다. 재차 가출을 했을 ... ...
비스무스 이용, 고온초전도체 개발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시작되는 온도가 지금까지 세계에서 공인된 가장 높은 것. 따라서 이번의 연이은
개가
는 상온(常溫)에서 초전도현상을 일으키는 새물질을 발견하려는 과학계의 꿈을 한발 앞당긴 셈이다. 이 신비의 물질은 아울러 물리적으로 안정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종래의 이트륨 고온초전도체에 비해 물을 ... ...
PART4 인공심장, 제2단계로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주립대의 ‘피어스’교수에 따르면 앞으로 수년내에 미국에서만 연간 1만7천개~3만5천
개가
소요될 것으로 보이는 인공심장은 끊임없이 신의 영역을 잠식해 갈 것이다 ... ...
컴퓨터가 바꾸어 논 대학의 모습 입학시험부터 졸업증명서까지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이용자는 예전과 같은 북카드(Book Card)를 찾아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거치지 않고도
개가
식으로 설치된 도서관에서 자유로이 원하는책을 대출받을 수 있다.이때 도서에 부착된 바코드(Barcode)를 단말기와 연결된 바코드리더(Barcode Reader)로 읽어서 입력시킨다. 도서속에는 자성체, 소리를 내는 ... ...
콩을 다년생 초본으로 개발한 주역 장권열 교수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수 있는 다년생초본으로 육종개발 했다는 것은 우리나라 유전공학 발전과정에서 하나의
개가
이면서 농업발전의 새로운 장을 여는 계기라고 할 수 있겠다. 콩육종개발의 주역인 경상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장권열교수(張權烈·59·농학박사)를 만나 개발하기 까지의 과정을 비롯한 상세한 얘기를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