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곳간
저장소
저장실
상품보관소
광
보관소
저장고
d라이브러리
"
창고
"(으)로 총 357건 검색되었습니다.
4. 화학전
과학동아
l
199102
전쟁의 흐름을 훨씬 심각한 국면으로 몰고 갈지도 모른다. 이를테면 미국이 2차대전 이후
창고
에 보관만 해왔던 핵무기를 끄집어내 보복공격을 할 가능성도 전적으로 배제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1차 세계대전 부터 실전에 사용됐던 화학무기는 제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해 '가난한 나라의 핵무기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02
사건의 지평선 밑에 있는 정보(빛 물질)를 차단하고 있으므로 무지(無知), 즉 엔트로피의
창고
라고 할 수 있다.검은 구멍이란 이름을 만든 휠러는 '검은 구멍'은 대머리(no hair)란 주장을 했다. 그는 검은 구멍으로부터 얻어 낼 수 있는 정보(털)는 총질량 총각(角)운동량 총전하(電荷) 등 세개에 ... ...
침묵의 바다를 깨우는 로봇
과학동아
l
199101
광섬유 기술의 발달로 출현한 심해용 로봇은 인류의 마지막 보물
창고
인 바다 개척에 새 지평을 열고 있다. 나라간의 무역이 시작된 이래 수세기 동안 엄청난 양의 재화가 바다 속에 침몰해 잠겼다. 몇년 전까지만 해도 깊은 바다에서 무엇을 잃어버린 것은 달에서 잃어버린 것과 마찬가지였다. ... ...
동물한테 배우는 비만치료법
과학동아
l
199012
것이다. 반면 여성은 임신이나 출산 후의 몸조리를 위해 긴 기간동안 사용될 에너지
창고
가 필요했을 것이다."캘리포니아 대학의 그린우드박사의 말이다.효소 양으로 지방대사 조절그러나 복부 지방등의 급속한 신진대사가 너무 오래 지속되면 몸에 해로울 수 있다. 순환계의 구조상 방출된 지방산 ... ...
주변기기 활용법/ 디스켓
과학동아
l
199012
트랙과 나뉜 작은 방들은 각각 고유한 번호를 가지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담아두는
창고
가 된다. (그림2)를 참조하기 바란다.작고 가볍고 저렴하다. 디스켓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는 가장 큰 이유다. 하드 디스크의 경우 많은 용량의 데이터를 저장,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인 반면 한번 ... ...
잉카문명
과학동아
l
199012
중앙광장을 둘러싸고 궁전, 태양의 신전, 수녀원(태양의 처녀를 위한 승려원), 식량
창고
등의 건물이 서도록 설계됐다. 도시의 뒷면에 있는 산에는 방벽을 쌓아 요새로 활용했다.건축자재로는 돌과 햇볕에 말린 진흙벽돌을 사용했다. 특히 큰 석조건축물을 지을때는 돌과 돌 사이를 밀착시켜 ... ...
IC 카드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11
정보
창고
에 접근할 수 있는 열쇠에 불과하다면 IC 카드는 자체내에도 일정량의 정보
창고
(메모리공간)를 가지며, 이것을 꺼낼 수 있는 판단능력(마이크로프로세서)도 갖춘 셈이다. 또한 IC카드는 그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정보도용이 자기카드에 비해 훨씬 어렵다는 장점도 갖고 있다. 정전기에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l
199011
공기는 뒤쪽 위에 나있는 통풍창으로 흘러 나갈 것이다.해인사의 판전은 판목의 보존
창고
로는 아주 이상적인 건물로 설계되고 지어졌음에 틀림없다. 판고에 들어서 보면 그 안의 공기가 상쾌함을 피부로도 느낄 수 있다. 이 느낌은 앞으로 측정계기를 활용, 정확한 데이터로 작성해 볼만 하다. ... ...
연체동물이 뿌리는 먹물의 용도는?
과학동아
l
199008
따르면 '느림보'의 먹물은 유용한 색소(먹이인 조류(algae)에서 추출한)를 보관하는 '저장
창고
'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실제로 이 색소들은 '느림보'의 체벽에서 쉽게 발견된다. 또 피부의 색깔도 이 색소들을 닮는다. 예를 들어 녹조류를 즐겨먹는 '느림보'가 갈조류를 먹었을 경우 피부색은 분홍끼를 띤 ... ...
서해안은 자원의 보물
창고
과학동아
l
199007
최근 정부가 남북한 공동개발을 제안하는 등 대륙붕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다.우리는 불과 10년후로 다가선 21세기를 찬란한 첨단과학 문명시대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면서도 지구의 환경문제와 자원의 취약성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빈번히 거론되고 있는 이상기온 현상, 세계 각지의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