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통합
종합
혼합
조합
교류
융해
뉴스
"
융합
"(으)로 총 3,796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반도체 소재 ‘흑린(검은색 인)’이 뜬다
2016.06.14
사이 흑린의 인기가 높아진 형국이다. 최원국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미래
융합
기술연구본부장팀과 임성일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2차원 흑린을 이용해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USB 메모리스틱 등에 쓰이는 기억장치로 실리콘을 기반으로 만든다. ... ...
냉장고 속 식품 먹어도 되나 “전자코가 알려준다”
2016.06.03
연구진이 가장 앞서 있다. 권오석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임연구원 팀은 박태현 서울대
융합
기술연구원 원장 팀과 공동으로 지난해 10월 세계에서 처음으로 사람처럼 냄새 분자를 직접 탐지할 수 있는 전자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최근에는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연구진도 유사한 시스템을 ... ...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과학동아
l
2016.06.02
양성자와 중성자가 생겼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3분 이후부터 이들이 뭉치는 ‘핵
융합
’ 과정이 일어나면서 헬륨(He)과 리튬(Li) 등의 더 무거운 원자핵이 생겼을 것으로 추정한다. ‘천체핵합성과정’이라고 부르는 이 과정은 우주를 구성하는 원소들의 탄생기원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중 특히 ... ...
KAIST 교수, 포항공대서도 강의한다
2016.06.01
공동 지원할 방침이다. 또 학생들이 방학 중 동문기업이나 가족회사에 근무하는 ‘
융합
캡스톤디자인’ 과목도 공동 운영한다. 강성모 KAIST 총장은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간의 협력은 대학교육 전반에 새로운 변화와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며 “각 과기특성화대의 장점을 서로 공유해 공학교육 ... ...
‘인공태양’ ITER에 미국은 2018년까지 투자 이어간다
2016.05.31
한다는 강한 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어네스트 모니즈 DOE 대변인은 “ITER는 현재 핵
융합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최적의 후보”라며 “미국은 ITER의 과학적 잠재능력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ITER 위원회는 6월 중 열리는 이사회에서 추가 예산 투입 여부를 논의할 계획이다. ... ...
이곳에선 ‘똥’도 ‘돈’이 된다
2016.05.26
‘사이언스 월든 파빌리온’을 25일 공개했다. 이 실험실은 과학기술에 예술과 인문학을
융합
시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사이언스 월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UNIST 경영관 앞 광장에 위치한 실험실은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해 육각형 형태의 2층 구조로 지어졌다. ... ...
‘유령입자’ 중 가장 무거운 놈과 가장 가벼운 놈의 질량 차이는?
2016.05.25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입자 중 하나인 중성미자의 별명은 ‘유령입자’다. 핵분열이나 핵
융합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중성미자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은 물론 우리가 알고 있는 물질과 상호작용을 거의 하지 않는다. 엄지손톱 위로 지금도 태양에서 만들어진 중성미자가 초당 700억 개씩 통과하지만 ... ...
임신 테스트 하듯 노로바이러스 검사한다
2016.05.24
연구를 계기로 시장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다른 정부출연연구기관과
융합
연구를 통해 지카 바이러스,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뎅기열 바이러스에 대한 고감도 검출 장치 개발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13일자에 ... ...
유전체 데이터도 ‘구글링’해서 설계한다
2016.05.23
http://MRPrimerW.com)을 통해 무료로 공개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김민수 정보통신
융합
공학전공 교수(왼쪽)와 구재형 뇌·인지과학전공 교수 공동연구팀은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한 유전체 데이터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 - DGIST ... ...
이런 스승 또 없습니다…“노벨상은 뛰어난 제자들 덕분”
2016.05.20
하나까지 관찰할 수 있다. 머너 교수는 “형광현미경을 의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
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2~3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의 작은 세계를 이해해 신약 개발이나 특별한 능력을 가진 재료 제작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머너 교수는 각별한 제자 ... ...
이전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다음
공지사항