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속내복
속옷
내복
내의
d라이브러리
"
속내의
"(으)로 총 606건 검색되었습니다.
Ⅳ. 미래의 문을 여는 바이오 칩
과학동아
l
199903
1기가 비트의 반도체 칩에 쓰인 막은 인간이 만들 수 있는 최대한의 박막인가? 이제 새로운 박막의 가능성은 사라진 것일까. 아니다. 생체분자박막으로 이뤄진 바이오 칩들이 미래의 문을 여는 새로운 열쇠로 등장했기 때문이다.고도로 발달된 생명체인 인간은 오감(五感)이라는 감각기관을 이용해 ... ...
별무리 보석상자 산개성단
과학동아
l
199902
맑고 투명한 겨울밤, 동쪽 하늘에서 빛나는 1등성들을 보노라면 그 맑은 빛에 탄성이 절로 나온다. 여기에 오리온자리를 가로지르는 겨울 은하수의 여린 별빛을 감지할 수 있다면 살을 에는 찬바람도 잠시 잊을 수 있을 것이다.밤하늘에 뿌려진 별들 중 상당수는 혼자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 ...
① 우주 탄생에서 박테리아 등장까지
과학동아
l
199902
무한한 우주에서 유일하게 생명체가 존재하는 지구. 우주가 탄생한 시점이 1백50억년 전이고, 지구에서 박테리아가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 때는 35억년 전이다. 불과 하나의 박테리아가 탄생하는데 우주라는 어머니는 1백억년이 넘는 산고를 거쳐야 했다.바야흐로 ‘생명공학의 시대’라고 ... ...
② 수소 발견 이야기
과학동아
l
199901
캐번디시의 가연성 공기로 시작된 수소에 대한 탐색은 물질의 근본을 규명하려는 화학의 논의에서 항상 중심을 차지해왔다. 그리고 수소의 내부구조가 해명되자 수소는 모든 원소를 이루는 기본 원소가 됐다.수소는 우주가 시작할 무렵부터 자연에 존재했지만 인간이 수소를 분리하고 이름을 붙이 ... ...
밤하늘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l
199812
별은 태어나서 성장하고 죽어감에 따라 밝기가 달라진다. 이러한 변화에는 수억년에서 수십억 년이라는 긴 시간이 걸리기도 하므로 1백년에 못 미치는 짧은 인생을 살아가는 인간이 별의 밝기 변화를 관측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하지만 불과 며칠 또는 몇백일 사이에 밝기가 변하는 별들이 있는 ... ...
영재교육 뿌리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812
"어렸을 때는 다 영재야." 이 말은 사실이다. 무한한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 가능성을 최대로 실현시킬 수도 사장시킬 수도 있는 영재교육이 중요한 첫 발을 내딛고 있다. 영재교육진흥법이 이번 정기국회에서 통과될 예정이다. 과연 이 법은 청소년들의 영재성이 뿌리내릴 수 있는 기반이 될 ... ...
질량의 기원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811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는 ‘가장 작은’ 입자를 발견하기 위해 건설된 세계에서 ‘제일 거대한’ 가속기가 지하 깊숙히 묻혀 있는 곳이다. 서울 여의도만한 이곳에 세계 각국에서 모인 7천여명의 과학자들이 시간을 잊고 몰두하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2005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거대강 ... ...
Ⅲ 생활속으로 파고드는 우주기술
과학동아
l
199810
지난 4월 19일 버지니아주에 사는 6살 난 마이키 워커는 NASA로부터 값진 선물을 받았다. 그는 태양광선을 조금만 쬐어도 피부에 물집이 생기고 신경계가 마비되고 복통이 일어나는 선천성 포르피린병이란 고약한 병을 앓고 있었다. 그리 밝지 않은 40와트의 전구빛도 그에게는 치명적이었다. 그래서 ... ...
건강 파수꾼 침
과학동아
l
199809
맛있는 음식을 떠올리면 입에 침이 돈다. 수영복 차림의 미인을 쳐다보는 남자의 입에도 침이 돈다고 한다. 더러움이나 증오를 표시할 때는 침을 뱉는다. 아이들은 자기의 소유를 분명히 하기 위해 ‘침을 발라 놓았다’는 표현을 한다. 담배꽁초에 묻은 침으로 범인을 알아낼 수도 있다고 한다. 침 ... ...
초전도 현상과 BCS이론
과학동아
l
199808
고온초전도체 국내 연구진 개발’ 같은 신문 보도의 머리말에서 보듯 초전도 현상은 현대과학에서는 광범위하게 논의되는 주제이지만 일반인에게는 아직도 초전도라는 말조차 생소하다. 초전도란 무엇일까? 그리고 1987년을 전후해서 고온 초전도 현상이 왜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것일까?1911년에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