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689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전AI·우주재료·수리…KAIST, 선후배 협업 ‘초세대 협업연구실’ 추가 개소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AI) 분야의 세계적 석학이다. 2013년부터 10년간 로보틱스 최고
학술
대회 및 저널 기준 103편의 논문을 게재했고 그간 발표한 모든 논문의 피인용 수는 4만5000회 이상이다. 컴퓨터 비전 분야 국내외 특허는 100건 이상 등록했다. 권 책임교수와 같은 학과 김준모 교수와 협업해 연구실을 운영하고 ... ...
[과기원NOW] DGIST, 강력한 탄소-수소 결합 분해할 수 있는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윤진효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전자정보시스템연구부 책임연구원. 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윤진효 전자정보시스템연구 ... 중요한 금속 촉매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미국화학회지 촉매’에 20일자로 온라인 게재됐다 ... ...
땅콩·계란 들었나 조마조마…식품 알레르기 치료약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교수 연구팀은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국 알레르기·천식·면역학회 연례
학술
대회에서 졸레어가 땅콩, 우유, 달걀 등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음식에 노출된 아이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1~17세 어린이·청소년 177명을 대상으로 졸레어의 효과를 확인하는 ... ...
간암 치료제 내성 극복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여겨지는 단백질 ‘SIRT7’의 기능을 억제하는 저해제 개발에 성공하고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드럭리지스턴스 업데이트즈(Drug Resistance Updates)’ 3월호에 게재 예정이라고 26일 밝혔다. SIRT7은 암세포의 사멸을 늦추는 단백질 중 하나로 간암 치료시 장애물로 알려져 있다. SIRT7 저해제 투여에 ... ...
뇌파 닮은 초음파로 인지기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24일 게재됐다. 초음파 자극을 가한 뒤 나타나는 신경조절 메커니즘 모식도. IBS 제공 ... ...
미생물 이용해 자스민향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특훈교수가 포도당에서 ‘벤질아세테이트’를 생산하는 발효 공정을 개발하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화학공학(Nature Chemical Engineering)’에 온라인 게재했다고 26일 밝혔다. 포도당으로부터 벤질아세테이트를 생합성하기 위한 미생물 균주 개발 및 공생배양 전략. KAIST 제공 벤질아세테이트는 ... ...
알츠하이머 발병, 자살률도 높인다....심각해지는 대기오염의 그늘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대목이다. 홍콩 중문대와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 공동연구팀은 지난 12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지속가능성’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대기오염과 자살률 또한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중국의 초미세먼지 농도와 자살률을 비교한 결과 중국이 대기오염 예방·통제 정책을 ... ...
컴퓨터 메모리 혁신·차세대 노벨상 화두 '교자성'…한국 연구진 두각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텔루라이드(MnTe)에서 교자성의 존재 증거를 확보했다. 이 논문은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학술
지의 편집자 추천으로 게재됐다. 교자성의 존재를 실험적으로 입증한 논문은 전세계를 통틀어 10편 내외에 그친다.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지 1년 반만의 성과다. 이수영 박사과정 연구원은 ... ...
다리 괴사·절단 막는 ‘줄기세포 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4.02.25
규명 및 타겟인자 발굴 등 후속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생체활성 물질’ 최신호에 실렸다. 김상헌 KIST 생체재료연구센터 책임연구원(왼쪽)과 정하은 학생연구원. KIST 제공 ... ...
[표지로 읽는 과학] 빠른 진화 덕에 포식자가 된 '뱀'
동아사이언스
l
2024.02.25
제공 이번 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표지에는 ‘에메랄드나무 보아’라는 매서운 뱀의 이미지가 담겼다. 에메랄드나무 보아는 신열대구 저지대 우림에 사는 야행성 사냥꾼이다. 잠복해 있다가 잽싸게 먹잇감을 노린다. 뱀은 독특한 외형과 무서운 포식자라는 상징적 지위를 갖고 있다. 이런 ... ...
이전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