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립과학관
국립
d라이브러리
"
과학관
"(으)로 총 341건 검색되었습니다.
벽지 어린이들에게 과학의 꿈을
과학동아
l
199105
교사들이 직접 현지를 방문해 진행하며, 방학에는 학생들을 다시 서울로 초청해
과학관
방문 등 후속행사를 갖기도 한다.총 4부로 꾸며진 20일의 행사중 1부 현대과학과의 만남에서는 모형로켓을 발사하고 로봇쇼를 선보였다. 행사에 등장한 로봇은 과학기술진흥재단에서 '과학잔치'를 후원하기 위해 ... ...
플라네타리움 국산 제작 보급
과학동아
l
199103
또하나가 설치됐으나 워낙 설치비용이 비싸 한동안 공백기를 가졌다. 현재 대덕 국립
과학관
에 설치된 대형(돔지름 23m)을 비롯 지방학생과학교육원과 일부 학교에 10여개의 보급형이 설치돼 있을뿐이다. 이웃 일본에서는 대형 플라네타리움이 군단위마다 설치돼 있고, 백화점 공원 등 사람이 ... ...
이달에 만난 아마추어천문가 신혜성 발견 꿈꾸는 조상호씨
과학동아
l
199102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수많은 아마추어천문단체들이 활성화되고 지방
과학관
및 천문대의 기자재들이 아마추어들에게 일부나마 개방돼야 한다고 주장한다.주변의 친구처럼 학자금을 융자받아 천문기자재를 마련하는데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조씨도 아르바이트 수입의 거의 100%를 ... ...
한국 아마추어 천문 20년 전국적 통합단체 절실한 시점
과학동아
l
199102
멀어지는 일도 없게 될 것이다.현재 부산 지방에서 모범을 보이는 것과 같이 전국의
과학관
과 통합 단체가 연계될 수 있으면, 통합 단체는 가장 훌륭한 '영재교육기관'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어찌 그 뿐이랴. 1년에 몇번씩 통합단체 산하 전모임이 '스타 파티(star party)'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
PART1 대덕연구단지 92년 완성 앞둔 과학문화도시
과학동아
l
199010
대덕연구단지조성위원회를 통해 92년말까지 8천억원이 투입되고, 93년 대전박람회가 끝나
과학관
과 과학공원이 고스란히 남게되면 그 내실이야 어떻든 국내유일의 과학문화도시가 될 것이 자명하다.이 신도시에는 50여개의 연구기관과 2만여명의 연구인력이 결집된다.조기 입주를 위해 현재 ... ...
갈릴레이 망원경에서 전파망원경까지
과학동아
l
199008
인간의 시야를 한층 넓혀준 망원경이 발명된지 약3백년이 지났다. 망원경의 발달과정과 그 원리를 살펴본다.인간은 아주 훌륭한 시각(視覺)을 가지고 있어서 먼 하늘의 별이나 아름다운 자연을 볼 수 있다. 우리가 얻은 지식의 80% 정도는 시각을 통해서 얻어진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우리가 눈 ... ...
잃어버린 구석기 역사를 복원한다
과학동아
l
199008
썼는지를 밝혀낼 전자주사현미경(SEM) 검사 등의 연구가 계속돼야 할 것이다.최근 국립
과학관
이승모실장의 조사로 동관진유적에서 발굴된 여러 짐승뼈화석들이 도쿄대학에 소장돼 있음이 밝혀져 앞으로의 연구로 동물상에 관한 보다 정확한 비교연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또한 그동안 남북한 ... ...
담수어표본 50만점 기증한 생물학의 큰 스승 최기철 박사
과학동아
l
199006
"서울대에 줄까,
과학관
에 줄까 망설이다가
과학관
이 보다 대중적이라는 판단에
과학관
에 기증하게 되었습니다. 만약 우리나라에 자연사박물관이 있다면 주저없이 그곳에 주었을 거예요."최박사는 표본기증 직후 정근모과기처장관으로부터 감사전화를 받았다. 이때 표본을 싣고 방방곡곡을 ... ...
대덕시대 들어선 KAIST
과학동아
l
199004
활력소로 작용할 것임에 틀림없다. 과학기술원외에 시스템공학센터 유전공학센터 국립
과학관
기초과학지원센터 등이 잇따라 입주하는데다 최근 항공우주연구소가 설립돼 정부의 테크노폴리스계획은 어느 정도 완성단계에 들어섰다. 또한 92년까지 21개 민간기업연구소가 모습을 드러내고 부근에 ... ...
창조를 위한 모방
과학동아
l
199004
국내에서는 화석이나 유물모형제작이 그다지 활성화되지 못했으나 최근 박물관
과학관
이 늘어나고 각종 유물전시회 등이 자주 개최됨에 따라 점차 활기를 띠고 있다. 이 분야는 전문학자들의 자문을 받는 것이 중요하고 제작자들의 조형감각이 뛰어나야 한다. 특히 대부분의 화석이 완전하게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